이 제품은 기존 자동차 시트, 스티어링 휠 커버 등 내장재에 비해 내구성이 뛰어난 것이 장점이다.
휘발성 유기화합물 잔존량을 줄인 친환경 제품이기도 하다. 인체 유해성을 개선했다는 의미다. 이 제품은 현대자동차 등에 납품되고 있으며 나이키·아디다스의 신발, 애플·삼성전자의 정보기술(IT)기기 케이스로도 쓰이고 있다. 신규 시장 진출도 기대된다.
백산은 이 제품으로 43억원이 넘는 매출을 올렸다. 7명의 신규 인력도 채용했다. 지난해 총매출은 1740억원, 인력은 174명이다.
김 대표는 “천연피혁과 비슷한 촉감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성능이 뛰어난 인조피혁”이라며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활용 폭이 클 것”이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서울 경성고, 미국 보스턴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1997년 백산에 입사했다. 2008년 경기도 환경그린(대기분야) 우수상을 받기도 했다.
그는 2011년 대표에 취임해 회사를 이끌고 있다.
김일규 기자 black041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