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 "김상곤 혁신안 바이블 아냐"…친문 "연판장도 불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민주 '정발위·공천룰' 갈등 고조
추미애, 당 대표 전략공천권 강조
친문 "현행 당헌·당규 지켜라"
추미애, 당 대표 전략공천권 강조
친문 "현행 당헌·당규 지켜라"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21일 “김상곤 혁신위원장 시절인 2015년 만들어진 혁신안(현 지방선거 공천 기준)은 바이블이 아니다”며 공천 규정을 손보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이에 민주당 의원들은 “연판장을 돌려서라도 추 대표의 룰 개정을 저지하겠다”고 맞서고 있다. 추 대표의 공천 룰 개정 움직임을 둘러싼 갈등이 일촉즉발의 상황으로 치닫는 모양새다.
추 대표는 이날 기자간담회를 열고 “지난해 총선 때도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가 혁신안 취지와 달리 전략 공천을 하지 않았느냐”며 지방선거 공천 룰 개정 의지를 밝혔다. 그러면서 “혁신안은 중앙당 패권을 개선하려고 만들었지만 결과적으로 중앙당 패권을 시·도당에 옮겨 놓은 것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추 대표의 이날 발언은 내년 지방선거에서 당대표가 전략공천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공천 룰을 고칠 필요가 있다는 의미다.
총선·지방선거 공천 기준을 담은 혁신안은 문재인 대통령이 당대표이던 2015년에 중앙당 집중화 폐해를 막고 지방분권 강화를 위해 당시 혁신위원장이던 김상곤 현 부총리가 마련했다. 시장·군수 등 기초단체장과 기초·광역의원을 시도당위원회에서 경선을 통해 선발하도록 해 중앙당의 개입을 최소화한 게 핵심이다.
추 대표 측 인사는 “현재 공천 룰에 따르면 당대표는 시도당위원회에서 뽑힌 후보들에 대한 아무런 권한도 갖지 못한 채 뽑힌 후보에 대한 승인 도장만 찍는 역할만 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추 대표는 정당발전위원회 출범을 중단하고 당내 조직을 활용해야 한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최고위원회의에서 이미 통과한 것”이라고 일축했다.
민주당 의원들은 이날 발언을 통해 추 대표가 별도 조직인 정발위를 만들려는 의도를 드러낸 것이라며 비판했다. 수도권 한 재선의원은 “‘젊은 인재의 등용이 어렵다’ ‘이겼을 때 혁신해야 한다’는 등의 명분을 내세워 밀어붙이고 있는 정발위의 궁극적인 목표가 당대표의 전략공천권 확보라는 점이 명확해졌다”고 날을 세웠다.
설훈 의원 등 정발위에 반발하는 당내 인사들은 이날 “추 대표 행동에 변화가 없다면 연판장까지 돌리겠다”며 대응 수위를 높였다. 이들은 “지방선거 1년 전에 공천 규정을 확정하도록 한 현행 당헌·당규를 따라야 하며 당대표가 전략공천권을 갖기 위해 선거 룰에 다시 손대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고 반발했다.
김기만 기자 mgk@hankyung.com
이에 민주당 의원들은 “연판장을 돌려서라도 추 대표의 룰 개정을 저지하겠다”고 맞서고 있다. 추 대표의 공천 룰 개정 움직임을 둘러싼 갈등이 일촉즉발의 상황으로 치닫는 모양새다.
추 대표는 이날 기자간담회를 열고 “지난해 총선 때도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가 혁신안 취지와 달리 전략 공천을 하지 않았느냐”며 지방선거 공천 룰 개정 의지를 밝혔다. 그러면서 “혁신안은 중앙당 패권을 개선하려고 만들었지만 결과적으로 중앙당 패권을 시·도당에 옮겨 놓은 것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추 대표의 이날 발언은 내년 지방선거에서 당대표가 전략공천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공천 룰을 고칠 필요가 있다는 의미다.
총선·지방선거 공천 기준을 담은 혁신안은 문재인 대통령이 당대표이던 2015년에 중앙당 집중화 폐해를 막고 지방분권 강화를 위해 당시 혁신위원장이던 김상곤 현 부총리가 마련했다. 시장·군수 등 기초단체장과 기초·광역의원을 시도당위원회에서 경선을 통해 선발하도록 해 중앙당의 개입을 최소화한 게 핵심이다.
추 대표 측 인사는 “현재 공천 룰에 따르면 당대표는 시도당위원회에서 뽑힌 후보들에 대한 아무런 권한도 갖지 못한 채 뽑힌 후보에 대한 승인 도장만 찍는 역할만 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추 대표는 정당발전위원회 출범을 중단하고 당내 조직을 활용해야 한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최고위원회의에서 이미 통과한 것”이라고 일축했다.
민주당 의원들은 이날 발언을 통해 추 대표가 별도 조직인 정발위를 만들려는 의도를 드러낸 것이라며 비판했다. 수도권 한 재선의원은 “‘젊은 인재의 등용이 어렵다’ ‘이겼을 때 혁신해야 한다’는 등의 명분을 내세워 밀어붙이고 있는 정발위의 궁극적인 목표가 당대표의 전략공천권 확보라는 점이 명확해졌다”고 날을 세웠다.
설훈 의원 등 정발위에 반발하는 당내 인사들은 이날 “추 대표 행동에 변화가 없다면 연판장까지 돌리겠다”며 대응 수위를 높였다. 이들은 “지방선거 1년 전에 공천 규정을 확정하도록 한 현행 당헌·당규를 따라야 하며 당대표가 전략공천권을 갖기 위해 선거 룰에 다시 손대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고 반발했다.
김기만 기자 mg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