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중국이 오는 24일 수교 25주년을 맞는다. 1992년 한·중 수교는 양국에 새로운 도약의 계기를 마련해줬다. 수교 첫해 64억달러였던 양국 교역 규모는 지난해 2113억9000만달러로 약 33배 늘어났다. 중국은 우리의 최대 교역국으로 자리매김했고, 한국은 지난해 중국의 수입 1위국이자, 수출 3위국이 됐다.

두 나라는 2008년 경제뿐만 아니라 외교·사회·국방·문화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는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를 맺었다. 그러나 요즘의 양국 관계는 ‘전략적 협력동반자’가 무색할 정도로 냉혹한 외교 현실을 보여준다. 한국에 대한 중국의 ‘사드 보복’은 2000년 ‘마늘분쟁’ 때와 비교할 수 없는 수준이다. 2015년 이후 교역 규모도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중국 고위 인사들은 최근 대놓고 한국에 외교적 결례를 저지르고 있다. 왕이 외교부장(장관)은 사드 사태와 관련해 “누가 이 방면에서 대가를 치러야 하는가”라고 조롱하기까지 했다.

중국만 탓할 수도 없다. 한국의 무원칙하고 줏대없는 외교의 결과라는 지적을 뼈아프게 받아들여야 한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2015년 미국 등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전승기념식에 참석, 이른바 ‘망루 외교’를 강행했지만 중국의 사드 배치 반대를 막아내지 못했다. 사드와 관련, 국익에 기반해 태도를 명확하게 하기보다 전략적 모호성을 유지하는 바람에 미·중 모두로부터 압박받는 결과를 초래했다.

중국을 냉철하게 바라볼 필요가 있다. 중국의 무례를 긴 호흡으로 이겨내야 한다. 중국은 자동차, 조선, 철강은 물론 정보기술(IT) 분야까지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질주하고 있다. 당당한 외교와 함께 중국과 글로벌 경쟁에서 이겨나갈 비상한 대응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