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이크 없는 가계빚…1388조 최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분기만 29조 급증…이달 중순 1400조 넘어선 듯
2분기 은행 주택대출 6.3조…3개월새 10배이상 폭증
신용대출도 6조원 육박…민간소비 걸림돌 우려
2분기 은행 주택대출 6.3조…3개월새 10배이상 폭증
신용대출도 6조원 육박…민간소비 걸림돌 우려
가계부채가 빠르게 늘며 지난 6월 말 기준으로 1400조원에 육박했다. 이달 중순에는 이미 1400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추정된다. 가계부채가 국내총생산(GDP, 지난해 1637조원)의 90% 수준에 근접하면서 ‘가계 빚이 성장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오고 있다.
2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2분기 말 가계신용 잔액은 1388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1분기 말(1359조1000억원)보다 29조2000억원(2.1%) 늘었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선 130조7000억원(10.4%) 증가했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금융회사에서 빌린 돈(가계대출)과 아직 결제하지 않은 신용카드 사용액(판매신용)을 합한 금액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금융권 가계대출은 7월에 9조5000억원 늘었고 8월 들어서도 지난 11일까지 2조1700억원 늘었다. 여기에 신용카드 사용액까지 감안하면 가계 빚은 이미 1400조원을 넘었을 가능성이 높다.
가계부채 증가는 주택담보대출이 늘어난 영향이 크다. 부동산 거래가 늘면서 2분기 주택담보대출은 은행권에서 6조3000억원, 비은행권에서 3조2000억원 늘었다. 특히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은 1분기(6000억원)보다 10배나 늘었다. 1분기에는 정부가 가계대출을 강력하게 억제하면서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이 거의 늘지 않았다. 하지만 2분기에는 그동안 부동산 가격이 뛸 것이란 기대 때문에 부동산 투자가 활발하게 이뤄진 데다 정부의 부동산 규제를 앞두고 규제 전 ‘막차’를 타기 위해 대출 수요가 늘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은행권 신용대출 증가도 가계부채가 늘어난 요인이다. 신용대 출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은행권의 기타대출은 2분기에 5조7000억원 늘었다. 전 분기(4000억원)보다 14배 이상 증가했다. 기타대출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6년 3분기 이후 최대 증가폭이다.
가계부채가 경제에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국민 1인당 평균 2700만원의 빚을 지고 있는 셈인데 경기 회복이 지연되면 저(低)소득자·저신용자 등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부실위험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나이스평가정보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100%를 넘는 차입자는 118만 명으로 추정됐다. 이처럼 매년 갚아야 할 빚이 소득보다 많은 차입자는 최근 3년 새 64%(46만 명) 급증했다.
내수 회복이 더딘 상황에서 자영업자도 빚더미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한국신용정보원 집계를 보면 지난해 말 기준 자영업자의 금융권 대출은 732조6400억원이며, 10명 중 1명꼴로 연체 상태다.
가계부채 총량이 성장세를 제약하는 단계에 들어섰다는 시각도 있다. 국제결제은행(BIS)은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75~85%면 경제 성장이 위협받을 수 있다고 지적한다. 현대경제연구원은 누적된 가계부채가 올해 가계소비 증가율을 0.63%포인트 떨어뜨릴 것으로 전망했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
가계부채 증가는 주택담보대출이 늘어난 영향이 크다. 부동산 거래가 늘면서 2분기 주택담보대출은 은행권에서 6조3000억원, 비은행권에서 3조2000억원 늘었다. 특히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은 1분기(6000억원)보다 10배나 늘었다. 1분기에는 정부가 가계대출을 강력하게 억제하면서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이 거의 늘지 않았다. 하지만 2분기에는 그동안 부동산 가격이 뛸 것이란 기대 때문에 부동산 투자가 활발하게 이뤄진 데다 정부의 부동산 규제를 앞두고 규제 전 ‘막차’를 타기 위해 대출 수요가 늘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은행권 신용대출 증가도 가계부채가 늘어난 요인이다. 신용대 출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은행권의 기타대출은 2분기에 5조7000억원 늘었다. 전 분기(4000억원)보다 14배 이상 증가했다. 기타대출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6년 3분기 이후 최대 증가폭이다.
가계부채가 경제에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국민 1인당 평균 2700만원의 빚을 지고 있는 셈인데 경기 회복이 지연되면 저(低)소득자·저신용자 등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부실위험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나이스평가정보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100%를 넘는 차입자는 118만 명으로 추정됐다. 이처럼 매년 갚아야 할 빚이 소득보다 많은 차입자는 최근 3년 새 64%(46만 명) 급증했다.
내수 회복이 더딘 상황에서 자영업자도 빚더미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한국신용정보원 집계를 보면 지난해 말 기준 자영업자의 금융권 대출은 732조6400억원이며, 10명 중 1명꼴로 연체 상태다.
가계부채 총량이 성장세를 제약하는 단계에 들어섰다는 시각도 있다. 국제결제은행(BIS)은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75~85%면 경제 성장이 위협받을 수 있다고 지적한다. 현대경제연구원은 누적된 가계부채가 올해 가계소비 증가율을 0.63%포인트 떨어뜨릴 것으로 전망했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