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중국 한반도해법 '쌍중단'에 비협조할듯"… 중국 민간싱크탱크 우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중국 민간학자들 "사드 있어도 한중관계 회복 가능" 한목소리
중국 민간학자들이 한반도 문제에 대한 중국의 일관된 해법인 '쌍중단(雙中斷·북한 핵·미사일 도발과 한미 연합군사훈련 동시 중단)'이 북한의 비협조로 실현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시각을 드러내 주목된다.
이들 민간학자는 주한미군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갈등으로 한중 간에 감정의 골이 깊어지는 것을 우려하면서도 한국 상황을 중국이 이해해야 한다는 입장도 비쳤다.
중국 민간외교 싱크탱크인 차하얼(察哈爾)학회가 24일 베이징이공대 국방과학원에서 개최한 한중수교 25주년 기념 심포지엄에서 이런 견해가 나왔다.
이 자리에서 청샤오허(成曉河) 인민대 국제관계학원 부교수는 "쌍중단은 북한의 협조가 있어야 가능하며 북한이 참여하지 않으면 아무런 소용이 없다면서 오히려 문재인 정부가 쌍중단을 지지할 조짐을 보인다"고 지적했다.
그는 한중 사드 갈등에 대해 "중일 갈등과는 달리 통제가능하고 국부적인 특징이 있다"고 말했다.
중일 갈등이 전략적이며 동북아 주도권을 잡기 위한 심층적인 갈등이라면 한중 갈등은 이런 주도권 쟁취와는 관계없어 해결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는 이어 "한중 양국이 모두 사드라는 못을 점점 깊게 박고 있다"면서 "이는 양국에 모두 어리석은 일로, 중국이 한국의 어쩔 수 없는 상황을 어느정도 이해해야한다"고 지적했다.
훙위안(洪源) 중국 사회과학원 미국연구소 연구원도 "사드 배치의 결정자는 한국이 아니라 미국이며 문 대통령이 8·15 연설에서 미국에 '노'라고 말할 수 있다고 한 부분을 긍정적으로 판단해야한다"고 언급했다.
그는 아울러 "한미 을지훈련에 참가 인원수와 장비를 줄인 것은 한반도 정세 완화에 적극적인 의미가 있다"면서 "쌍중단에 대해서도 한국이 먼저 수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링성리(凌勝利) 중국 외교학원 국제관계연구소 강사는 "중국의 쌍중단 제의가 새로운 것은 아니며 한반도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는 없다.
사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더라도 한중관계 회복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기에 문 대통령이 제안한 한미중 3자 사드회담을 중국이 긍정적으로 봐야한다"고 주장했다.
주펑(朱鋒) 난징(南京)대 국제관계연구원장도 "중국 정부가 제기한 쌍중단 구상은 북한의 변화가 있어야 실현가능하다"면서 "북한은 지금 핵포기 가능성이 '제로'인 반면 한국은 오히려 받아들일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사드 이후 중국이 한국에 대한 제재 일변도의 정책으로 선택의 여지를 좁히고 있다고 덧붙였다.
리춘푸(李春福) 난카이(南開)대학 부교수는 "문재인 정부가 과도하게 미국에 의존하고 있다는 인상을 주고 있다"면서 "하지만 문 대통령이 8.15 연설에서 언급한 '한국의 동의 없이는 전쟁할 수 없다'는 발언은 미국에 경고신호로 간주할 수 있다"고 밝혔다.
차하얼학회는 2009년 중국의 민간 자본으로 성립된 외교전문 싱크탱크로 사드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측과 여러차례 접촉해왔다.
본부는 허베이(河北)성 상이(尙義)현의 차하얼목장에 있다. (베이징연합뉴스) 진병태 특파원 jbt@yna.co.kr
중국 민간학자들이 한반도 문제에 대한 중국의 일관된 해법인 '쌍중단(雙中斷·북한 핵·미사일 도발과 한미 연합군사훈련 동시 중단)'이 북한의 비협조로 실현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시각을 드러내 주목된다.
이들 민간학자는 주한미군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갈등으로 한중 간에 감정의 골이 깊어지는 것을 우려하면서도 한국 상황을 중국이 이해해야 한다는 입장도 비쳤다.
중국 민간외교 싱크탱크인 차하얼(察哈爾)학회가 24일 베이징이공대 국방과학원에서 개최한 한중수교 25주년 기념 심포지엄에서 이런 견해가 나왔다.
이 자리에서 청샤오허(成曉河) 인민대 국제관계학원 부교수는 "쌍중단은 북한의 협조가 있어야 가능하며 북한이 참여하지 않으면 아무런 소용이 없다면서 오히려 문재인 정부가 쌍중단을 지지할 조짐을 보인다"고 지적했다.
그는 한중 사드 갈등에 대해 "중일 갈등과는 달리 통제가능하고 국부적인 특징이 있다"고 말했다.
중일 갈등이 전략적이며 동북아 주도권을 잡기 위한 심층적인 갈등이라면 한중 갈등은 이런 주도권 쟁취와는 관계없어 해결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는 이어 "한중 양국이 모두 사드라는 못을 점점 깊게 박고 있다"면서 "이는 양국에 모두 어리석은 일로, 중국이 한국의 어쩔 수 없는 상황을 어느정도 이해해야한다"고 지적했다.
훙위안(洪源) 중국 사회과학원 미국연구소 연구원도 "사드 배치의 결정자는 한국이 아니라 미국이며 문 대통령이 8·15 연설에서 미국에 '노'라고 말할 수 있다고 한 부분을 긍정적으로 판단해야한다"고 언급했다.
그는 아울러 "한미 을지훈련에 참가 인원수와 장비를 줄인 것은 한반도 정세 완화에 적극적인 의미가 있다"면서 "쌍중단에 대해서도 한국이 먼저 수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링성리(凌勝利) 중국 외교학원 국제관계연구소 강사는 "중국의 쌍중단 제의가 새로운 것은 아니며 한반도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는 없다.
사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더라도 한중관계 회복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기에 문 대통령이 제안한 한미중 3자 사드회담을 중국이 긍정적으로 봐야한다"고 주장했다.
주펑(朱鋒) 난징(南京)대 국제관계연구원장도 "중국 정부가 제기한 쌍중단 구상은 북한의 변화가 있어야 실현가능하다"면서 "북한은 지금 핵포기 가능성이 '제로'인 반면 한국은 오히려 받아들일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사드 이후 중국이 한국에 대한 제재 일변도의 정책으로 선택의 여지를 좁히고 있다고 덧붙였다.
리춘푸(李春福) 난카이(南開)대학 부교수는 "문재인 정부가 과도하게 미국에 의존하고 있다는 인상을 주고 있다"면서 "하지만 문 대통령이 8.15 연설에서 언급한 '한국의 동의 없이는 전쟁할 수 없다'는 발언은 미국에 경고신호로 간주할 수 있다"고 밝혔다.
차하얼학회는 2009년 중국의 민간 자본으로 성립된 외교전문 싱크탱크로 사드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측과 여러차례 접촉해왔다.
본부는 허베이(河北)성 상이(尙義)현의 차하얼목장에 있다. (베이징연합뉴스) 진병태 특파원 jbt@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