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반 성장하는 세계경제… 고개 들던 한국은 '이상 기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올해 3% 성장 '아슬아슬'
수출·생산 회복세 주춤…'8·2조치'로 건설투자 위축
잠재성장률은 계속 하락
수출·생산 회복세 주춤…'8·2조치'로 건설투자 위축
잠재성장률은 계속 하락
한국이 세계 경제 회복에 힘입어 ‘성장 눈높이’를 높였다. 정부는 지난달 25일 ‘새 정부 경제정책 방향’에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6%에서 3.0%로 올려 잡았다. 수출과 투자 호조에 11조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추경) 효과’까지 감안해서다.
정부 발표를 전후해 한국은행을 포함한 국내 주요 연구기관도 앞다퉈 성장률 전망치를 상향 조정했다. 한국은행(2.6→2.8%), LG경제연구원(2.6→2.9%), 한국금융연구원(2.8→3%) 등이 3% 안팎의 성장을 점쳤다.
다만 ‘장밋빛 전망’만 가득했던 올 상반기와 달리 하반기 들어선 ‘이상 징후’가 감지되고 있다. 2분기를 지나면서 경기 개선 속도가 눈에 띄게 주춤해져서다. 수출은 반도체 등 일부 품목을 제외하면 증가세가 크게 둔화되고 있다. 소매판매도 증가 폭이 줄었다. 2분기 성장률(0.6%)이 1분기(1.1%) 대비 반 토막 난 것도 이런 맥락에서다.
성장세를 이끌던 수출과 생산 투자 효과가 줄고 있는데 정부의 주택시장 안정화 조치로 성장의 큰 축이던 건설 투자마저 쪼그라들고 있다. 고강도 부동산 대책에 이어 북핵 위험,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개정 협상 등 경기에 부정적인 재료만 쌓이는 분위기다.
이렇다 보니 정부가 발표한 올해 3% 성장률 전망치를 달성하는 게 쉽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도 많다. 일각에선 “추경에 기대 3% 성장을 이룬다 하더라도 재정에 의존한 ‘반짝 성장’에 그칠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도 내놓고 있다.
더 큰 문제는 경제의 기초체력을 의미하는 잠재성장률이 계속 떨어지고 있는 점이다. 한은은 최근 2016~2020년 잠재성장률을 연평균 2.8~2.9%로 추정했다. 한은이 2%대 잠재성장률을 발표한 건 처음이다. 지나친 시장 규제로 효율적인 자원 배분이 이뤄지지 않는 데다 기업 생산성이 하락하고 있는 게 주요 원인으로 지적됐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산업 구조조정과 시장 개혁, 기술 혁신으로 꾸준히 생산성을 높여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
정부 발표를 전후해 한국은행을 포함한 국내 주요 연구기관도 앞다퉈 성장률 전망치를 상향 조정했다. 한국은행(2.6→2.8%), LG경제연구원(2.6→2.9%), 한국금융연구원(2.8→3%) 등이 3% 안팎의 성장을 점쳤다.
다만 ‘장밋빛 전망’만 가득했던 올 상반기와 달리 하반기 들어선 ‘이상 징후’가 감지되고 있다. 2분기를 지나면서 경기 개선 속도가 눈에 띄게 주춤해져서다. 수출은 반도체 등 일부 품목을 제외하면 증가세가 크게 둔화되고 있다. 소매판매도 증가 폭이 줄었다. 2분기 성장률(0.6%)이 1분기(1.1%) 대비 반 토막 난 것도 이런 맥락에서다.
성장세를 이끌던 수출과 생산 투자 효과가 줄고 있는데 정부의 주택시장 안정화 조치로 성장의 큰 축이던 건설 투자마저 쪼그라들고 있다. 고강도 부동산 대책에 이어 북핵 위험,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개정 협상 등 경기에 부정적인 재료만 쌓이는 분위기다.
이렇다 보니 정부가 발표한 올해 3% 성장률 전망치를 달성하는 게 쉽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도 많다. 일각에선 “추경에 기대 3% 성장을 이룬다 하더라도 재정에 의존한 ‘반짝 성장’에 그칠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도 내놓고 있다.
더 큰 문제는 경제의 기초체력을 의미하는 잠재성장률이 계속 떨어지고 있는 점이다. 한은은 최근 2016~2020년 잠재성장률을 연평균 2.8~2.9%로 추정했다. 한은이 2%대 잠재성장률을 발표한 건 처음이다. 지나친 시장 규제로 효율적인 자원 배분이 이뤄지지 않는 데다 기업 생산성이 하락하고 있는 게 주요 원인으로 지적됐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산업 구조조정과 시장 개혁, 기술 혁신으로 꾸준히 생산성을 높여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