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CI와 한화케미칼의 하반기 경영실적이 두드러지게 호전되고 있다. 태양광 기초원료인 폴리실리콘 가격이 반등세를 이어가고 있는 데다 주력으로 생산하는 기초소재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TDI) 가격이 연중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어서다.
◆악재 밀어내는 호재들
24일 업계에 따르면 올 상반기 내내 떨어지던 폴리실리콘 가격은 이달 들어 급격히 반등했다. 국제태양광시장조사기관 PV인사이트가 제공하는 폴리실리콘 중국 구매 가격은 지난 3월 이후 ㎏당 13달러대의 ‘박스권’을 유지하다가 이달 들어 평균가격(1~23일 기준)이 15.49달러로 치솟았다. 중국 정부가 태양광 사업에 보조금을 축소하겠다는 방침을 접고 비공식적으로 보조금을 지원하기로 하면서 폴리실리콘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가 한국산 중국산 등 수입 태양광 전지를 대상으로 벌이는 세이프가드 조사도 가격 인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미국 정부는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오는 11월 세이프가드 조치 실행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국내 태양광 업계에는 ‘악재’다. 하지만 폴리실리콘 수요는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 폴리실리콘 구매처인 태양광 모듈업계가 추가 관세 인상이 이뤄지기 전 미리 발전사에 모듈을 공급하려 하고 있기 때문이다.
손영주 교보증권 연구원은 “미국 세이프가드 조치가 실행되기 전 폴리실리콘을 확보하려는 수요가 늘어나 지금보다 가격이 더 올라갈 것”이라며 “올 하반기 16달러를 넘어설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올해 OCI 영업이익 시장 추정치는 1771억원이다. 지난해 대비 45%가량 늘어난 수치다.
폴리실리콘은 대규모 투자를 필요로 하는 장치산업이다. 오랜 기간 업황 부진으로 후발 주자들은 증설을 하지 않았다. 반면 OCI는 지난 5월 연간 2만t 규모를 생산하는 도쿠야마 말레이시아 공장을 인수했다. 헐값에 공장을 인수한 데다 최근 가격이 오르면서 OCI는 콧노래를 부르고 있다.
태양광 부문 실적 부진에 시달려온 한화케미칼도 호재를 맞았다. 한화케미칼은 기초소재인 폴리실리콘부터 태양광 부문 자회사인 한화큐셀의 잉곳, 웨이퍼, 모듈을 생산해 수직계열화된 생산라인을 보유하고 있다. 한화큐셀은 세계 모듈 효율 1위 생산업체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터키, 인도 등 신흥 시장으로 수주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글로벌 경쟁사들도 ‘주춤’
OCI와 한화케미칼 모두 생산하는 기초소재 TDI 가격도 연중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며 이들 기업의 실적을 끌어올리고 있다.
국제 화학산업 전문조사기관인 ICIS에 따르면 TDI 중국 수입 가격은 지난 23일 t당 4350달러로 올해 최고치를 기록했다. 중국 내 공급 과잉으로 지난해 초 1500달러 아래까지 주저앉았던 것을 고려하면 상승세가 가파르다.
영업이익이 20%에 육박하며 ‘TDI의 전성기’라 불린 2008년 평균 가격이 t당 3945달러였다. 글로벌 회사들의 가동 차질로 성수기에 넘쳐나는 수요를 맞출 수 없게 됐기 때문이다. 16만t 규모의 TDI를 생산하는 바스프 차이나는 10일부터 원료 수급 문제로 공장 가동을 멈춘 상태다.
다른 회사들도 올 하반기 생산시설의 정기 보수를 앞두고 있다. 반면 본격적인 성수기인 3분기를 맞아 아시아, 중동,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수요가 급격히 늘고 있는 추세다.
TDI는 폴리우레탄의 원료로 건축 단열재, 자동차 시트, 인조가죽, 페인트 등을 제조하는 데 쓰인다. 한화케미칼 여수 공장이 15만t, 한국바스프 여수 공장이 16만t, OCI 군산 공장이 5만t을 생산하고 있다.
한화시스템이 17~22일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 국제전시컨벤션센터(ADNEC)에서 개최되는 ‘국제방산전시회(IDEX) 2025’에 참가한다. IDEX는 중동·북아프리카 지역 최대 국제방산전시회다. 한화시스템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함께 ‘방위산업 종합 역량’ 홍보에 나선다.한화시스템은 이번 전시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지구관측위성 개발 역량을 선보인다. 또 UAE,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 수출 주역인 다기능레이다와 대공방어시스템 등 ‘K방산’의 첨단 기술력을 선보인다.구체적으로 한화시스템은 중동 수출 주역인 △중거리 지대공 유도무기체계(M-SAM·천궁)의 다기능레이다 수출형 모델 △장거리 지대공 유도무기체계(L-SAM) 다기능 레이다 △동시다발로 쏟아지는 장사정포를 탐지·추적 할 수 있는 다표적 동시교전(Anti-MLRS) 다기능 레이다 △공격형 드론을 미리 감지하고 대응할 수 있는 안티드론 시스과 △통합지휘통제체계(C2) 등 다계층 대공방어시스템을 전시한다.한화시스템은 대공방어기술력을 바탕으로 중동 및 유럽 등 글로벌 조기경보 레이다 시장에 진출하겠다는 계획이다. 조기경보 레이다는 2000~3000㎞ 이상 장거리의 탄도탄을 탐지·추적할 수 있는 레이다다. 한화시스템은 ‘한국형 차기 구축함(KDDX)’과 최신예 호위함 FFX 배치-III의 다기능 레이다, 한국형 전투기(KF-21)의 능동위상배열(AESA)레이다까지 육·해·공 다기능레이다 기술력을 모두 확보하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글로벌 조기 경보 레이다 시장에서 수출경쟁력을 갖출 것”이라고 말했다.한화시스템의 첨단 레이다 기술 및 대공방어체계 역량은 중동시장에서 큰 관심을 받
현대자동차는 레이싱 게임 제작사와 협업해 게임을 통한 디지털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시뮬레이션 레이싱 대회를 개최하며 e스포츠의 저변도 확대하고 있다. 현대차 고성능 브랜드 현대 N은 지난달 서울 잠실 숲 콜로세움 e스포츠 경기장에서 글로벌 레이싱 e스포츠 대회인 ‘2024 현대 N 버츄얼 컵’ 결승전을 열었다.현대 N 최초의 글로벌 온·오프라인 시뮬레이션 레이싱 대회인 현대 N 버츄얼 컵은 현대 N과 파트너십을 체결한 글로벌 인기 레이싱 게임인 아세토 코르사로 운영됐다. 3차원 스캔 기술로 현실의 서킷을 가상 세계에 그대로 구현해 게임 내에서 현실과 거의 같은 움직임을 구현했다. 지난해 10월부터 3개월 간 한국과 중국 미국 유럽 등에서 2800여명이 참가해 온라인으로 예선 및 지역별 준결승이 진행됐다. 결승전에는 각 지역에서 준결승전을 통해 선발된 20명이 참가했다.최종 우승자인 폴란드 국적의 도미닉 블레어로는 “유럽팀이 마지막 두 레이스에서 2연승을 거두며 결승선을 통과해 기쁘고 다음 대회에서도 우승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소감을 전했다. 결승전 행사 현장에는 약 850명이 방문했고 현대 N 공식 유튜브 계정인 현대 N 월드와이드 채널에서 결승전 생중계를 진행했다. 현대 N은 경기장 현장을 방문한 고객들이 즐길 수 있는 차량 시뮬레이터 존을 마련해 다양한 레이싱 게임 속에 등장하는 현대차의 차종을 체험할 수 있게 했다.현대차의 첫 고성능 전기차 아이오닉 5 N은 지난해 12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e스포츠 토너먼트 ‘그란 투리스모 월드 시리즈 2024’ 월드 파이널에 등장해 뛰어난 주행 성능을 선보였다. 그란 투리스모 월드 시리즈는
포스코가 올해 글로벌 인기 웹툰 ‘나 혼자만 레벨업(이하 나혼렙)’과 협업해 판타스틸 광고 캠페인에 나선다.포스코는 지난달 15일 나혼렙과 함께 ‘판타지가 현실이 된다(FANTASTEEL COME TRUE)’를 주제로 제작한 판타스틸 광고 티저 영상을 공개했다. 포스코는 2023년 판타스틸 광고 시즌1에서 게임 속 판타지 세계관에 포스코 철강제품을 녹여내는 참신한 접근을 시도해 미래세대에게 회사의 트렌디한 이미지를 확산해왔다.캠페인은 지난해 포스코가 포항제철소 1기 종합준공 50주년을 맞아 일반인들에게 철의 가치와 친환경성을 알리려고 기획했다. 포스코가 보유한 기술력과 철강 품질을 게임 속 판타지와 연결한 스토리텔링으로 화제를 모았다.포스코는 올해엔 전세계 10~30대가 열광하는 e스포츠인 리그오브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LCK)에 공식 스폰서로 참여하는데 이어, 세계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K-웹툰과 신선한 컬래버로 판타스틸 광고의 저변을 확대할 예정이다. 포스코가 나혼렙과 협업한 판타스틸 광고 영상은 LCK 생중계로 전세계 시청자들에게 선보여질 예정이다.실제 지난달 15일 공개한 티저 영상에서 ‘POSCOLLECTION’이라는 의미심장한 단어와 웹툰에 등장하는 무기들을 강조해 대중들의 호기심을 이끌어냈다. 철강회사 포스코와 판타지 K-웹툰의 이색적인 협업 결과는 다음달 오픈할 판타스틸 광고 영상 본편에서 확인할 수 있다.포스코는 국내 철강사 중 최초로 2021년 10월 회사의 캐릭터인 ‘포석호’를 만들어 큰 인기를 끌기도 했다. 포석호를 활용한 굿즈 개발, 온라인 팝업스토어 운영 등 대중과의 소통을 통해 철강업과 관련된 보수적 이미지를 탈피하고, 진입 장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