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인사들, 北 탄도미사일에 무게…"北위협 축소 말라"
한미간 '北발사체' 엇갈린 판단에 "심각한 문제" 우려 표시


야권은 27일 북한의 단거리 발사체 도발에 대한 청와대의 상황 분석과 대응이 안이하다며 강하게 질타했다.

북한은 전날 동해 상으로 단거리 발사체를 3발 발사하며 한 달 만에 도발을 재개했고,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참관한 가운데 서해 백령도 등을 겨냥한 가상 점령훈련을 실시했다고 발표했다.

이에 대해 청와대는 전날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에서 북한의 이번 도발이 전략적 도발과는 관계가 없고, 을지프리덤가디언(UFG) 연습에 대한 반발 차원의 통상적 대응훈련이라고 분석했다.
野 "청와대, 北위협에 안일한 대응…대화론 폐기해야"
하지만 야당은 북한의 단거리 발사체가 한미 연합군을 겨냥한 지대함 탄도미사일일 가능성에 무게를 실으며 "청와대는 북한의 위협을 의도적으로 축소하지 말고, 맹목적인 대화론을 폐기하라"고 촉구했다.

자유한국당 김정재 원내대변인은 논평에서 "북한 김정은의 위협에도 청와대는 국민의 눈을 가렸다.

문재인 정부는 북한에 벙어리 정부인가"라며 "더는 안이한 판단과 대처로 북한 도발을 방치하는 안보위기 상황을 만들지 말라"고 촉구했다.

국민의당 손금주 수석대변인은 구두논평을 통해 "청와대의 아전인수식 상황 분석과 안일한 대응을 우려한다"며 "문재인 정부는 오락가락 대북정책에서 벗어나 냉철하고 객관적으로 상황을 인식하기를 바란다"고 요구했다.

바른정당 박정하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전날 문재인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의 청와대 오찬을 문제 삼으며 "'문재인 시계'를 받았느니 안 받았느니 하면서 ICBM(대륙간탄도미사일)이 아니라서 논쟁할 게 아니라는 청와대의 시각에 답답할 뿐"이라며 "청와대가 위태위태하고 불안하기만 해 유감"이라고 비판했다.
野 "청와대, 北위협에 안일한 대응…대화론 폐기해야"
청와대가 북한의 단거리 발사체를 개량형 300mm 방사포로 추정한 반면, 미국이 탄도미사일로 판단한 것에 대해서도 야권은 비판과 우려의 목소리를 쏟아냈다.

한국당 국방위 간사인 경대수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정부는 북한의 통상적 도발로 보는 것 같은데 속단하기에 이르다.

북한은 지금 미국의 대응을 떠보는 단계"라고 지적했다.

바른정당 소속 김영우 국회 국방위원장은 "한미가 다르게 보는 것 자체가 굉장히 문제가 있고, 심각하다"며 "북한의 발사체는 지대함미사일일 수도 있다는 게 군 전략가들의 평가다.

청와대가 계속해서 한반도 위기의 실체를 축소한다면 나중에 크게 후회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바른정당 하태경 최고위원은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청와대는 북한이 백령도 점령 훈련과 미사일 시험을 하는데 중대도발이 아니라고 쉴드(방어막)을 쳐주기 바쁘다"며 "북한의 미사일 시험은 한미연합군 군함을 격퇴하는 미사일 훈련"이라고 주장했다.

(서울연합뉴스) 정윤섭 배영경 기자 jamin74@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