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메신저 쿵쉬안유 평양행 타진하던 中, 어떤 선택할까

북한과 미국 간 '말 폭탄' 전쟁이 겨우 수습돼 대화 국면으로 전환됐다고 여겼던 중국이 북한의 잇따른 미사일 발사 도발에 난감해졌다.

일촉즉발의 이른바 '8월 위기설'이 지나는가 했더니 북한이 연달아 미사일 발사도발을 함으로써 대화 분위기를 조성한 중국의 입지가 좁아졌다.

중국은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전화통화를 계기로, 북미간 갈등과 대립의 수위가 낮아지자 쌍중단(雙中斷:북핵 활동과 한미훈련 중단 맞교환)이 유일한 해법이라고 주장하고 외교전을 펴왔으나, 북한이 어깃장을 놓고 있는 것이다.

중국은 북한의 이번 행위가 한미 양국의 을지프리덤가디언(UFG) 연합훈련을 겨냥한 것이라는 해석을 하면서도, 북한이 탄도미사일 발사 도발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결의를 또다시 어긴 데 곤혹스러워하는 기색이 역력하다.

을지훈련이 참여 병력 수준으로 볼 때 예년보다 '저강도'로 진행되는 상황에서 북한을 설득해 대화의 장(場)으로 끌어내려던 전략이 차질을 빚게 됐다.

우선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의 통화에서 대북 압력을 한층 강화하겠다고 밝혀 '강공'을 예고했다.

아울러 중국이 대북제재 참여에 미흡하다고 비난해온 미국이 중국의 '대북책임론'을 다시 들고나올 가능성도 있다.

무엇보다 북한의 이번 도발로 중국의 대화 로드맵에 차질이 불가피해질 전망이다.

29일 베이징 외교가에 따르면 쿵쉬안유(孔鉉佑) 중국 외교부 부장조리(차관보급)가 이달 초 6자회담의 중국 측 수석대표인 중국 한반도사무특별대표로 보임되고 나서 신임 인사차 한국과 북한을 방문하는 방안을 타진해왔으나, 예정대로 진행될지는 알 수 없어 보인다.

북한이 안보리 결의를 다시 위반한 상황에서,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중국이 아무 일 없었다는 듯이 북한에 북한 핵·미사일 문제 담당 당국자를 보내기는 쉽지 않기 때문이다.

아울러 쿵쉬안유가 방북해 '수습' 노력을 한다고 하더라도 북한이 다시 도발한다면 중국으로선 안보리 상임이사국으로서 입지가 크게 좁아질 수밖에 없다.

더욱이 근래 중국이 안보리 대북 추가제재 이행 계획을 이어 발표해 북한의 대중 반감도 커진 상황이라고 볼 수도 있다.

한 소식통은 "최근 북한의 미사일 도발로 상황이 크게 변해 당분간 북한행은 힘들게 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중국이 북한의 이날 도발에 어떤 반응을 보일지도 관심거리다.

지난 26일 북한의 미사일 발사 도발에 대해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8일 정례브리핑을 통해 "자제를 유지하고 정세를 긴장시키지 말라"는 경고를 한 바 있다.

국제사회에선 중국이 이번에도 단순 경고만 하고 넘어갈지 아니면 그 이상의 조처를 할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무엇보다 트럼프 대통령과 아베 총리의 이날 전화통화로 미일 양국이 대북 압박의 강도를 높이고 나서, 중국의 선택이 주목된다.

이런 가운데 일각에선 기존대로 중국이 북한 문제에 대해 견해가 비슷한 러시아와 함께 북한에 대한 낮은 수준의 경고와 함께 대화 유도 노력을 할 것이라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특히 이번 주말 중국에서 열리는 브릭스(BRICs·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신흥 경제 5개국) 정상회의에서 시 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만날 예정이어서, 이 자리에서 중국과 러시아의 대북 해법을 재차 논의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중국이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의 틀 내에서 제재 이행의 범위를 확대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중국 정부는 올해 2월 북한산 석탄 수입을 잠정 중단한 데 이어 이달 15일부터는 철·납·수산물로 금수 품목을 확대하고 북한산 석탄에 대해선 상한선 없이 수입을 전면 금지했다.

여기에 이달 25일부터 중국 내 북한과의 합작기업 설립과 관련 기업의 투자 확대를 금지했다.

한 소식통은 "중국이 올해 북한산 석탄 금지를 포함해 최근 철광석 등에도 유사한 조치를 했는데 북한에 분명한 메시지를 주기 위해 단속을 강화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베이징연합뉴스) 심재훈 특파원 president21@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