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 제의 걷어찬 김정은… 트럼프 "국제사회에 경멸 표시한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일본 상공 지나간 북한 미사일
사흘 만에 또 도발…한반도 위기 재점화
한국 타격용 단거리 3발 동해로 발사 이어
한·미·일 동시 겨냥…국제사회 '충격파'
문재인 대통령 '대화·압박 투트랙 정책' 시험대
사흘 만에 또 도발…한반도 위기 재점화
한국 타격용 단거리 3발 동해로 발사 이어
한·미·일 동시 겨냥…국제사회 '충격파'
문재인 대통령 '대화·압박 투트랙 정책' 시험대
북한이 29일 오전 일본 상공으로 중거리탄도미사일을 발사하자 우리 공군은 F-15K 전투기 4대를 출격시켜 군사분계선 인근 훈련장에 폭탄 8발을 투하하는 대북 응징 훈련을 단행했다. 한반도 긴장이 다시 고조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성명을 통해 “북한은 이웃 나라, 유엔의 모든 회원국, 국제사회 행동으로 수용할 수 있는 최소의 기준에 대해 경멸을 표시했다”고 경고했다. 북한이 지난 26일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데 이어 사흘 만에 또다시 도발을 감행하자 문재인 대통령도 강경대응 에 나섰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북한의 미사일 도발 직후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열린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 회의 내용을 보고받고 ‘응징능력’ 과시를 포함한 강경대응을 지시했다고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전했다. 우리 군은 즉각 F-15K 전투기 4대를 출격시켜 실무장 폭격 훈련을 단행하는 무력시위를 펼쳤다.
◆미국 전력무기 전개 등 검토
윤 수석은 이날 “청와대는 오늘 오전 7시 정 실장 주재로 긴급 NSC 상임위를 열고 북한의 탄도미사일 도발에 대한 대응방안을 논의했다”며 “상임위는 국제사회의 엄중한 경고에도 북한이 또다시 탄도미사일을 발사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위반한 것을 강력 규탄했다”고 밝혔다. 이어 “북한 도발이 대단히 엄중하다고 평가하고 북한의 추가 도발 가능성에 철저히 대비해 강화한 경계태세를 유지하기로 했다”며 “문 대통령도 이번 사안을 대단히 엄중히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북한의 도발에 대한 대응조치와 관련, “미국의 전략자산 전개를 검토하고 있고 이를 위해 미국과 협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전략무기는 ‘죽음의 백조’라고 불리는 B-1B 전략폭격기를 비롯해 B-52 장거리 핵폭격기, 스텔스 전투기, 이지스 구축함, 핵추진 잠수함 등을 일컫는다.
국방부는 이날 북한의 탄도미사일 도발에 맞대응하는 차원에서 국방과학연구소(ADD)가 개발에 성공한 탄도미사일인 ‘현무2’ 발사 영상을 공개했다.
◆기로에 선 ‘달빛’ 정책
정 실장은 NSC 상임위 회의 직후 허버트 맥매스터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전화 통화를 하고 한·미 양국의 공동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맥매스터 보좌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문 대통령의 대북 정책과 한국 정부의 북한 도발 대응조치를 전폭 지지한다고 했다”며 “미국의 대한(對韓) 방위 공조는 흔들림이 없으니 안심하라”고 말했다고 윤 수석은 전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도 이날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과 긴급 전화통화를 하고 유엔 안보리 차원의 강력 대응조치를 포함한 다각적인 양국 공조 방안을 협의했다. 틸러슨 국무장관은 “대화 제의에도 북한이 도발해 깊은 실망감을 나타냈다”며 대북 압박을 지속할 것이라고 했다. 강 장관은 오후엔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과 전화 통화를 하고 북한의 미사일 도발과 관련한 대응 방향을 협의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북한의 미사일 추가 도발과 관련해 “일단 발사 방향은 다르지만, 북한이 공언한 괌 주변에 대한 발사 실험의 의미가 있다”며 “미사일이 일본 영해를 넘어갔기 때문에 국제사회가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어 엄중히 보고 있다”고 말했다. 미·일 양국을 포함한 국제사회와의 공조 필요성이 커지면서 우리 측의 대북 대화 제의는 당분간 중단될 가능성이 커졌다.
이 관계자는 대화와 압박 ‘투트랙’ 기조가 유지되느냐는 질문에 “대화와 압박은 동전의 양면으로, 대화 국면으로 가면 좋겠지만 그런 상황을 북한이 만들지 않는다면 우리도 대응과 조치를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북한의 저강도 도발에도 ‘대화 제의’ 신호를 지속적으로 보내던 문재인 대통령이 이번 북한의 도발로 ‘강력한 응징’으로 돌아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그렇다고 문 대통령이 대화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한 것은 아니며 강온 양면의 ‘투 트랙 전략’은 여전히 유효하다는 게 청와대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손성태/김채연 기자 mrhand@hankyung.com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성명을 통해 “북한은 이웃 나라, 유엔의 모든 회원국, 국제사회 행동으로 수용할 수 있는 최소의 기준에 대해 경멸을 표시했다”고 경고했다. 북한이 지난 26일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데 이어 사흘 만에 또다시 도발을 감행하자 문재인 대통령도 강경대응 에 나섰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북한의 미사일 도발 직후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열린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 회의 내용을 보고받고 ‘응징능력’ 과시를 포함한 강경대응을 지시했다고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전했다. 우리 군은 즉각 F-15K 전투기 4대를 출격시켜 실무장 폭격 훈련을 단행하는 무력시위를 펼쳤다.
◆미국 전력무기 전개 등 검토
윤 수석은 이날 “청와대는 오늘 오전 7시 정 실장 주재로 긴급 NSC 상임위를 열고 북한의 탄도미사일 도발에 대한 대응방안을 논의했다”며 “상임위는 국제사회의 엄중한 경고에도 북한이 또다시 탄도미사일을 발사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위반한 것을 강력 규탄했다”고 밝혔다. 이어 “북한 도발이 대단히 엄중하다고 평가하고 북한의 추가 도발 가능성에 철저히 대비해 강화한 경계태세를 유지하기로 했다”며 “문 대통령도 이번 사안을 대단히 엄중히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북한의 도발에 대한 대응조치와 관련, “미국의 전략자산 전개를 검토하고 있고 이를 위해 미국과 협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전략무기는 ‘죽음의 백조’라고 불리는 B-1B 전략폭격기를 비롯해 B-52 장거리 핵폭격기, 스텔스 전투기, 이지스 구축함, 핵추진 잠수함 등을 일컫는다.
국방부는 이날 북한의 탄도미사일 도발에 맞대응하는 차원에서 국방과학연구소(ADD)가 개발에 성공한 탄도미사일인 ‘현무2’ 발사 영상을 공개했다.
◆기로에 선 ‘달빛’ 정책
정 실장은 NSC 상임위 회의 직후 허버트 맥매스터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전화 통화를 하고 한·미 양국의 공동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맥매스터 보좌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문 대통령의 대북 정책과 한국 정부의 북한 도발 대응조치를 전폭 지지한다고 했다”며 “미국의 대한(對韓) 방위 공조는 흔들림이 없으니 안심하라”고 말했다고 윤 수석은 전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도 이날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과 긴급 전화통화를 하고 유엔 안보리 차원의 강력 대응조치를 포함한 다각적인 양국 공조 방안을 협의했다. 틸러슨 국무장관은 “대화 제의에도 북한이 도발해 깊은 실망감을 나타냈다”며 대북 압박을 지속할 것이라고 했다. 강 장관은 오후엔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과 전화 통화를 하고 북한의 미사일 도발과 관련한 대응 방향을 협의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북한의 미사일 추가 도발과 관련해 “일단 발사 방향은 다르지만, 북한이 공언한 괌 주변에 대한 발사 실험의 의미가 있다”며 “미사일이 일본 영해를 넘어갔기 때문에 국제사회가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어 엄중히 보고 있다”고 말했다. 미·일 양국을 포함한 국제사회와의 공조 필요성이 커지면서 우리 측의 대북 대화 제의는 당분간 중단될 가능성이 커졌다.
이 관계자는 대화와 압박 ‘투트랙’ 기조가 유지되느냐는 질문에 “대화와 압박은 동전의 양면으로, 대화 국면으로 가면 좋겠지만 그런 상황을 북한이 만들지 않는다면 우리도 대응과 조치를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북한의 저강도 도발에도 ‘대화 제의’ 신호를 지속적으로 보내던 문재인 대통령이 이번 북한의 도발로 ‘강력한 응징’으로 돌아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그렇다고 문 대통령이 대화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한 것은 아니며 강온 양면의 ‘투 트랙 전략’은 여전히 유효하다는 게 청와대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손성태/김채연 기자 mrhan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