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부근 사장 "총수 부재 두려워도…'연결성' 무기로 스마트홈 주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총수 부재로 M&A, 사업구조 재편 등 어려워
"연결성 시대에 차별화된 강점 발휘할 것"
"연결성 시대에 차별화된 강점 발휘할 것"
[베를린= 김하나 기자] “선단장(船團長)없는 배를 타고 고기 잡으러 간다고 생각해보라. 배를 타고 있는 사람과 배를 (밖에서)보고 있는 사람이 느끼는 정도 차이는 비교할 수 없듯이 마음이 아프고 두렵다.”
윤부근 삼성전자 대표이사 사장은 31일(현지 시각) 독일 베를린 ‘IFA 2017’개막에 앞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총수 부재 상황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도 스마트홈 시장을 주도해 나가겠다는 강한 의지를 피력했다.
윤 사장은 "이재용 부회장의 부재로 인해 빠르게 변화하는 IT 업계에 대응해 미래를 위한 투자를 하는데 애로사항이 많다"며 "선단장이 부재중이기에 미래 투자를 위한 M&A(인수합병), 사업구조 재편 등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실제로 인공지능(AI) 관련 M&A가 마무리 작업에 들어갔지만 총수 부재로 인해 막판에 무산되는 사례도 있었다고 토로했다.
그는 이어 "어려움 속에서 최소한의 전략은 짜고 있지만, 국한된 경영 계획으로 우리가 3~5년 뒤 제시해야 할 미래 비전을 보여주기에는 모든 것이 중단돼 어려움과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며 목이 메이기도 했다.
윤 사장은 사업 계획에 대해선 ‘연결성’을 통한 통합 솔루션이 중요해진 시대에 업계 리더로서 가진 비전을 제시했다.
윤 사장은 "삼성전자는 소비자들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거의 모든 가전·IT 제품과 사물인터넷(IoT) 관련 기술을 폭넓게 확보하고 있는 유일한 기업"이라며 "연결성의 시대에 차별화된 강점을 발휘할 수 있는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하만과의 시너지를 활용해 삼성전자의 IoT 기술이 가정이나 사무공간 외 자동차 등 다양한 영역에 효과적으로 확산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생활 가전은 세탁시간을 절반으로 줄인 '퀵드라이브' 등 사용자 배려에서 출발한 혁신 제품을 선보이며 프리미엄 수요를 창출해 나갈 예정이다.
윤 사장은 "특히 북미의 경우 데이코 인수 이후 삼성의 기술을 접목해 올해 업계 최고 수준의 제품군을 구축했고 새로운 유통을 적극적으로 확보하는 등 사업 초석을 다지고 있다"며 "3년 내 북미 빌트인 가전 시장에서 톱 티어(Top-tier)에 진입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윤 사장은 "앞으로 전자업계의 변화 속도와 방향은 쉽게 예측하기 어려워 소비자·시장 관점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선제로 찾아 대응하는 기업만이 살아남을 것"이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 사물인터넷(IoT) 역량 강화, 새로운 시장 창출, 기업 간 거래(B2B) 사업 확대에 집중적인 투자와 노력을 기울여 나갈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hana@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윤부근 삼성전자 대표이사 사장은 31일(현지 시각) 독일 베를린 ‘IFA 2017’개막에 앞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총수 부재 상황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도 스마트홈 시장을 주도해 나가겠다는 강한 의지를 피력했다.
윤 사장은 "이재용 부회장의 부재로 인해 빠르게 변화하는 IT 업계에 대응해 미래를 위한 투자를 하는데 애로사항이 많다"며 "선단장이 부재중이기에 미래 투자를 위한 M&A(인수합병), 사업구조 재편 등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실제로 인공지능(AI) 관련 M&A가 마무리 작업에 들어갔지만 총수 부재로 인해 막판에 무산되는 사례도 있었다고 토로했다.
그는 이어 "어려움 속에서 최소한의 전략은 짜고 있지만, 국한된 경영 계획으로 우리가 3~5년 뒤 제시해야 할 미래 비전을 보여주기에는 모든 것이 중단돼 어려움과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며 목이 메이기도 했다.
윤 사장은 사업 계획에 대해선 ‘연결성’을 통한 통합 솔루션이 중요해진 시대에 업계 리더로서 가진 비전을 제시했다.
윤 사장은 "삼성전자는 소비자들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거의 모든 가전·IT 제품과 사물인터넷(IoT) 관련 기술을 폭넓게 확보하고 있는 유일한 기업"이라며 "연결성의 시대에 차별화된 강점을 발휘할 수 있는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하만과의 시너지를 활용해 삼성전자의 IoT 기술이 가정이나 사무공간 외 자동차 등 다양한 영역에 효과적으로 확산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생활 가전은 세탁시간을 절반으로 줄인 '퀵드라이브' 등 사용자 배려에서 출발한 혁신 제품을 선보이며 프리미엄 수요를 창출해 나갈 예정이다.
윤 사장은 "특히 북미의 경우 데이코 인수 이후 삼성의 기술을 접목해 올해 업계 최고 수준의 제품군을 구축했고 새로운 유통을 적극적으로 확보하는 등 사업 초석을 다지고 있다"며 "3년 내 북미 빌트인 가전 시장에서 톱 티어(Top-tier)에 진입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윤 사장은 "앞으로 전자업계의 변화 속도와 방향은 쉽게 예측하기 어려워 소비자·시장 관점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선제로 찾아 대응하는 기업만이 살아남을 것"이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 사물인터넷(IoT) 역량 강화, 새로운 시장 창출, 기업 간 거래(B2B) 사업 확대에 집중적인 투자와 노력을 기울여 나갈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hana@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