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본질 잘못 짚은 정부의 '판교창조밸리' 개명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부가 박근혜 정부에서 추진한 도시첨단산업단지인 성남시 판교창조경제밸리의 이름을 바꾸기로 했다고 한다. 전 정부 프로젝트라도 타당성이 있다면 이어가는 게 국가적으로도 이익이다. 하지만 판교창조밸리라는 명칭이 전 정부를 연상시킨다고 개명을 검토한다는 건 선뜻 납득하기 어렵다.
기술혁신의 상징인 미국 실리콘밸리만 해도 실리콘 칩 제조 회사가 많이 모여 있었기에 생긴 이름일 뿐 정부가 정한 게 아니다. 그 이름이 오늘의 실리콘밸리를 키운 것도 아니다.
판교창조밸리만 해도 그 발단이 된 건 2005년 경기도가 추진한 판교테크노밸리다. 현재 판교테크노밸리에는 870여 개 기업이 입주해 있고 6만여 명이 근무한다. 그 성공을 바탕으로 제2 판교테크노밸리 필요성이 대두하자 전 정부가 이를 판교창조밸리라고 이름을 붙였다. 이번 정부가 어떻게 개명할지는 모르겠지만 그런 식이면 다음 정부인들 또 바꾸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다.
툭하면 간판을 바꾸는 한국의 정당이나 정부 부처에서 보듯이 개명으로 본질이 달라지는 건 아니다. 전국에 들어선 클러스터마다 실리콘밸리를 연상시키는 화려한 명칭을 갖다 붙였지만 정작 기대했던 혁신은 없지 않은가.
판교창조밸리는 한국에서 자생적으로 발전할 만한 입지와 잠재력을 지닌 몇 안 되는 곳이다. 정권마다 치적 욕심에 이름을 바꾸고 숟가락 하나 얹어 간섭하기 시작하면 오히려 망치기 십상이다. 한국에서도 역사와 문화가 있는 혁신클러스터를 보고 싶다.
기술혁신의 상징인 미국 실리콘밸리만 해도 실리콘 칩 제조 회사가 많이 모여 있었기에 생긴 이름일 뿐 정부가 정한 게 아니다. 그 이름이 오늘의 실리콘밸리를 키운 것도 아니다.
판교창조밸리만 해도 그 발단이 된 건 2005년 경기도가 추진한 판교테크노밸리다. 현재 판교테크노밸리에는 870여 개 기업이 입주해 있고 6만여 명이 근무한다. 그 성공을 바탕으로 제2 판교테크노밸리 필요성이 대두하자 전 정부가 이를 판교창조밸리라고 이름을 붙였다. 이번 정부가 어떻게 개명할지는 모르겠지만 그런 식이면 다음 정부인들 또 바꾸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다.
툭하면 간판을 바꾸는 한국의 정당이나 정부 부처에서 보듯이 개명으로 본질이 달라지는 건 아니다. 전국에 들어선 클러스터마다 실리콘밸리를 연상시키는 화려한 명칭을 갖다 붙였지만 정작 기대했던 혁신은 없지 않은가.
판교창조밸리는 한국에서 자생적으로 발전할 만한 입지와 잠재력을 지닌 몇 안 되는 곳이다. 정권마다 치적 욕심에 이름을 바꾸고 숟가락 하나 얹어 간섭하기 시작하면 오히려 망치기 십상이다. 한국에서도 역사와 문화가 있는 혁신클러스터를 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