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이처럼 금융당국의 설익은 정책은 투자자들의 외면으로 이어지고 있는데요, 대표적으로 금융당국이 공모펀드 활성화의 대안으로 내놓은 성과보수형펀드가 꼽히고 있습니다. 김보미 기자가 전해드립니다.<기자>지난해 4월 금융위원회의 공모펀드시장 활성화 방안에 맞춰 출시된 성과보수형펀드는 현재까지 총 12개.운용보수를 일반펀드의 절반 수준으로 낮추는 대신 수익률이 일정 수준을 넘어섰을 때에만 성과급 개념의 보수를 추가로 부담하는 상품인데, 이들 상품의 평균설정액은 28억원에 불과합니다.자산운용사들이 등 떠밀려 하나둘씩 상품을 내놨지만, 절반이 넘는 9개가 금융당국이 펀드난립을 막기 위해 청산대상이라고 지정한 50억원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것입니다.<녹취> A은행 상품상담창구 직원“아직까지는 그렇게 (문의가) 많지는 않습니다만”<녹취> B증권사 판매직원“1개월 수익률 -2% 정도 나왔고요. 아직까지는 뭐…“상품을 내놓은 운용사들 마저 마케팅에 소극적입니다.익명을 요구한 운용업계 관계자는 “장사 하루이틀하고 문닫을 것도 아니지 않냐”며 “분위기에 맞춰 성과보수형펀드를 내놨지만 다른펀드보다 보수를 더 많이 낸다는 이미지가 강해 적극적으로 나서기 부담스럽다”고 전했습니다.공모펀드 활성화 방안 중 하나로 제시된 사모재간접펀드 역시 활성화 여부는 미지수입니다.사모재간접펀드는 기관투자자와 고액자산가들의 전유물이었던 헤지펀드에 개인투자자들도 소액으로 투자할 수 있도록 한 상품입니다.현재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업계 처음으로 사모 재간접 공모펀드 출시를 예고한 상황이지만, 편입하는 사모펀드의 투자전략 노출 문제 등으로 시장 활성화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입니다.상황이 이렇다 보니 국내 공모펀드 수는 9월 기준 총 10,436개로 10년 전과 비교했을 때 3배 가량 늘었지만, 펀드 1개당 설정액은 오히려 반토막이 났습니다.투자자들의 선택지는 넓어졌다지만, 펀드 하나하나의 운용효율은 되레 떨어지고 있는 것입니다.이외에도 신규 공모펀드를 출시할 때 온라인전용펀드 판매를 의무화하는 등 펀드 시장의 불씨를 살리기 위한 여러 방안들은 줄줄이 나오고 있는 상황.하지만 펀드슈퍼마켓을 운영하는 펀드온라인코리아는 3년 연속 70억원대 적자를 기록하며 헤매고 있고, 비과세해외주식형펀드 마저 당장 올해 말에 일몰될 예정이어서금융당국이 정작 투자자들이 원하는 세제 혜택 강화나 ‘신뢰 회복’이라는 근본적인 문제해결에는 다가서지 못했다는 지적입니다.한국경제TV 김보미입니다.김보미기자 bm0626@wowtv.co.kr한국경제TV 핫뉴스ㆍ부산 여중생 폭행 가해자가 경찰 딸? SNS에 소문 무성, 진실은…ㆍ김성경, ‘쿨’해 보였던 이혼의 내면은? ㆍ금나나 성적표 공개, 美 하버드 ‘올A’ 빛나는 스펙…‘진정한 엄친딸’ㆍ길, 세 번째 음주운전...‘술’ 관련 실수 에피소드 부자? ㆍ‘보살도 지친다’ 이윤석 아내, “집으로 다시 출근 중” 휴식갈망ⓒ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