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상무부, 韓 사드 임시배치에 "한중 무역에 악영향" 경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중국 상무부가 한국 정부의 7일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발사대 4기 임시 배치와 관련해 한중 무역관계에 악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밝혔다.
15일 중국 상무부에 따르면 가오펑(高峰) 대변인은 전날 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이 같은 입장을 표명했다.
가오 대변인은 우선 "한중 경제무역 협력은 상호 보완성이 강하고 발전 잠재력이 크다"면서 "중국 측은 양국 경제무역 협력에 대해 적극적이고 개방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최근 한중 경제무역 관계 발전이 지속하고 있으나 양국 간 협력 및 교류는 여론의 기초 아래 이뤄져야 한다"면서 "한국 사드 배치는 중국의 전략적 안보 이익에 엄중한 손상을 주었고 중국인들의 우호 감정도 해쳤다"고 덧붙였다.
그는 그러면서 "이는 양국 경제무역 협력의 건전한 발전에도 반드시 불리한 영향을 끼칠 것"이라면서 "한국이 중국의 중대한 이익과 정당한 우려를 존중하고 관련 문제를 타당하게 처리하며 양국 경제무역 협력의 안정된 발전을 위해 양호한 분위기를 마련해 줄 것을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중국은 지난해 7월 한국의 사드 배치 발표 이후 롯데를 포함한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에 대해 지속적인 압력을 가해왔다.
급기야 롯데마트는 최근 매각 주관사를 선정해 중국 내 매장 정리 작업에 나선 상황이다.
중국 롯데마트의 경우 중국 당국이 소방 점검 등을 이유로 6개월 이상 영업 중지를 시키고 향후 영업 재개 전망마저 불투명하자 천문학적인 손실을 감당할 수 없어 매각의 길을 선택한 것이다.
현대차와 베이징기차의 합작사인 베이징현대 또한 사드 후폭풍으로 판매가 반 토막 난 데 이어 납품업체들과 대금 문제 그리고 한중 파트너끼리 불화설까지 퍼지면서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사드 보복으로 중단된 중국인 단체 한국 관광과 한류 연예인 출연 및 드라마 방영 금지 조치 또한 풀리지 않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이 사드 임시 배치를 구실로 다시 보복에 나설 경우 한국 업체만을 대상으로 통관 절차를 더욱 까다롭게 한다든지 중국 내 한국 업체들에 대한 세무조사와 각종 점검을 통해 영업 방해 나설 가능성이 있다.
(베이징연합뉴스) 심재훈 특파원 president21@yna.co.kr
15일 중국 상무부에 따르면 가오펑(高峰) 대변인은 전날 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이 같은 입장을 표명했다.
가오 대변인은 우선 "한중 경제무역 협력은 상호 보완성이 강하고 발전 잠재력이 크다"면서 "중국 측은 양국 경제무역 협력에 대해 적극적이고 개방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최근 한중 경제무역 관계 발전이 지속하고 있으나 양국 간 협력 및 교류는 여론의 기초 아래 이뤄져야 한다"면서 "한국 사드 배치는 중국의 전략적 안보 이익에 엄중한 손상을 주었고 중국인들의 우호 감정도 해쳤다"고 덧붙였다.
그는 그러면서 "이는 양국 경제무역 협력의 건전한 발전에도 반드시 불리한 영향을 끼칠 것"이라면서 "한국이 중국의 중대한 이익과 정당한 우려를 존중하고 관련 문제를 타당하게 처리하며 양국 경제무역 협력의 안정된 발전을 위해 양호한 분위기를 마련해 줄 것을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중국은 지난해 7월 한국의 사드 배치 발표 이후 롯데를 포함한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에 대해 지속적인 압력을 가해왔다.
급기야 롯데마트는 최근 매각 주관사를 선정해 중국 내 매장 정리 작업에 나선 상황이다.
중국 롯데마트의 경우 중국 당국이 소방 점검 등을 이유로 6개월 이상 영업 중지를 시키고 향후 영업 재개 전망마저 불투명하자 천문학적인 손실을 감당할 수 없어 매각의 길을 선택한 것이다.
현대차와 베이징기차의 합작사인 베이징현대 또한 사드 후폭풍으로 판매가 반 토막 난 데 이어 납품업체들과 대금 문제 그리고 한중 파트너끼리 불화설까지 퍼지면서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사드 보복으로 중단된 중국인 단체 한국 관광과 한류 연예인 출연 및 드라마 방영 금지 조치 또한 풀리지 않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이 사드 임시 배치를 구실로 다시 보복에 나설 경우 한국 업체만을 대상으로 통관 절차를 더욱 까다롭게 한다든지 중국 내 한국 업체들에 대한 세무조사와 각종 점검을 통해 영업 방해 나설 가능성이 있다.
(베이징연합뉴스) 심재훈 특파원 president21@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