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직전 논의주제로 등장…위원들 "논의영역 맞나" 갑론을박
"교육부·수능개선위, '공동 시안'으로 발표 동의"
"수능 전면 절대평가 개편안, 수능개선위 아닌 교육부 작품"
정부가 지난달 발표했다 철회한 대학수학능력시험 전면 절대평가 시안이 수능개선위원회가 구상한 안이 아니라 교육부가 발표 한 달 여 전 만든 안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수능개선위는 통합사회 신설 등 학교 수업이 바뀌는 데 따른 수능 과목 개편을 위해 꾸려졌기 때문에 위원들 사이에서는 전면 절대평가 전환이 논의 범위 밖이라는 비판도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수능개선위에 참여했던 한 위원은 17일 "내년 고1이 배우게 될 통합사회·통합과학을 수능에 넣을지 등 바뀌는 교육과정에 따라 출제 교과목이나 범위를 정하는 게 논의 주제였다"며 "전면 절대평가는 애초 논의 대상이 아니었다"고 밝혔다.

수능개선위원회는 지난해 3월 31일 첫 회의를 했다.

이후 올해 3월까지 약 1년간 통합사회·통합과학영역을 수능에 추가할지, 추가할 경우 1개 영역으로 문제를 낼지 2개 영역으로 낼지, 수학영역은 가/나형을 계속 나눌지, 탐구영역은 몇 개 과목을 선택하게 할지 등을 논의했다.

심화학습이 필요한 진로선택과목인 물리Ⅱ·화학Ⅱ·생물Ⅱ·지구과학Ⅱ를 그대로 수능 선택과목으로 둘지, 쏠림현상이 심한 제2외국어/한문영역을 폐지할지도 의견을 나눴다.

이 가운데 통합사회·통합과학, 제2외국어/한문, 직업탐구에 대해서는 절대평가화할 경우의 장단점이 논의됐다.

수능개선위 관계자는 "크게 5∼6개 주제를 논의했고 올해 2월께 이미 개편 방향이 정해졌는데, 각 쟁점에 대한 위원회의 의견을 종합하면 (정부가 8월 발표한) 1안과 비슷한 모양새"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대선이 가까워져 온 4월 갑자기 전면 절대평가가 주요 논의 주제로 등장했다.

이후 6∼7월께 교육부가 전면 절대평가 시안을 개선위에 제시했다는 게 이 관계자의 설명이다.

그는 "(알려진 1안과 2안은) 교육부가 '이걸로 논의하자'며 들고온 것"이라며 "전면 절대평가에 반대하는 의견은 물론, 위원 임기가 사실상 6월까지 아니냐, 위원회 업무 범위가 어디까진데 이걸 논의하느냐, 우리 타이틀로(이름으로) 발표할 거냐 등 많은 논란이 있었다"고 전했다.

실제로 교육부가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송기석 의원(국민의당)실에 제출한 수능개선위 회의록을 보면 전면 절대평가가 주요 논의 주제로 등장한 것은 4월 5일 17차 회의에서였다.
"수능 전면 절대평가 개편안, 수능개선위 아닌 교육부 작품"
이처럼 논의 기간이 길지 않았지만 대선 공약인 만큼 수능개선위도 8월 들어서는 정부의 전면 절대평가 시안 발표에 동의했다.

다만, 이 시안이 23차례에 걸친 위원회 논의의 결과물이라고 발표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의견도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비해 교육부는 개편 시안이 수능개선위가 1년 반가량 충분히 논의해 도출한 결론이라고 반복적으로 주장했다.

수능 개편 정책연구 책임자인 이규민 연세대 교수는 시안 발표일인 8월 10일, 수능개선위의 결론과 교육부 발표 시안이 차이가 있느냐는 질문에 "시안에 대해 위원회에서 몇 차례 검토했고, 교육부와 위원회의 공동안으로 제안하는 데 동의가 됐다"고만 답했다.

(서울연합뉴스) 고유선 기자 cindy@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