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술핵 재배치·군사행동 반대… "NO"만 외치는 중국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북핵 해법 사사건건 반대
FT "중국, 분노만 보여줄 뿐 김정은 정권 몰락 원치 않아"
FT "중국, 분노만 보여줄 뿐 김정은 정권 몰락 원치 않아"
중국이 북한 핵 문제 해법으로 거론되는 방안에 사사건건 반대하고 있다.
중국은 우선 최근 한국 정치권을 중심으로 부상한 한국 내 전술핵 재배치 문제에 대해 “절대 불가” 견해를 내놨다. 추이톈카이 주미 중국대사는 지난 15일(현지시간) 주미 중국대사관에서 열린 건국 68주년 기념행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한국 일본 대만의 전술핵 배치를 강력 반대한다고 밝혔다.
추이 대사는 “핵무기가 북한에 안전을 가져다주지 못하는 것처럼 한국과 일본에도 안전을 보장하지 못한다”고 말했다. 이어 “핵무기는 지역 정세를 악화시킬 뿐”이라며 “각국은 이 문제의 심각성을 잘 인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추이 대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가 대북 군사옵션을 다시 거론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도 견제구를 날렸다. 그는 “미국은 대북 위협을 자제하고, 대화와 협상을 재개하기 위해 더 효과적인 방법을 찾아야 한다”며 대북 군사행동을 자제할 것을 촉구했다. 또 “미국은 지금보다 훨씬 더 많은 것을 해야 한다”며 “이를 통해 진정 효과 있는 국제사회의 협력이 나타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전날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도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은 북한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위반하고,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해 미사일을 발사하는 것에 반대한다”면서도 “유관 각국이 모두 자제하고 한반도 긴장 정세를 악화시키는 행동을 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추이 대사는 중국의 대북 원유 공급 전면 중단 문제와 관련해서도 부정적인 견해를 재확인했다. 그는 “중국은 유엔 안보리의 대북 제재를 모두 이행할 것이며,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고 말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지난 14일 ‘아프게 하되 붕괴하도록 하지는 말자’는 제목의 기사에서 “중국은 북한의 도발에 대한 분노를 보여주되 (원유 공급 중단으로) 김정은 정권이 심각한 타격을 받는 것은 원하지 않는다”고 분석했다.
김동윤 기자 oasis93@hankyung.com
중국은 우선 최근 한국 정치권을 중심으로 부상한 한국 내 전술핵 재배치 문제에 대해 “절대 불가” 견해를 내놨다. 추이톈카이 주미 중국대사는 지난 15일(현지시간) 주미 중국대사관에서 열린 건국 68주년 기념행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한국 일본 대만의 전술핵 배치를 강력 반대한다고 밝혔다.
추이 대사는 “핵무기가 북한에 안전을 가져다주지 못하는 것처럼 한국과 일본에도 안전을 보장하지 못한다”고 말했다. 이어 “핵무기는 지역 정세를 악화시킬 뿐”이라며 “각국은 이 문제의 심각성을 잘 인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추이 대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가 대북 군사옵션을 다시 거론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도 견제구를 날렸다. 그는 “미국은 대북 위협을 자제하고, 대화와 협상을 재개하기 위해 더 효과적인 방법을 찾아야 한다”며 대북 군사행동을 자제할 것을 촉구했다. 또 “미국은 지금보다 훨씬 더 많은 것을 해야 한다”며 “이를 통해 진정 효과 있는 국제사회의 협력이 나타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전날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도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은 북한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위반하고,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해 미사일을 발사하는 것에 반대한다”면서도 “유관 각국이 모두 자제하고 한반도 긴장 정세를 악화시키는 행동을 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추이 대사는 중국의 대북 원유 공급 전면 중단 문제와 관련해서도 부정적인 견해를 재확인했다. 그는 “중국은 유엔 안보리의 대북 제재를 모두 이행할 것이며,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고 말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지난 14일 ‘아프게 하되 붕괴하도록 하지는 말자’는 제목의 기사에서 “중국은 북한의 도발에 대한 분노를 보여주되 (원유 공급 중단으로) 김정은 정권이 심각한 타격을 받는 것은 원하지 않는다”고 분석했다.
김동윤 기자 oasis9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