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객선 연간 이용객 1천500만 시대…출항점검 관리자 고작 103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03명이 전국 101개 항로, 기항지 219곳 출항 점검
해양관광 활성화로 연안여객선 이용객이 연간 1천500만명을 넘기면서 선박 안전 관리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 세월호 참사 이후 바다의 대중교통인 연안여객선 제도가 일부 개선됐지만 아직 곳곳에서 허점이 발견되고 있다.
지난 3년 사이 선박 출항 전 점검과 승선인 신분확인 절차, 선원 교육을 강화했지만 실제 섬 지역의 현장 점검 인력은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19일 해양수산부와 선박안전기술공단에 따르면 육지와 섬들을 연결하는 전국 여객선 항로는 101개 구간으로, 169척이 운항 중이다.
여객선들이 승객을 태우고 내리는 기항지 역시 219곳에 달하지만 출항 전 선박을 점검하는 실무를 담당하는 운항관리자는 현재 103명(정원 106명)에 불과하다.
운항관리실 근무 인력이 상당수인 점을 감안하면 도서 지역 항구 점검 인력은 수십 명뿐인 셈이다.
여객선과 화물선, 원양어선 입출항을 관리·감독하는 해수부 해사안전 감독관도 전국에 36명뿐이며 이마저도 대부분 대형 선박이 오가는 무역항에 배치돼 있다. 세월호 참사 후 정부가 안전관리 주체를 해양수산부로 일원화하면서 도서 지역 해양경찰은 점검 업무에서 제외됐다.
육지에서 출항할 때는 선사와 운항관리자, 해사안전 감독관이 화물 무게, 고박 상태 등을 점검하고 출항을 허가한다.
그러나 섬에서 출발할 때는 사실상 여객선 선원의 자체 점검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통상 도서 지역은 운항관리자가 상주하지 않고 한 달에 1∼3차례 출장을 가 선박 입·출항을 점검하고 있기 때문이다.
해운조합에서 하던 선박 점검 업무를 넘겨받은 선박안전기술공단은 73명이던 운항관리자를 30여 명 늘렸으나 인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공단은 올해 새 정부가 들어선 이후 운항관리자 17명 증원을 추진했으나 예산 등의 문제로 무산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용객들은 "연안여객선의 절반 이상이 차량과 승객을 함께 태우는 차도선인 점을 감안하면 화물 과적 등에 대한 상시 점검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미 개선한 제도를 원활하게 시행하기 위한 인프라 구축도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선박이나 항공기 발권·탑승 시 신분확인이 필수 절차가 되면서 주요 여객선 터미널과 지방공항에 '무인 민원 발급기'가 설치됐으나 대부분의 도서지역 여객선터미널에는 구비되지 않았다.
전국에 설치된 무인 민원 발급기는 3천570대로, 여객선 터미널에는 육지에 있는 대형 터미널을 중심으로 34대만 설치돼 있다.
목포여객선터미널에서 신안군의 섬들을 오가는 여객선사 관계자는 "면사무소에서 지문을 이용해 가족관계증명서를 발급받거나 가족을 통해 신분증이나 의료보험증 사진을 휴대전화로 전송받아 신원을 확인한 적이 있다"며 "목포여객선터미널처럼 무인 발급기가 있으면 훨씬 확인이 수월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진도의 부속 섬에 거주하는 주민은 "매일 버스 타듯 배를 이용하는 우리도 불편하지만, 관광객들이 면사무소도 없는 섬에서 신분증을 잃어버리면 그야말로 손발이 묶여버리는 것"이라며 무인 발급기 확대를 촉구했다.
(전국종합연합뉴스) 장아름 기자 areum@yna.co.kr
해양관광 활성화로 연안여객선 이용객이 연간 1천500만명을 넘기면서 선박 안전 관리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 세월호 참사 이후 바다의 대중교통인 연안여객선 제도가 일부 개선됐지만 아직 곳곳에서 허점이 발견되고 있다.
지난 3년 사이 선박 출항 전 점검과 승선인 신분확인 절차, 선원 교육을 강화했지만 실제 섬 지역의 현장 점검 인력은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19일 해양수산부와 선박안전기술공단에 따르면 육지와 섬들을 연결하는 전국 여객선 항로는 101개 구간으로, 169척이 운항 중이다.
여객선들이 승객을 태우고 내리는 기항지 역시 219곳에 달하지만 출항 전 선박을 점검하는 실무를 담당하는 운항관리자는 현재 103명(정원 106명)에 불과하다.
운항관리실 근무 인력이 상당수인 점을 감안하면 도서 지역 항구 점검 인력은 수십 명뿐인 셈이다.
여객선과 화물선, 원양어선 입출항을 관리·감독하는 해수부 해사안전 감독관도 전국에 36명뿐이며 이마저도 대부분 대형 선박이 오가는 무역항에 배치돼 있다. 세월호 참사 후 정부가 안전관리 주체를 해양수산부로 일원화하면서 도서 지역 해양경찰은 점검 업무에서 제외됐다.
육지에서 출항할 때는 선사와 운항관리자, 해사안전 감독관이 화물 무게, 고박 상태 등을 점검하고 출항을 허가한다.
그러나 섬에서 출발할 때는 사실상 여객선 선원의 자체 점검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통상 도서 지역은 운항관리자가 상주하지 않고 한 달에 1∼3차례 출장을 가 선박 입·출항을 점검하고 있기 때문이다.
해운조합에서 하던 선박 점검 업무를 넘겨받은 선박안전기술공단은 73명이던 운항관리자를 30여 명 늘렸으나 인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공단은 올해 새 정부가 들어선 이후 운항관리자 17명 증원을 추진했으나 예산 등의 문제로 무산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용객들은 "연안여객선의 절반 이상이 차량과 승객을 함께 태우는 차도선인 점을 감안하면 화물 과적 등에 대한 상시 점검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미 개선한 제도를 원활하게 시행하기 위한 인프라 구축도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선박이나 항공기 발권·탑승 시 신분확인이 필수 절차가 되면서 주요 여객선 터미널과 지방공항에 '무인 민원 발급기'가 설치됐으나 대부분의 도서지역 여객선터미널에는 구비되지 않았다.
전국에 설치된 무인 민원 발급기는 3천570대로, 여객선 터미널에는 육지에 있는 대형 터미널을 중심으로 34대만 설치돼 있다.
목포여객선터미널에서 신안군의 섬들을 오가는 여객선사 관계자는 "면사무소에서 지문을 이용해 가족관계증명서를 발급받거나 가족을 통해 신분증이나 의료보험증 사진을 휴대전화로 전송받아 신원을 확인한 적이 있다"며 "목포여객선터미널처럼 무인 발급기가 있으면 훨씬 확인이 수월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진도의 부속 섬에 거주하는 주민은 "매일 버스 타듯 배를 이용하는 우리도 불편하지만, 관광객들이 면사무소도 없는 섬에서 신분증을 잃어버리면 그야말로 손발이 묶여버리는 것"이라며 무인 발급기 확대를 촉구했다.
(전국종합연합뉴스) 장아름 기자 areum@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