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클 레펙 스탠퍼드대 교수 "학생들은 아이디어 보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글로벌 인재포럼 2017
"'T자형 인재'로 키우고 있다"
"4차 산업혁명으로 혁신 가속…완벽한 디지털화에 초점"
"'T자형 인재'로 키우고 있다"
"4차 산업혁명으로 혁신 가속…완벽한 디지털화에 초점"
마이클 레펙 교수(사진)는 스탠퍼드대 공대의 10대 아젠다 중 하나인 ‘지속가능한 도시 시스템(SUS)’ 프로젝트의 ‘리더’다. 도시공학을 비롯해 수처리 관리, 친환경 인프라 디자인, 행정학 등 학문 간 칸막이를 허문 협업 연구를 하고 있다. 그는 4차 산업혁명(인더스트리 4.0)에 대해 “서로 다르게 보이는 것을 이어주는 것”이라며 “‘T자’형 인재를 양성하는 게 스탠퍼드대 교육의 목표”라고 했다.
▷SUS 프로젝트에 대해 설명해달라.
“지구적인 급속한 도시화는 인류가 직면한 가장 큰 도전이자 기회다. 유엔은 앞으로 50년간 도시에서 발생할 성장이 인류가 지금껏 만든 성장에 필적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하지만 도시는 오염, 공해, 불평등, 소비지상주의 등 심각한 위협에 직면해 있기도 하다. 도시에서의 질 높은 삶을 어떻게 하면 지속가능하게 할 것인가를 연구하는 것이 SUS 프로젝트다.”
▷다양한 협업을 진행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공학과 인문·사회과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의 전문가와 협업 중이다. 인천시 등의 후원을 받아 송도에 스마트시티를 구축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이 조직은 앞으로 스탠퍼드대의 한국 본부로 커갈 것이다. 실리콘밸리와 한국을 잇는 가교 역할을 하는 셈이다.”
▷한국에선 4차 산업혁명이란 말이 유행이다.
“미국에선 잘 쓰지 않는 말이긴 하지만 ‘인더스트리 4.0’은 완벽한 디지털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새롭게 형성된 디지털 생태계 안에서 여러 가치 사슬망이 통합되는 것을 의미한다. 새로운 생태계와 플랫폼을 만드는 것인데 이는 혁신을 가속화하는 동력이다.”
▷끊임없는 혁신이 중요하다는 말인 것 같다.
“혁신의 주체는 똑똑한 개인이다. 새로운 플랫폼 위에서 이들 각자가 사회와 사람들이 해결하길 원하는 실제 문제들을 놓고 효과적으로 협업할 때 전에 없던 혁신이 일어난다. 내 경험상 혁신이라는 것은 농부가 하는 일과 비슷하다. 농부가 땅을 갈아 옥토를 만들어 씨를 뿌려야 하고, 거둔 농작물을 시장에 내다팔 수 있어야 한다는 의미에서다.”
▷스탠퍼드대가 지향하는 인재상은 무엇인가.
“T자형 인재다. 특히 공학도는 자신이 공부하는 분야의 정수를 이해해야 한다. 이런 깊이가 없으면 다른 학문과의 지적인 협업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스탠퍼드대에서 새로운 혁신이 많이 나오는 비결은.
“모든 결정이 ‘보텀 업’ 방식으로 이뤄지기 때문이다. 대학 본부는 교수가 새로운 연구를 시작하면 타 학문과 협업할 수 있도록 도와줄 뿐이다. 실리콘밸리의 팀워크 모델과 비슷하다. 스탠퍼드대는 아이디어를 사랑한다. 특히 학부생들이야말로 아이디어의 보고다. 그들은 교수들보다 훨씬 혁신적이다.”
새너제이=박동휘 기자 donghuip@hankyung.com
▷SUS 프로젝트에 대해 설명해달라.
“지구적인 급속한 도시화는 인류가 직면한 가장 큰 도전이자 기회다. 유엔은 앞으로 50년간 도시에서 발생할 성장이 인류가 지금껏 만든 성장에 필적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하지만 도시는 오염, 공해, 불평등, 소비지상주의 등 심각한 위협에 직면해 있기도 하다. 도시에서의 질 높은 삶을 어떻게 하면 지속가능하게 할 것인가를 연구하는 것이 SUS 프로젝트다.”
▷다양한 협업을 진행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공학과 인문·사회과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의 전문가와 협업 중이다. 인천시 등의 후원을 받아 송도에 스마트시티를 구축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이 조직은 앞으로 스탠퍼드대의 한국 본부로 커갈 것이다. 실리콘밸리와 한국을 잇는 가교 역할을 하는 셈이다.”
▷한국에선 4차 산업혁명이란 말이 유행이다.
“미국에선 잘 쓰지 않는 말이긴 하지만 ‘인더스트리 4.0’은 완벽한 디지털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새롭게 형성된 디지털 생태계 안에서 여러 가치 사슬망이 통합되는 것을 의미한다. 새로운 생태계와 플랫폼을 만드는 것인데 이는 혁신을 가속화하는 동력이다.”
▷끊임없는 혁신이 중요하다는 말인 것 같다.
“혁신의 주체는 똑똑한 개인이다. 새로운 플랫폼 위에서 이들 각자가 사회와 사람들이 해결하길 원하는 실제 문제들을 놓고 효과적으로 협업할 때 전에 없던 혁신이 일어난다. 내 경험상 혁신이라는 것은 농부가 하는 일과 비슷하다. 농부가 땅을 갈아 옥토를 만들어 씨를 뿌려야 하고, 거둔 농작물을 시장에 내다팔 수 있어야 한다는 의미에서다.”
▷스탠퍼드대가 지향하는 인재상은 무엇인가.
“T자형 인재다. 특히 공학도는 자신이 공부하는 분야의 정수를 이해해야 한다. 이런 깊이가 없으면 다른 학문과의 지적인 협업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스탠퍼드대에서 새로운 혁신이 많이 나오는 비결은.
“모든 결정이 ‘보텀 업’ 방식으로 이뤄지기 때문이다. 대학 본부는 교수가 새로운 연구를 시작하면 타 학문과 협업할 수 있도록 도와줄 뿐이다. 실리콘밸리의 팀워크 모델과 비슷하다. 스탠퍼드대는 아이디어를 사랑한다. 특히 학부생들이야말로 아이디어의 보고다. 그들은 교수들보다 훨씬 혁신적이다.”
새너제이=박동휘 기자 donghui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