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만 쉬고 있어도 폐암 진단한다
국내 의료진이 날숨 속 유기화합물을 분석해 폐암 발병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전상훈 분당서울대병원 흉부외과 교수(병원장·사진)팀과 이대식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연구원팀은 날숨을 활용한 폐암 진단 검사법을 개발했다고 25일 발표했다.

폐암 환자는 호흡 관련 단백질인 시토크롬 P450 혼합산화효소가 활성화된다. 이 과정에서 특정한 휘발성유기화합물 분해 속도가 빨라진다. 전 교수팀은 이를 토대로 폐암을 진단하는 바이오마커를 개발했다. 센서가 이를 분석해 알려주는 방식이다.

전 교수팀은 폐암 환자 37명과 정상인 48명의 날숨을 채취한 뒤 ETRI가 개발한 전자 코로 분석했다. 이를 인공지능(AI)으로 학습하게 한 뒤 분석했더니 수술 전 폐암 환자와 건강한 성인은 서로 다른 수치를 보였다. 수술받은 폐암 환자의 수치는 정상인과 비슷했다. 폐암 판별 정확도는 75% 정도였다.

폐암은 건강검진에서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공인된 선별검사가 없어 진단까지 시간이 걸린다. 사망률이 높은 이유다. 연구 결과를 활용하면 조기 진단율이 높아질 것으로 연구팀은 전망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센서앤드액추에이트 최근호에 실렸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