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형 4차 산업혁명 현장] 경북도, 스마트팩토리 신생태계 조성… 제조혁신 속도낸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제품 불량률 58% 감소
144개 기업 179억 비용절감
우수기업 발굴·혁신활동 지원
'공장새마을 운동'도 추진
144개 기업 179억 비용절감
우수기업 발굴·혁신활동 지원
'공장새마을 운동'도 추진
경상북도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새로운 성장 전략으로 철강, 전자, 자동차 등 주력 산업에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소프트웨어(SW), 로봇 등 기반기술을 융합한 ‘스마트인더스트리 @경북 플랫폼 전략’을 제시하면서 그동안 특화사업으로 추진해온 스마트팩토리 보급이 주목받고 있다.
경상북도와 경북창조경제센터는 2014년부터 당시 미래창조과학부의 커넥티드팩토리 사업, 2015년부터는 스마트팩토리 보급 사업을 발 빠르게 추진해 왔다. 4차 산업혁명이 국내에서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2~3년 전부터 스마트팩토리 보급에 눈을 뜬 것은 위기에 빠진 경북 지역 제조업을 회생시키는 특효약이 되고 있다.
경북창조경제혁신센터는 지역 제조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맞춤형(알뜰형) MES, 공정시뮬레이션, 제조자동화, 지능형 초정밀 가공 등의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보급 확산해 지역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해 왔다. 지난해 설비 투자금액의 50%, 최대 5000만원까지 지원해 378개 과제를 완료했다. 도와 센터는 올해까지 스마트팩토리 보급 기업을 545개로 늘리고 2020년에는 경북에 1000개의 스마트팩토리를 보급할 계획이다.
지역별로는 구미 경산 칠곡 영천을 중심으로 스마트팩토리 보급이 활발히 이뤄졌다.
센터가 스마트팩토리 보급에 따른 효과를 분석한 결과 196개 기업이 개선 전보다 생산성이 78% 증가했다. 제품 불량률은 178개 기업에서 58% 감소했다. 스마트팩토리 보급기업의 비용절감 효과도 높게 나타났다. 144개 기업이 총 179억원의 비용을 절감해 기업당 평균 1억2500만원 절감 효과를 봤다.
김진한 경북창조경제혁신센터장은 “경북은 제조 기반 비중이 높아 전국 17개 센터 가운데 유일하게 스마트팩토리 보급을 특화사업으로 진행했다”며 “경북창조경제센터 전담기업인 삼성의 전문가들이 상주하면서 중소기업이 필요한 요소 기술을 전수해주면서 빠르게 보급됐고 보급 효율도 높게 나타났다”고 소개했다. 센터는 스마트팩토리 도입을 완료한 기업 가운데 우수 기업을 발굴해 제조현장 혁신 활동을 지원하는 공장새마을 운동도 추진했다. 올해까지 이 사업을 추진한 회사는 72곳. 삼성의 전문가 3명이 한 개 조로 6~8주 동안 기업 임직원과 같이 생활하면서 제조현장의 혁신 활동을 도왔다.
경북에서 스마트팩토리 보급에 참가한 기업 대부분은 스마트팩토리 4단계 가운데 기초단계를 지나 2단계, 대기업은 3단계까지 진입한 상태다. 경상북도와 센터는 스마트팩토리 고도화사업을 올 하반기부터 시작해 스마트팩토리 앵커기업을 육성하는 한편 공급기업까지 육성해 스마트팩토리 자체가 하나의 산업이 되는 생태계를 조성할 계획이다.
로봇을 생산해 스마트팩토리를 공급하는 경북 성주의 S기업은 고객사 로봇 제조라인의 생산 패턴을 실시간 모니터링해 큰 고장이 나기 전 예지해주는 ‘고장예지 서비스’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송경창 도 창조산업실장은 “이런 서비스가 가능해야 제조와 서비스가 융합된 4차 산업혁명형 기업이 출현할 수 있고 기업의 부가가치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도와 센터는 경북의 앞선 스마트팩토리 보급을 통해 ‘하드웨어 창업’이라는 새로운 프로젝트도 진행한다. 김 센터장은 “창업기업들이 샘플을 사업화하거나 양산을 시작할 때 기존 지원기관의 지원이 취약한 구조”라며 “스마트팩토리화로 고도화된 기업이 스타트업과 협력해 창업을 돕고 기존 중소기업은 일감을 확보하면서 업종을 전환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말했다.
김종하 도 과학기술진흥팀장은 “경북창조경제혁신센터가 스마트팩토리를 특화사업으로 추진하면서 결국 창조경제센터 본연의 목표인 창업 활성화를 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고, 중소·중견기업도 하드웨어창업을 통해 일감 확보와 업종 전환의 기회를 얻게 됐다”고 말했다.
구미=오경묵 기자 okmook@hankyung.com
경상북도와 경북창조경제센터는 2014년부터 당시 미래창조과학부의 커넥티드팩토리 사업, 2015년부터는 스마트팩토리 보급 사업을 발 빠르게 추진해 왔다. 4차 산업혁명이 국내에서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2~3년 전부터 스마트팩토리 보급에 눈을 뜬 것은 위기에 빠진 경북 지역 제조업을 회생시키는 특효약이 되고 있다.
경북창조경제혁신센터는 지역 제조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맞춤형(알뜰형) MES, 공정시뮬레이션, 제조자동화, 지능형 초정밀 가공 등의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보급 확산해 지역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해 왔다. 지난해 설비 투자금액의 50%, 최대 5000만원까지 지원해 378개 과제를 완료했다. 도와 센터는 올해까지 스마트팩토리 보급 기업을 545개로 늘리고 2020년에는 경북에 1000개의 스마트팩토리를 보급할 계획이다.
지역별로는 구미 경산 칠곡 영천을 중심으로 스마트팩토리 보급이 활발히 이뤄졌다.
센터가 스마트팩토리 보급에 따른 효과를 분석한 결과 196개 기업이 개선 전보다 생산성이 78% 증가했다. 제품 불량률은 178개 기업에서 58% 감소했다. 스마트팩토리 보급기업의 비용절감 효과도 높게 나타났다. 144개 기업이 총 179억원의 비용을 절감해 기업당 평균 1억2500만원 절감 효과를 봤다.
김진한 경북창조경제혁신센터장은 “경북은 제조 기반 비중이 높아 전국 17개 센터 가운데 유일하게 스마트팩토리 보급을 특화사업으로 진행했다”며 “경북창조경제센터 전담기업인 삼성의 전문가들이 상주하면서 중소기업이 필요한 요소 기술을 전수해주면서 빠르게 보급됐고 보급 효율도 높게 나타났다”고 소개했다. 센터는 스마트팩토리 도입을 완료한 기업 가운데 우수 기업을 발굴해 제조현장 혁신 활동을 지원하는 공장새마을 운동도 추진했다. 올해까지 이 사업을 추진한 회사는 72곳. 삼성의 전문가 3명이 한 개 조로 6~8주 동안 기업 임직원과 같이 생활하면서 제조현장의 혁신 활동을 도왔다.
경북에서 스마트팩토리 보급에 참가한 기업 대부분은 스마트팩토리 4단계 가운데 기초단계를 지나 2단계, 대기업은 3단계까지 진입한 상태다. 경상북도와 센터는 스마트팩토리 고도화사업을 올 하반기부터 시작해 스마트팩토리 앵커기업을 육성하는 한편 공급기업까지 육성해 스마트팩토리 자체가 하나의 산업이 되는 생태계를 조성할 계획이다.
로봇을 생산해 스마트팩토리를 공급하는 경북 성주의 S기업은 고객사 로봇 제조라인의 생산 패턴을 실시간 모니터링해 큰 고장이 나기 전 예지해주는 ‘고장예지 서비스’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송경창 도 창조산업실장은 “이런 서비스가 가능해야 제조와 서비스가 융합된 4차 산업혁명형 기업이 출현할 수 있고 기업의 부가가치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도와 센터는 경북의 앞선 스마트팩토리 보급을 통해 ‘하드웨어 창업’이라는 새로운 프로젝트도 진행한다. 김 센터장은 “창업기업들이 샘플을 사업화하거나 양산을 시작할 때 기존 지원기관의 지원이 취약한 구조”라며 “스마트팩토리화로 고도화된 기업이 스타트업과 협력해 창업을 돕고 기존 중소기업은 일감을 확보하면서 업종을 전환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말했다.
김종하 도 과학기술진흥팀장은 “경북창조경제혁신센터가 스마트팩토리를 특화사업으로 추진하면서 결국 창조경제센터 본연의 목표인 창업 활성화를 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고, 중소·중견기업도 하드웨어창업을 통해 일감 확보와 업종 전환의 기회를 얻게 됐다”고 말했다.
구미=오경묵 기자 okmoo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