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고리 5·6호기 서울지역 순회토론회…발제·토론서 찬반 팽팽

신고리 5·6호기 건설을 놓고 논란이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각계 전문가들이 모여 치열한 찬반 논쟁을 벌였다.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가 주최하고 한국갈등학회가 주관한 '신고리 5·6호기 서울지역 순회토론회'가 26일 오후 서울 동대문구 구민회관에서 건설 재개 측과 건설 반대 측이 첨예하게 맞섰다.

신고리 건설 중단 측 대표로 발제에 나선 양이원영 환경운동연합 처장은 "이미 우리나라 핵폐기물 임시저장소는 포화단계"라며 "전기 소비도 앞으로 줄어들거나 정체가 될 전망이기 때문에 신고리 건설을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원전의 사고 확률이 낮아서 당장 사망한 피해자가 많지 않은 것처럼 보이지만 방사능은 수백 년, 수천 년간 땅을 오염시킨다"면서 "수도에 원전을 건설하는 나라는 없다.

100% 안전한 원전은 없기 때문이다"고 지적했다.

이어 "원전 중대사고 확률은 굉장히 과학적이고 수학적이지만 현실 세계는 책 속의 계산으로 해결되지 않는다"면서 "후쿠시마 1호기는 사고가 일어날 확률이 1억 년의 1번이라고 평가받았던 원전이었다"고 설명했다.

신고리 건설 재개 측 발제자인 정범진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는 "우리나라는 부존자원이 없어 에너지의 95%를 외국으로부터 수입하고 있다"면서 "원전이 위험하다는 괴담을 이용한 '공포 마케팅'을 멈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교수는 "체르노빌 원전 사고는 방사성 물질이 굉장히 많이 나왔지만, 사망자는 65명이었고 후쿠시마 원전 사고는 사망자가 없다"며 "우리나라는 40년간 사고 한 번 없이 원전을 운영했다"고 말했다.

이어 "원자력 발전이 아니면 파리기후협약 때 약속한 온실가스 감축도 불가능하다"며 "지금 신고리 건설을 중단하면 2조8천억 원의 세금이 낭비되고 1만2천여 명의 일자리가 위협된다"고 지적했다.

발제가 끝나고 본격적인 토론에 들어가자 양측의 설전은 뜨겁게 달아올랐다.

이성호 세종대 기후변화센터 연구위원은 "원자력 발전은 우라늄 채취·정제, 발전소 건설·해체, 처리 과정에서 온실가스가 상당히 발생한다"며 "원전이 경제적이고 위험하지 않으면 기후대응을 위해 유엔이 적극 나서지 않겠는가"라고 지적했다.

이에 정용훈 카이스트 원자력공학과 교수는 "원자력이 없으면 지구적 온실가스 문제 해결은 불가능하다"면서 "원자력은 현재까지 12ppm의 온실가스 농도감축에 기여했지만, 태양광과 풍력은 0.3ppm 감축에 기여했다"고 반박했다.

조영탁 한밭대 경제학과 교수는 "건설 재개 측도 신재생에너지를 늘려야 한다는 것을 인정하고, 건설 중단 측도 신재생에너지로 바로 전환하지 못한다는 것을 인정할 것"이라며 "결정 이후 관련 정책을 어떻게 보완할지 고민해야 한다"고 했다.

(서울연합뉴스) 최평천 기자 pc@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