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혁신위원회가 내년 6·4 지방선거에 출마할 후보자의 50% 이상을 청년·여성 등 정치 신인으로 채우는 내용의 공천제도 개혁을 추진한다. 최고위원회 의결 과정에서 논란이 예상된다.

혁신위는 27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의 ‘공천제도 혁신안’을 발표했다. 류석춘 혁신위원장은 “광역단체장(시·도지사), 기초단체장(구·시·군의 장), 광역·기초 지방의원 모두 50%를 정치 신인으로 공천한다는 원칙을 적용할 것”이라며 “정치판에 오래 있다고 선거에서 경쟁력이 있다는 것은 오해”라고 주장했다.

혁신위는 상향식 공천제도가 지역 유지 등 이른바 ‘토호 세력’들의 기득권 유지에 악용됐다고 분석했다. 류 위원장은 “2016년 제20대 총선 때 부산에서 상향식 공천을 통해 기득권을 가진 사람이 100% 공천되면서 결과적으로 새 인물이 전혀 들어오지 못했고 5석을 잃었다”고 예를 들었다.

한국당이 공천제도를 고치기 위해서는 최고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1000명의 주요 당원들이 참석하는 전국위원회 승인을 얻어야 한다.

또 지방선거는 지역별 자체 경선을 통해 후보자를 가려내는 만큼 정치 신인 비중을 맞추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류 위원장은 이 같은 현실적인 문제를 의식한 듯 “최고위에서 혁신안을 적극적으로 받아주지 않는다면 상황에 따라 중대 결심을 할 수도 있다”며 “1·2·3·4차 혁신안까지 모두 묶어 최고위에 보내겠다”고 말했다.

박종필 기자 j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