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27일 저녁 청와대 상춘재에서 열린 여야 4당 대표 초청 만찬회동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부터 주호영 바른정당 원내대표 겸 대표 권한대행,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 문 대통령,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 이정미 정의당 대표. 허문찬 기자 sweat@hankyung.com
문재인 대통령이 27일 저녁 청와대 상춘재에서 열린 여야 4당 대표 초청 만찬회동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부터 주호영 바른정당 원내대표 겸 대표 권한대행,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 문 대통령,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 이정미 정의당 대표. 허문찬 기자 sweat@hankyung.com
문재인 대통령은 27일 “협치를 위해 여·야·정 국정상설협의체를 조속히 구성하고 그 틀에서 안보 문제를 상시적으로 함께 협의해 나가자”고 말했다.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 주호영 바른정당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 이정미 정의당 대표 등 여야 4당 대표를 청와대 상춘재로 초청한 자리에서다.

문 대통령은 이날 “엄중한 상황 속에서 안보 문제만큼은 여야, 정부가 함께 힘을 모으는 모습을 보여준다면 국민에게 희망이 되고 경제에도 큰 힘이 될 것”이라며 이같이 제안했다. 이어 “우리가 주도할 수 없는 여건 속에서 주변 상황 때문에 평화가 위협받고 국민 안전이 위협받지 않을까 걱정이 많다”며 “경제가 다시 발목 잡히지 않을까 걱정도 많이 된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과 여야 당대표의 회동은 지난 7월19일에 이어 두 번째다.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는 “보여주기식 청와대 쇼에 들러리가 되지 않겠다”며 이번에도 불참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5월 여야 5당 원내대표와 회동한 자리에서도 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 이후 전병헌 청와대 정무수석이 국회에 협의체 구성을 지속적으로 요청했다. 야당은 협의체 구성의 주체는 청와대가 아니라 국회가 돼야 한다며 난색을 표했다.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여·야·정 상설협의체는 탁견”이라며 “이 자리에 유감스럽게도 참석하지 못한 자유한국당 홍준표 대표가 보여주기식 행사에는 참석하지 않겠다고 했는데, 각자 약속한 공통된 약속을 협치로 풀어나간다면 국민이 안보와 민생 위기 속에서 희망의 끈을 놓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자리에서도 이견을 노출했다. 주 대표 권한대행은 “대통령 주재 여·야·정 국정상설협의체는 자칫 국회가 대통령 밑에 있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는 문제 제기가 있다”며 “안보에 관한 여·야·정 국정상설협의체는 어떤 형식으로든 협의하겠으나 일반 여·야·정 국정상설협의체는 국회가 주도하고 교선답체만 참석하는 쪽으로 정리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만찬에서는 안보 문제가 주요 현안으로 다뤄졌다. 참석자들은 북한의 잇단 핵·미사일 도발로 한반도 안보 상황이 엄중하다는 데 동의했다.

추 대표는 “외교안보 문제에 여야가 있을 수 없다. 초당적 협력이 문제 해결의 전제 조건이라고 생각한다”며 “정치권이 평화 수호에 한목소리를 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안 대표는 시작부터 정부의 외교안보 정책에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안 대표는 “세계는 한국인이 (북한) 핵 위협에 둔감하다고 수군댄다고 한다”며 “우리의 노력은 철저히 한·미 간 기존 동맹을 공고히 하는 데 맞춰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청와대) 외교팀의 내부 혼선까지 겹쳐지니 더 불안하다. 여러 차례 안보 회담을 제안하고 우리 안보팀의 역량 문제를 제기한 것도 이런 점 때문”이라며 “오늘 대화를 통해 북한 핵 문제는 반드시 평화적으로 해결돼야 한다는 원칙과 동시에 북한의 무모한 행동을 확실히 억제할 수 있는 한·미 간 확실한 방법을 찾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주 대표 권한대행도 “대한민국의 안보를 대실패로 규정한다”며 각을 세웠다. 주 대표 권한대행은 “북한은 3대에 걸쳐 집요하게 핵을 개발한 데 반해 (우리는) 대통령의 짧은 임기를 거치며 임기 내 아무 일 없으면 된다고 관리하다가 이렇게 됐다”며 “대통령이 북핵에 대한 가장 많은 정보를 아니까, 얘기해주시고 국민을 안심시킬 복안도 말씀해주시길 바란다”고 요청했다.

이 대표는 “한반도 (안보 상황이) 엄중하기 때문에 기존 문법과 관성적 대응으로는 부족하지 않나 싶어 세 가지를 제안한다”며 중국과 외교적 복원을 위한 균형외교, 대북 특사 파견, 청와대 외교안보 라인 쇄신 등을 제안했다. 그러면서 “안보 위기를 관리할 때까지 대통령과 여야 5당 대표 회담을 정례화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덧붙였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