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성장률 전망 2.5→2.7%로 상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현대경제연구원, 2018년은 2.5%
현대경제연구원은 9일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5%에서 2.7%로 올렸다. 수출 호조가 이어지면서 내수도 회복 국면에 진입해 당초 예상보다 경기가 개선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하지만 여전히 정부(3.0%)와 한국은행(2.8%)보다는 성장률 전망을 낮게 잡았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지난 2분기 경제성장률이 전 분기 대비 하락했지만 현재 경기를 보여주는 경기동행지수는 기준치(100)를 웃돌았다고 분석했다. 수출은 하반기 들어서도 주력 수출 시장의 수요 확대로 확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설비투자가 회복되고 있는 데다 소비도 선행지표가 개선돼 경기가 회복 국면에 안착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했다.
하지만 건설투자는 민간과 공공부문 모두 침체 국면으로 진입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진단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가계부채의 경착륙과 건설투자 경기 급랭, 수출 시장에서 주요 2개국(G2) 리스크, 체감 경기와 지표 경기의 괴리, 경제 심리의 비관론 확산 등을 경기 회복세를 가로막는 위험 요인으로 꼽았다.
내년 경제성장률은 2.5%로 전망했다. 상반기 2.4%, 하반기 2.6%를 예상했다. 대외 여건 개선에도 국내 건설투자의 하방 위험이 확대돼 내년 건설투자 증가율이 0.1%에 그칠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
하지만 여전히 정부(3.0%)와 한국은행(2.8%)보다는 성장률 전망을 낮게 잡았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지난 2분기 경제성장률이 전 분기 대비 하락했지만 현재 경기를 보여주는 경기동행지수는 기준치(100)를 웃돌았다고 분석했다. 수출은 하반기 들어서도 주력 수출 시장의 수요 확대로 확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설비투자가 회복되고 있는 데다 소비도 선행지표가 개선돼 경기가 회복 국면에 안착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했다.
하지만 건설투자는 민간과 공공부문 모두 침체 국면으로 진입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진단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가계부채의 경착륙과 건설투자 경기 급랭, 수출 시장에서 주요 2개국(G2) 리스크, 체감 경기와 지표 경기의 괴리, 경제 심리의 비관론 확산 등을 경기 회복세를 가로막는 위험 요인으로 꼽았다.
내년 경제성장률은 2.5%로 전망했다. 상반기 2.4%, 하반기 2.6%를 예상했다. 대외 여건 개선에도 국내 건설투자의 하방 위험이 확대돼 내년 건설투자 증가율이 0.1%에 그칠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