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동물위생시험소는 AI구제역 발생 위험이 높은 올해 10월부터 내년 5월까지의 특별방역기간 동안 심각단계에 준하는 강력한 방역활동을 추진한다고 11일 발표했다.

이는
올해 세계적으로 57개국에서 AI가 1938건이나 발생하는 등 야생조류를 통한 유입 우려가 높아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도 동물위생시험소는
이에 따라 지난달 18일부터 29일까지 피해가 컸던 5만수 이상 대규모 산란계농장 106개소를 직접 방문해 사람·차량 간 동선분리, 분뇨반출 금지에 따른 보관장소 확보, 알 반출시 환적방안 마련 등 사전 준비 사항을 점검했다.

이와 함께
논 갈아엎기, 소하천 그물망설치, 사료통 주변 청결유지 등 야생조류 차단조치를 위한 방역 세부요령을 교육했다.


오리농장은 올 겨울철 동안
사육휴식제를 실시토록 유도하고 사육을 계속 하는 농장에 대해서는 조기 감염확인을 위해 25일령 전후 폐사체검사, 40일령 전후 출하 전 검사를 실시한다. 또한 병아리를 분양하는 종오리 농장에 대해서는 주1회 이상 AI검사를 실시하게 된다.


전통시장에 대해서는 거래상인을 대상으로
9월 중 GPS작동유무, 가금 거래기록 작성, 소독상황 등에 대한 점검·교육과 함께 운반차량과 계류장에 대한 바이러스 검사를 실시했고 앞으로도 주기적인 점검과 검사를 추진한다.


야생조류에 대한 예찰활동 차원에서는 철새도래지와 가금농가 사이에 위치한 논과 소하천 중심으로
AI 검사를 실시하고, 농장에 유입 위험을 알려주는 경보알림시스템을 구축·운영한다. 철새도래 상황, AI 바이러스 검출 시 방역요령에 대해서 수시 안내 문자서비스를 할 계획이다.


구제역의 경우는 지난
9(), 10(돼지) 일제접종을 추진하고, 누락농가 없이 접종이 잘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는 검사를 1011월중 집중 실시할 계획이다.

병규 동물위생시험소장은 “AI·구제역 발생 예방을 위해 농가와 관련업계 모두가 위험요인을 하나씩이라도 줄이려고 노력하고 차단방역에 최선을 다해달라시험소 내 조류질병대응팀을 새로 꾸려 현장점검과 홍보·교육에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의정부=윤상연 기자 syyoon111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