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내 중국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강함에도 불구하고 중국 간식은 틱톡, 유튜브 등 각종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타고 연이어 히트를 치고 있다. 설곤약, 마라 죽순 등 마라 열풍이 한번 지나간 후에는 달콤한 중국 간식인 탕후루 열풍이 불었다. 최근에는 늘어나는 식빵과 벽돌 초콜릿인 '빙산롱옌'과 크레이프로 만든 '수건 케이크' 등이 인기를 끌고 있다.이는 음식 문화는 정치적 감정과 별개로 소비자들에게 받아들여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지난해 12월 일본 언론 데일리신조는 "미 외교 전문매체 디플로맷이 중앙유럽아시아연구소(CEIAS)등 국제연구진이 2022년 한국 성인 남녀 136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중국을 '부정적', 또는 '매우 부정적'으로 인식한다고 답한 응답 비율은 81%에 달했다"며 "그런데도 한국 젊은이들 사이에서 중국산 디저트 탕후루는 대인기이며 한국 번화가에서 10대~ 20대 여성이 여러 가지 빛깔의 '탕후루'를 먹으면서 걷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고 보도했다.한국 내 반중 정서는 '동북공정' 등 역사 왜곡과 함께 코로나19, 미세먼지 문제 등이 맞물리며 작용한 결과로 해석된다. 디플로맷은 실제로 미세먼지는 지난 몇 년 간 한국과 중국 사이에서 뜨거운 논쟁거리가 됐다고 했다. 또한 한국인이 중국 하면 떠올리는 단어는 '코로나19'가 가장 많았고 이 밖에도 '역사 왜곡','더러움','가짜', '오염' 등 부정 적인 단어들이 주로 언급된 것으로 조사됐다고 덧붙였다.중국은 2011년 플라스틱으로 만든 '가짜달걀' 사건에 이어 '가짜우유', '가짜고기'등의 사건이 큰 충격을
“K컬처 열풍의 다음 아이템은 K패션이다. K패션을 이끄는 스타 디자이너들을 적극 육성해야 한다.”정준호 롯데백화점 대표(사진)는 5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린 ‘2025 서울패션위크’ 강연에서 이렇게 말했다. 정 대표는 “K컬처 열풍이 그동안 드라마, K팝 등 콘텐츠 중심이었다면 최근 점차 뷰티, 푸드, 패션 등 리테일 상품 중심으로 바뀌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작년 K뷰티 수출액이 100억달러를 넘어서고, 뉴욕에선 미쉐린 스타 식당 72개 중 11개가 한식 다이닝일 만큼 K푸드도 주목받고 있다”며 “K패션도 이런 흐름에 맞춰야 한다”고 했다.정 대표는 K패션 확산을 위해 스타 브랜드와 스타 디자이너를 지속적으로 발굴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대표적 K패션 브랜드인 ‘마뗑킴’ ‘분더캄머’ 등에 투자한 하고하우스를 예로 들었다. 그는 “기존 패션 대기업들이 매출 경쟁에 몰두하는 동안 하고하우스는 젊은 디자이너들을 발굴하고 재무적인 부담을 덜어주며 협력 관계를 구축했다”며 “이런 선순환 사례를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롯데백화점의 K패션 육성 전략도 소개했다. 롯데백화점 본점은 리뉴얼을 통해 9층 공간에 유망한 K패션 브랜드를 입점시키고, 외국인 관광객을 타깃으로 하는 브랜드 전문관인 ‘키네틱 그라운드’(가칭)로 운영할 계획이다. 본점 영플라자는 외국인 관광객이 K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복합 콘텐츠 공간’으로 운영한다는 구상이다.정 대표는 “외국인 관광객이 늘어날수록 도심 상권 개발의 중요성이 커질 것”이라며 “명동을 핵심 상권으로 키우기 위해
경기 침체로 서민·자영업자의 지갑과 밀접한 슈퍼나 편의점 수익성도 악화하고 있다.5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편의점과 슈퍼 등을 운영하는 GS리테일이 외형 성장은 이뤘으나 내실에서 다소 아쉬운 성적표를 냈다. GS리테일은 연결기준 작년 영업이익이 2391억원으로 전년보다 18.1%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5일 공시했다.매출은 11조6551억원으로 전년 대비 4.7% 증가했으나, 순손실이 261억원으로 적자로 돌아섰다.사업부별로 살펴보면 편의점 GS25 매출은 8조6661억원으로 전년(8조2457억원)보다 5.1% 늘었으나 영업이익은 2183억원에서 1946억원으로 10.9% 감소했다. 신규 출점으로 운영점이 늘면서 매출은 늘었으나 이에 따른 감가상각비 및 광고 판촉비 등이 덩달아 증가해 영업이익은 줄었다.슈퍼마켓 GS더프레시는 매출 1조6080억원, 영업이익 315억원으로 각각 11.1%, 15.4% 증가하며 두 자릿수의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갔다.홈쇼핑 GS샵의 매출은 1조521억원으로 7.0% 감소했고 영업이익도 1071억원으로 8.4% 줄었다. TV 시청자 감소 등에 따른 업황 부진 속에서도 모바일 부문 경쟁력이 받쳐주면서 1000억원대 영업이익을 지켜냈다는 데 의미를 뒀다.지난해 12월에 GS리테일과의 인적 분할이 완료된 호텔 사업 부문(GS피앤엘)은 이번 실적에 포함되지 않았다. 코스피 상장사인 GS피앤엘은 별도 실적 공시 대상이다.GS리테일의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은 277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48.6% 줄었다. 이 분기 매출과 순손실은 각각 2조9622억원과 656억원이었다.4분기엔 편의점 매출이 2조1972억원으로 6.3% 늘었으나 영업이익은 305억원으로 41.8% 감소했다. GS더프레시도 매출(4095억원)은 14.2% 증가한 반면에 영업이익(12억원)은 77.8% 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