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통화스와프 극적 타결… '관계 회복' 숨통 텄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종전과 같은 규모로 3년 연장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배치 이후 한국과 중국 간 외교 관계가 악화하면서 중단 위기에 처했던 한·중 통화스와프가 극적으로 연장됐다. 외교적 힘겨루기 속에서도 경제적 실리를 고리로 양국 관계를 회복시킬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국제통화기금·세계은행 연차총회에 참석하기 위해 미국 워싱턴DC를 방문 중인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2일(현지시간) 기자간담회에서 “한·중 통화스와프 협정을 연장하기로 한국과 중국이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새로운 한·중 통화스와프 협정 규모는 3600억위안(약 560억달러)으로 종전과 같고, 만기도 종전처럼 3년(만기일 2020년 10월10일)이다.
김 부총리는 “새로운 한·중 통화스와프 협정은 종전 만기일에서 하루가 지난 11일 발효됐다”며 “형식상으로는 신규지만 사실상 연장이나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한·중 양국은 10일에 통화스와프 협정 연장에 최종 합의했으나 기술적인 검토가 필요해 사흘 뒤 최종 발표하게 됐다”고 덧붙였다.
한국이 다른 국가와 체결한 통화스와프 규모는 총 1222억달러(약 135조원)다. 이 중 한·중 통화스와프 규모가 절반에 육박하는 46%를 차지해 가장 크다.
김은정 기자/워싱턴=박수진 특파원 kej@hankyung.com
국제통화기금·세계은행 연차총회에 참석하기 위해 미국 워싱턴DC를 방문 중인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2일(현지시간) 기자간담회에서 “한·중 통화스와프 협정을 연장하기로 한국과 중국이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새로운 한·중 통화스와프 협정 규모는 3600억위안(약 560억달러)으로 종전과 같고, 만기도 종전처럼 3년(만기일 2020년 10월10일)이다.
김 부총리는 “새로운 한·중 통화스와프 협정은 종전 만기일에서 하루가 지난 11일 발효됐다”며 “형식상으로는 신규지만 사실상 연장이나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한·중 양국은 10일에 통화스와프 협정 연장에 최종 합의했으나 기술적인 검토가 필요해 사흘 뒤 최종 발표하게 됐다”고 덧붙였다.
한국이 다른 국가와 체결한 통화스와프 규모는 총 1222억달러(약 135조원)다. 이 중 한·중 통화스와프 규모가 절반에 육박하는 46%를 차지해 가장 크다.
김은정 기자/워싱턴=박수진 특파원 ke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