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코바 이어 유네스코 역사상 두 번째 여성 총장

미국과 이스라엘의 잇따른 탈퇴 선언으로 곤경에 처한 유네스코(UNESCO·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의 새 수장에 여성인 오드리 아줄레이(45) 전 프랑스 문화부 장관이 선출됐다.

13일(현지시간) AP·AFP통신에 따르면 아줄레이 전 장관은 이날 열린 유네스코 이사회의 6차 결선 투표에서 카타르의 하마드 빈 압둘 알카와리 전 문화부 장관을 30대 28, 두 표차로 제쳤다.

아줄레이는 내달 10일 195개 유네스코 회원국들이 모두 참석하는 총회 투표에서 인준되면 이리나 보코바 현 사무총장의 뒤를 이어 유네스코의 새 사무총장으로 취임하게 된다.

아줄레이는 유네스코 역사상 두 번째 여성 사무총장으로, 그는 1961∼74년까지 총장을 역임했던 르네 마외 이후 프랑스인으로는 두 번째로 기구로 이끌게 됐다.

유네스코의 첫 여성 수장은 현 보코바 사무총장이다.

유대인인 아줄레이의 아버지는 모로코 출신으로, 그는 모로코 왕에게 큰 영향력을 행사했던 자문역이었다.

이런 연유로 아줄레이도 아랍 지역에 연줄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네스코의 최대 후원국이었던 미국과 이스라엘이 사무총장 투표에 앞서 기구를 탈퇴한 만큼 아줄레이 앞에는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고 AP통신은 전했다.

아줄레이도 선거 승리 후 한 연설에서 유네스코의 문제에 대한 대응은 오직 개혁뿐이라며 이를 외면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앞서 미국 국무부는 11일 성명을 통해 내년 말을 기점으로 유네스코를 탈퇴하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미 국무부는 "이번 결정은 가볍게 내려진 것이 아니며, 유네스코의 체납금 증가, 유네스코 조직의 근본적 개혁 필요성, 유네스코의 계속되는 반이스라엘 편견에 대한 미국의 우려를 반영한다"며 탈퇴 이유를 설명했다.

또 이스라엘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도 12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유네스코 탈퇴 결정을 "용기 있는 결단"이라고 평가하면서 이스라엘도 유네스코를 탈퇴하겠다고 밝혔다.

유네스코 분담금의 22%를 차지하는 미국의 탈퇴 선언에 대해 보코바 사무총장은 "폭력적 극단주의에 대한 싸움에서 교육과 문화교류에 대한 투자가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에 미국이 이 문제를 주도하는 우리 기구를 탈퇴하는 것은 깊은 유감"이라고 말했다.

보코바 사무총장은 지난 8년간 유네스코를 이끌어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