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9370원·서울 9211원·대전 9036원… 여당 지자체장이 생활임금 인상 앞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광역단체 17곳 중 12곳 시행
여당 지자체 8곳…야당은 4곳
임금액·인상폭도 여당이 높아
여당 지자체 8곳…야당은 4곳
임금액·인상폭도 여당이 높아
지방자치단체의 생활임금제 도입 여부는 해당 지자체장의 소속 정당에 따라 나뉘는 모양새다.
15일 각 지자체에 따르면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생활임금제를 운영하는 지자체는 12곳(70.5%)이다. 이 중 8곳(66.6%)의 자치단체장은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출신이다. 생활임금제를 운영하는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야당 출신 지자체장이 있는 곳은 경기도·제주시(바른정당)와 인천시·부산시(자유한국당) 등 4곳뿐이다.
광역자치단체 중 내년도 생활임금액이 가장 높은 곳은 전라남도(9370원)다. 전라남도는 민주당 출신인 이낙연 국무총리가 총리직을 맡게 된 이후 이재영 행정부지사가 도지사 권한대행을 수행 중이다. 전라남도를 비롯해 서울시(9211원), 대전시(9036원), 충청남도(8935원) 등 상위 4곳 모두 민주당 출신 지자체장이 있는 지자체다.
충청북도는 민주당 지자체장이 있는 광역자치단체 중 유일하게 생활임금제를 운영하지 않고 있다. 제도 도입에는 공감하지만 연간 10억원가량 드는 재원 마련 방안을 찾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생활임금액 증가율도 민주당 출신 지자체장이 있는 지자체가 크다. 올해 대비 내년도 생활임금 증가율을 보면 전라남도 21.8%, 대전시 18.4%, 충청남도 15.0%, 강원도 13.6% 등 민주당 출신 지자체장이 있는 지자체가 대체로 증가폭이 크다. 야당 출신 지자체장이 있는 곳은 인천시(자유한국당) 25.0%, 경기도(바른정당) 12.5%, 제주도(바른정당) 5.7% 등이다. 인천의 증가율이 가장 높은 건 올해 생활임금액(6880원)이 워낙 낮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인천의 내년도 생활임금액은 8600원으로 생활임금제를 운영하는 광역자치단체 12곳 중 9번째로 높다.
생활임금이 확산하자 일부 야권 성향 지자체도 여론에 떠밀려 생활임금제 도입을 고심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 지자체 고위관계자는 “그동안 생활임금에 대해 부정적이던 야권 성향의 지자체들도 어쩔 수 없이 도입 여부를 논의하는 등 눈치를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상용 기자 yourpencil@hankyung.com
15일 각 지자체에 따르면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생활임금제를 운영하는 지자체는 12곳(70.5%)이다. 이 중 8곳(66.6%)의 자치단체장은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출신이다. 생활임금제를 운영하는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야당 출신 지자체장이 있는 곳은 경기도·제주시(바른정당)와 인천시·부산시(자유한국당) 등 4곳뿐이다.
광역자치단체 중 내년도 생활임금액이 가장 높은 곳은 전라남도(9370원)다. 전라남도는 민주당 출신인 이낙연 국무총리가 총리직을 맡게 된 이후 이재영 행정부지사가 도지사 권한대행을 수행 중이다. 전라남도를 비롯해 서울시(9211원), 대전시(9036원), 충청남도(8935원) 등 상위 4곳 모두 민주당 출신 지자체장이 있는 지자체다.
충청북도는 민주당 지자체장이 있는 광역자치단체 중 유일하게 생활임금제를 운영하지 않고 있다. 제도 도입에는 공감하지만 연간 10억원가량 드는 재원 마련 방안을 찾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생활임금액 증가율도 민주당 출신 지자체장이 있는 지자체가 크다. 올해 대비 내년도 생활임금 증가율을 보면 전라남도 21.8%, 대전시 18.4%, 충청남도 15.0%, 강원도 13.6% 등 민주당 출신 지자체장이 있는 지자체가 대체로 증가폭이 크다. 야당 출신 지자체장이 있는 곳은 인천시(자유한국당) 25.0%, 경기도(바른정당) 12.5%, 제주도(바른정당) 5.7% 등이다. 인천의 증가율이 가장 높은 건 올해 생활임금액(6880원)이 워낙 낮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인천의 내년도 생활임금액은 8600원으로 생활임금제를 운영하는 광역자치단체 12곳 중 9번째로 높다.
생활임금이 확산하자 일부 야권 성향 지자체도 여론에 떠밀려 생활임금제 도입을 고심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 지자체 고위관계자는 “그동안 생활임금에 대해 부정적이던 야권 성향의 지자체들도 어쩔 수 없이 도입 여부를 논의하는 등 눈치를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상용 기자 yourpenci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