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규제 리스크로 잔뜩 움츠렸던 통신업종 주가에 장밋빛 전망이 스며들고 있다. 주가에 악재가 충분히 반영됐다는 분석에다 4차 산업혁명을 성장엔진으로 장착했다는 평가다. 단말기 완전자급제도 도입 가능성 역시 통신주에 호재다.

17일 KT의 주가는 전날보다 350원(1.14%) 내린 3만250원에 마감됐다. 지난달 26일 장중 2만8650원까지 떨어지며 52주 신저가를 기록했지만 보름 만에 5% 가량 상승했다..

LG유플러스의 주가도 지난달 21일 1만2700원을 저점으로 1만3000원선으로 반등했다. SK텔레콤도 전달 중순인 14일을 기점으로 반등해 10% 넘게 올랐다.

정부의 통신비 인하와 규제 강화로 업황에 그늘이 들었지만, 규제 리스크가 점차 해소되고 있다는 진단이다.

정부는 지난 6월 통신비 인하안을 발표, 지난달 15일 선택약정 할인율을 기존 20%에서 25% 상향했다. 취약계층 요금감면 정책은 연내 시행이 예상되고 있다. 입법 예고된 보편적 요금제는 아직 실시 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황성진 현대차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미 정책이슈들의 부정적 영향은 일정 부분 주가에 반영돼 규제 리스크를 딛고 주가 반등세를 시현할 타이밍이다"며 "마케팅비 감소와 맥락을 같이 하는 선택약정 할인율 상향의 영향은 장기간에 걸쳐 희석되어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국정감사에서 뜨거운 감자로 꼽히는 단말기 완전자급제 도입도 규제 리스크를 완화시키고 있다.

단말기 완전자급제란 휴대폰 단말기 판매는 제조사나 판매점이, 통신서비스 가입은 이통사 대리점이 하도록 분리하는 제도다. 소비자단체와 정치권은 스마트폰 출고가의 거품이 사라지고 통신비가 줄어들 것으로 기대 중이다.

이통사도 이 제도로 하여금 수혜를 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김홍식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단말기완전자급제 도입이 뜨거운 이슈로 떠오르면서 규제 리스크가 크게 낮아지고 있다"며 "자급제가 도입되면 사실상 정부의 이통사 요금 규제가 어려워진다"고 설명했다.

이통사들의 성장동력이 가입자가 아닌 서비스와 콘텐츠로 넘어온 시점에서 유통구조가 더 이상 사업자의 경쟁력과 차별적 요소가 되지 않는다는 지적도 잇따랐다.

전문가들은 규제 리스크가 한풀 꺾인 지금은 4차 산업혁명을 필두로한 신성장동력을 주목할 때라고 조언했다.

김장원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4차 산업혁명의 필수 조건은 모든 사물을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것으로 네트워크의 고도화가 필요해 통신사업자의 망 투자가 선행되어야 한다"며 "산업의 변화에 민감하고 높은 기술력을 갖춘 국내 이통사들의 시장 선점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황성진 연구원도 "향후 도래할 5G 환경 아래에서 통신 사업자들의 역할이 증대될 것"이라며 "유선 사업의 성장성 등 자체적인 성장 동력도 보유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김은지 한경닷컴 기자 eunin1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