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팽창정책 추진 안할 것" 시진핑의 립 서비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중국 19차 공산당대회 개막
대외정책 기조 바뀔까
"중국몽 강조한 것은 공세적 대외정책 예고"
대외정책 기조 바뀔까
"중국몽 강조한 것은 공세적 대외정책 예고"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18일 제19차 중국 공산당 전국대표대회(당대회) 업무보고에서 “중국은 절대로 헤게모니를 추구하거나 팽창 정책을 추진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시 주석 집권 1기(2013~2017년) 동안 국제사회 곳곳에서 ‘중국 위협론’이 제기된 것을 의식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시 주석의 이 같은 언급과는 별개로 중국은 시 주석 집권 2기(2018~2022년) 동안에도 국제 무대에서 공세적인 대외정책을 펼칠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이날 보고에서 시 주석이 “새로운 시대의 중국 특색 사회주의라는 위대한 승리를 취하고 중화민족의 위대한 ‘중국몽(中國夢)’을 실현하기 위해 끊임없이 분투하자”며 중국몽이란 키워드를 다시 꺼내든 것도 적극적인 대외정책을 시사하는 것이란 해석이 나오고 있다.
중국몽은 시 주석이 2012년 11월 18차 당대회에서 당 총서기에 오른 직후 제기한 것으로 덩샤오핑(鄧小平)이 대외정책의 원칙으로 제시한 ‘도광양회(韜光養晦: 재능을 드러내지 않고 때를 기다린다)’와의 결별을 선언한 것이었다.
시 주석은 이날 미국을 직접적으로 거론하진 않았지만 “어떤 국가도 홀로 인류가 직면한 모든 도전 과제에 대응할 수 없으며 어떤 국가도 고립으로 퇴보할 수 없다”고 발언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보호주의 정책을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따라서 시 주석 집권 2기 동안 미·중 양대 강국의 헤게모니 경쟁이 더 치열하게 펼쳐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견해다.
베이징 외교가에서는 19차 당대회를 기점으로 중국이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문제 등 일부 사안에 대해서는 다소 유연한 태도를 보일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한 소식통은 “그동안 시 주석이 사드 문제에 강경 기조로 일관한 건 다분히 당대회를 앞두고 대내적으로 강한 지도자의 이미지를 심어주기 위한 측면이 컸다”며 “당대회 이후 어떤 형태로건 한·중 관계 개선에 나설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김동윤 기자 oasis93@hankyung.com
중국몽은 시 주석이 2012년 11월 18차 당대회에서 당 총서기에 오른 직후 제기한 것으로 덩샤오핑(鄧小平)이 대외정책의 원칙으로 제시한 ‘도광양회(韜光養晦: 재능을 드러내지 않고 때를 기다린다)’와의 결별을 선언한 것이었다.
시 주석은 이날 미국을 직접적으로 거론하진 않았지만 “어떤 국가도 홀로 인류가 직면한 모든 도전 과제에 대응할 수 없으며 어떤 국가도 고립으로 퇴보할 수 없다”고 발언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보호주의 정책을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따라서 시 주석 집권 2기 동안 미·중 양대 강국의 헤게모니 경쟁이 더 치열하게 펼쳐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견해다.
베이징 외교가에서는 19차 당대회를 기점으로 중국이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문제 등 일부 사안에 대해서는 다소 유연한 태도를 보일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한 소식통은 “그동안 시 주석이 사드 문제에 강경 기조로 일관한 건 다분히 당대회를 앞두고 대내적으로 강한 지도자의 이미지를 심어주기 위한 측면이 컸다”며 “당대회 이후 어떤 형태로건 한·중 관계 개선에 나설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김동윤 기자 oasis9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