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방한 앞두고…미국 외교차관 "북한 전제조건 없이 협상 나오게 할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3국 6자회담 수석대표도 회동
한반도 안보상황 관리 등 협의
한반도 안보상황 관리 등 협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다음달 초 동아시아 순방을 앞두고 한·미·일 3국은 18일 서울에서 외교차관과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가 참석하는 연쇄 협의를 열고 북핵 문제 해결 공조 방안을 논의했다.
임성남 외교부 1차관과 존 설리번 미 국무부 부장관, 스기야마 신스케(杉山晋輔)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은 이날 서울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제7차 3국 외교차관 협의회를 열었다. 한·미·일 외교차관 협의회는 문재인 정부와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처음 열린다.
임 차관은 회담 후 공동 기자회견에서 “북핵 해결을 위해 북한에 압박을 가하는 가운데서도 한반도 상황의 안정적 관리가 긴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북핵 문제와 관련해 현재 상황에 대한 평가를 공유하면서 평화적 방식에 의한 완전한 북핵폐기라는 목표를 확인하고 3국 간 긴밀한 공조하에 제재와 대화를 포함한 가능한 모든 외교적 노력을 경주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설리번 부장관은 “우리 행정부는 외교에 집중하면서 압력을 계속할 것”이라며 “북한의 불법적 미사일 발사 등 잘못된 행동에 대한 (우리의) 목표는 압박을 통해 북한이 전제조건을 달지 않고 협상에 나오도록 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스기야마 차관은 “북한 문제를 비롯한 한·미·일 간 긴밀한 협조가 중요하며, 그 협조를 더욱 강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며 “북한에 대해 모든 옵션이 테이블 위에 있다는 입장을 표명한 미 정부의 생각을 높이 평가하고 북한 스스로 대화에 나오는 상황을 만들어 가는 것이 나아가야 할 방향”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오후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조셉 윤 미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 가나스기 겐지(金杉憲治)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 등 한·미·일 6자회담 수석대표도 3자 협의를 개최해 대북 전략을 논의했다. 한·미·일 3국의 외교차관 협의와 6자회담 수석대표 협의가 같은 날 이뤄진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내달 방한을 앞두고 한·미·일 3국이 북핵 문제 해결 공조수위를 최고조로 높이려는 것으로 해석된다.
김채연 기자 why29@hankyung.com
임성남 외교부 1차관과 존 설리번 미 국무부 부장관, 스기야마 신스케(杉山晋輔)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은 이날 서울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제7차 3국 외교차관 협의회를 열었다. 한·미·일 외교차관 협의회는 문재인 정부와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처음 열린다.
임 차관은 회담 후 공동 기자회견에서 “북핵 해결을 위해 북한에 압박을 가하는 가운데서도 한반도 상황의 안정적 관리가 긴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북핵 문제와 관련해 현재 상황에 대한 평가를 공유하면서 평화적 방식에 의한 완전한 북핵폐기라는 목표를 확인하고 3국 간 긴밀한 공조하에 제재와 대화를 포함한 가능한 모든 외교적 노력을 경주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설리번 부장관은 “우리 행정부는 외교에 집중하면서 압력을 계속할 것”이라며 “북한의 불법적 미사일 발사 등 잘못된 행동에 대한 (우리의) 목표는 압박을 통해 북한이 전제조건을 달지 않고 협상에 나오도록 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스기야마 차관은 “북한 문제를 비롯한 한·미·일 간 긴밀한 협조가 중요하며, 그 협조를 더욱 강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며 “북한에 대해 모든 옵션이 테이블 위에 있다는 입장을 표명한 미 정부의 생각을 높이 평가하고 북한 스스로 대화에 나오는 상황을 만들어 가는 것이 나아가야 할 방향”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오후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조셉 윤 미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 가나스기 겐지(金杉憲治)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 등 한·미·일 6자회담 수석대표도 3자 협의를 개최해 대북 전략을 논의했다. 한·미·일 3국의 외교차관 협의와 6자회담 수석대표 협의가 같은 날 이뤄진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내달 방한을 앞두고 한·미·일 3국이 북핵 문제 해결 공조수위를 최고조로 높이려는 것으로 해석된다.
김채연 기자 why2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