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은 총재, 국감서 기준금리 인상 시사…"시기 곧 도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사진)가 23일 기준금리 인상을 강력하게 시사했다. 인상 시기가 곧 도래한다는 발언도 내놨다.
이 총재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금리인상 가능성을 묻는 추경호 자유한국당 의원의 질문에 "불확실성이 많아서 경기회복 흐름이 견조한지 확인할 시간이 필요하지만 방향 자체는 (금리 인상이) 맞다고 본다"고 대답했다.
이 총재는 이어 "기준금리 결정 시 가장 중요하게 보는 것은 한은의 설립 목적인 경기와 물가상황"이라며 "그 다음에는 금융안정 리스크가 어느 정도인지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금리 인상 시그널을 여러차례 내비쳐온 한은이 이날 국감에서 인상 가능성을 재차 언급하면서 인상 시점이 한층 가까워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빠르면 11월, 늦어도 내년 1월 인상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앞서 한은은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8%에서 3.0%로 상향 조정했다. 이는 잠재성장률(2.8~2.9%)을 웃도는 수준이다. 성장세가 뚜렷해졌다고 본 것이다.
이날 이 총재는 "인상 시기가 곧 도래했다고 보느냐"는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문에 "현재 그렇게 보고 있다"고 답했다.
이 총재는 "경기 회복세가 견조한 흐름을 보이고 물가도 목표 수준에 수렴한 흐름을 보일 것이라는 확인이 된 시점에서 인상을 고려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물가 상승률은 중기적으로 목표으로 정한 2%에 수렴하는 상황"이라면서 "경제성장률은 (2.8~2.9%로 추정되는) 잠재성장률 수준을 회복한다고 한다면 인상을 고려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 중앙은행(Fed)가 오는 12월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관측되는 것에 대해 "Fed의 결정이 중요하지만 구속하는 것은 아니다"고 했다. 미국 금리인상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의견이다.
이 총재는 미국 금리인상에 대한 이언주 국민의당 의원의 질의에 "미 Fed가 12월에 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90%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 있다"며 "내년에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위원들이 세차례 정도 인상이 적절하지 않겠느냐라고 보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미국의 기준금리는 현재 1.00~1.25% 수준으로 한국(1.25%)과 같은 수준이다. 미국이 기준금리 추가 인상에 나설 경우 국내 수준보다 높아지는 '금리 역전'이 발생하게 된다. 시장에서는 외국인 자본 유출에 대한 우려가 제기됐었다.
이에 대해 이 총재는 "급격한 유출은 되지 않을 것"이라고 낙관했다. 그는 "만약 Fed가 금리를 올리게 되면 한·미 정책금리는 12월에 역전 현상이 있을 수 있겠다"며 "일반적으로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전반적으로 국제금리 상승과 달러화 강세 등의 영향은 있겠지만 시장에 이미 반영됐기 때문에 큰 폭의 변동은 예상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자본유출 촉진 요인은 되겠으나 이것만 갖고 결정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상황을 고려해보면 급격한 유출은 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안혜원 한경닷컴 기자 anhw@hankyung.com
이 총재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금리인상 가능성을 묻는 추경호 자유한국당 의원의 질문에 "불확실성이 많아서 경기회복 흐름이 견조한지 확인할 시간이 필요하지만 방향 자체는 (금리 인상이) 맞다고 본다"고 대답했다.
이 총재는 이어 "기준금리 결정 시 가장 중요하게 보는 것은 한은의 설립 목적인 경기와 물가상황"이라며 "그 다음에는 금융안정 리스크가 어느 정도인지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금리 인상 시그널을 여러차례 내비쳐온 한은이 이날 국감에서 인상 가능성을 재차 언급하면서 인상 시점이 한층 가까워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빠르면 11월, 늦어도 내년 1월 인상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앞서 한은은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8%에서 3.0%로 상향 조정했다. 이는 잠재성장률(2.8~2.9%)을 웃도는 수준이다. 성장세가 뚜렷해졌다고 본 것이다.
이날 이 총재는 "인상 시기가 곧 도래했다고 보느냐"는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문에 "현재 그렇게 보고 있다"고 답했다.
이 총재는 "경기 회복세가 견조한 흐름을 보이고 물가도 목표 수준에 수렴한 흐름을 보일 것이라는 확인이 된 시점에서 인상을 고려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물가 상승률은 중기적으로 목표으로 정한 2%에 수렴하는 상황"이라면서 "경제성장률은 (2.8~2.9%로 추정되는) 잠재성장률 수준을 회복한다고 한다면 인상을 고려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 중앙은행(Fed)가 오는 12월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관측되는 것에 대해 "Fed의 결정이 중요하지만 구속하는 것은 아니다"고 했다. 미국 금리인상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의견이다.
이 총재는 미국 금리인상에 대한 이언주 국민의당 의원의 질의에 "미 Fed가 12월에 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90%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 있다"며 "내년에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위원들이 세차례 정도 인상이 적절하지 않겠느냐라고 보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미국의 기준금리는 현재 1.00~1.25% 수준으로 한국(1.25%)과 같은 수준이다. 미국이 기준금리 추가 인상에 나설 경우 국내 수준보다 높아지는 '금리 역전'이 발생하게 된다. 시장에서는 외국인 자본 유출에 대한 우려가 제기됐었다.
이에 대해 이 총재는 "급격한 유출은 되지 않을 것"이라고 낙관했다. 그는 "만약 Fed가 금리를 올리게 되면 한·미 정책금리는 12월에 역전 현상이 있을 수 있겠다"며 "일반적으로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전반적으로 국제금리 상승과 달러화 강세 등의 영향은 있겠지만 시장에 이미 반영됐기 때문에 큰 폭의 변동은 예상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자본유출 촉진 요인은 되겠으나 이것만 갖고 결정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상황을 고려해보면 급격한 유출은 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안혜원 한경닷컴 기자 anh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