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풍성한 산촌특구, 5년간 30개 육성할 것"
일본 고치현(高知縣) 동부 아키군(安芸郡)의 중북부에 있는 우마지촌(馬路村)은 총면적 1만6552㏊의 96%가 산림인 전형적인 산촌마을이다. 이 마을 주민 900여 명은 협동조합과 주식회사를 각각 세워 마을 특산품인 유자와 목재를 일본 전국에 유통시켰다. 그 결과 마을은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매년 30억엔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마을을 방문하는 관광객도 매년 6만 명에 달할 정도로 발전했다. 일본 산림청과 고치현, 주민들이 2000년부터 산촌마을 개발사업을 벌인 결과다.

우리나라도 전국 109개 시·군 중 466개 읍·면 단위의 산촌마을이 있지만 개발계획은 이제 걸음마 단계다. 산촌마을을 산촌특구로 개발해 수익과 일자리를 창출할 산림청 일자리혁신본부가 지난 8월에야 출범했다.

일자리혁신본부를 총괄하는 김재현 산림청장(사진)은 23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2022년까지 7454억원을 투입해 30개 시·군을 산촌특구로 육성해 일자리 6만 개를 창출하겠다”고 밝혔다. 산림청은 산촌자원 발굴·육성(458억원)과 산림관광산업(2392억원), 산림생명산업(4016억원), 산촌 활성화 기반 구축(588억원) 등의 사업을 벌일 계획이다. 김 청장은 “30개 시·군을 비즈니스 모델로 삼아 전국적으로 확대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청장은 “부가가치가 높은 산촌특구를 조성하려면 무엇보다 사람이 중요하다”고 했다. 산촌으로 귀농하는 귀산촌인을 늘려 산촌특구를 키우겠다는 전략이다. 귀산촌인은 2014년 6만2824명에서 2015년 6만8928명, 지난해 6만9900명으로 증가 추세다. 이를 위해 산림청은 지역 단위 중간지원 조직인 산림 일자리발전소(가칭)를 조직하기로 했다. 일자리발전소는 일자리 본부와 지방자치단체, 시민단체, 현장을 연결하는 중간지원 조직이다. 산촌 내 개발자원을 발굴하고 이를 전문성과 네트워크를 갖춘 민간조직과 연계해 우마지촌처럼 조합, 회사 등 생산단위를 조직화한다는 계획이다.

김 청장은 귀산촌인 지원도 늘리겠다고 했다. 산림청은 산촌창업자금을 지난해 50억원에서 올해 240억원으로 190억원 늘렸다. 2022년까지 400억원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김 청장은 “산촌을 미래 선진 공간으로 육성해 국가 균형발전의 새로운 동력으로 삼겠다”고 강조했다.

대전=임호범 기자 lh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