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비과세 펀드] 길고 긴 '불황의 터널' 끝나나?… 해운업종 다시 봐야할 세 가지 이유
아무리 불황에 시달리는 산업이라도 한순간의 기회는 찾아오는 법이다. 지금 한창 주가를 올리고 있는 반도체산업도 한때는 과잉공급으로 불황에 시달렸다. 불황의 터널을 통과 중이거나 장기적으로 구조조정 효과를 누릴 수 있는 업종이라면 관심을 둬야 하는 이유다. 현재 글로벌 해운업종이 바로 이런 과정을 통과하고 있다.

해운업종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배경은 크게 두 가지다. 첫째는 고질적 문제로 지목됐던 고비용 구조의 개선이다. 과거 해운업은 연료비와 용선료(선박 임차 비용) 부담이 컸다. 용선료는 고정가격으로 장기계약을 한 게 문제였다. 해운사들의 주 수입원인 운임이 상승하는 시기라면 별 문제가 없겠으나 하락 사이클로 접어든다면 엄청난 수익성 악화 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오랫동안 해운업을 억눌러온 장기계약 만료시점이 돌아오고 있다. 계약을 갱신할 때 용선료가 떨어지면서 해운업계의 비용구조가 점차 개선되는 상황이다. 또한 전반적으로 선박 발주량이 감소하면서 새로 건조되는 선박 취득 비용도 하락하고 있다. 물론 국제 유가 하락으로 인한 유류비 부담 완화도 업계로서는 환영할 만한 변화다.

두 번째 이유는 물동량 회복이다. 대표적 무역국가인 우리나라의 수출입 지표들이 말해주듯이 무역량이 전 세계적으로 회복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의 세계수출금액지수는 지난해 상당히 하락했으나 올 들어 상승세로 바뀌었다. 해운업 주가와 세계수출금액 증감률은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여왔다. 해상운임을 반영하는 중요 지표인 발틱운임지수(BDI)는 지난 7월을 바닥으로 안정적인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글로벌 해운업은 현재 치열하게 구조조정을 하고 있다. 경쟁력이 없는 기업들이 퇴출되면서 과잉 경쟁 구조가 해소되는 모습을 확인한다면 긴 호흡으로 해운업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해운업과 같은 경기민감산업은 개별 기업의 저평가 여부보다는 업종 전체의 수익성이 바닥을 통과하는 시점을 판단하려는 노력이 더 중요하다.

전 세계적으로 해운업에 분산투자하는 대표적인 상장지수펀드(ETF)로는 구겐하임해운 ETF(SEA.US)를 들 수 있다. 이 ETF는 투자하는 기업 수가 30여 개로 많지 않다. 하지만 전체 투자금액의 70%를 선진국 기업에 투자한다. 지속적인 구조조정 효과와 장기적인 수익성 개선이 가시화되는 산업에 투자하고 싶은 투자자에게는 구겐하임해운 ETF를 권하고 싶다.

김도현 < 삼성증권 해외주식팀 수석위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