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월세살이' 강남 20~30대 47만원… 도심 60대의 2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원욱 의원, 서울시 월세계약 조사 결과 공개
서울의 서민층 중 강남권에 사는 20~30대가 내는 월세는 평균 47만원으로 종로 등 도심에 거주하는 60대 이상 노인층의 월세 24만원의 2배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원욱 의원은 25일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월세계약조사 분석 자료를 공개했다.
이는 서울시가 작년 8월부터 1년간 서울에서 고시원이나 다가구 주택 등에 월세로 들어가 전입신고는 했지만 확정일자를 받지 않은 9천506명을 대상으로 월세계약 현황을 조사한 결과다.
이들은 집의 보증금이 높지 않아 확정일자를 받을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거나 임대 수입이 드러날 것을 우려한 집 주인의 반대 등의 이유로 전입신고는 하되 확정일자는 받지 않은 서민층으로 추정된다.
이 때문에 고가 아파트 월세 세입자는 이번 조사에서 제외됐다.
◇ 강남 2030은 고가 오피스텔…도심 60대는 저가 주택
서울시는 서울 25개구를 도심·동남·동북·서남·서북 등 5개 권역으로 나누고 연령대는 20~30대(2030)와 40~50대(4050), 60대 이상 등 3개 그룹으로 묶어 분석했다.
지역 권역과 연령대에 따라 거주 형태가 확연히 구별되기 때문이다.
도심은 종로·중구·용산, 동남은 강남·서초·송파·강동 등 강남 4구, 서북은 은평·서대문·마포, 서남은 양천·강서·구로·금천·영등포·동작·관악, 동북은 그외 한강 이북 지역이다. 집 보증금은 보통 200만~300만원대로 비슷했으나 월세는 지역과 연령대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가장 많은 월세를 내는 계층과 지역은 동남권의 2030으로 평균 보증금 200만원에 월세는 47만원을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일 적은 보증금 200만원에 월세 24만원을 내는 도심 60대 이상과 비교하면 2배 수준이다.
서울시는 "월세만으로 평가하면 동남권 2030은 비교적 고가인 오피스텔에 많이 거주하고 있으며 주로 단독가구에 있는 도심권 60대 이상에 비해 주거비 부담 능력이 우월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9천506명 중에서 2030은 전 지역에서 40~60%대의 분포를 보였다.
2030의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은평·서대문·마포 등 서북권으로 60.59%에 달했다.
4050은 강남4구인 동남권에서 39.40%로 가장 높았고 60대 이상은 도심 19.89%가 가장 높았다.
연령대별 1인가구 현황을 보면 2030이 평균 26㎡의 면적에 보증금 250만원, 월세 40만원의 주택에 거주해 주거비 부담이 가장 높았다.
4050은 39㎡에 보증금 300만원, 월세는 35만원이었고, 60대 이상은 30㎡에 보증금 300만원, 월세는 25만원으로 가장 적었다. ◇ 고시원 평균 월세 30만원…오피스텔은 50만원
서울시는 주택 유형별로 평균 월세와 면적 등 거주 현황을 조사했다.
고시원은 평균 5㎡에 보증금 200만원, 월세는 관리비를 포함해 30만원인 것으로 파악됐다.
고시원의 월세는 2030은 40만원인 반면 4050과 60대 이상은 각 25만원으로 큰 차이를 보였다. 오피스텔의 경우 평균 25㎡에 보증금 250만원, 월세는 50만원이었다.
관리비는 별도다.
2030의 월세는 48만원으로 4050과 60대 이상의 월세 50만원보다 적었다.
상가 내 주택은 평균 20㎡에 보증금은 225만원, 월세는 관리비 포함해 37만원이었다.
2030의 월세가 40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60대 이상은 24만원으로 적었다.
단독·다가구는 평균 30㎡에 보증금 300만원, 월세는 35만원이었다. 서울 25개 구 중 거주 유형별로 연령대와 상관없이 가장 높은 월세를 내는 곳을 조사했다.
이 결과 고시원의 경우 강동구로 60만원에 달했다.
가장 저렴한 도봉구 22만원의 3배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오피스텔은 송파구가 68만원으로 가장 비쌌고 강서구·강동구·양천구가 40만원으로 제일 쌌다.
상가주택은 강남구가 52만원, 단독·다가구는 강남·마포구가 각 50만원으로 월세가 가장 높았다.
앞서 서울시는 2개월간 월세 현황을 조사한 바 있으나 이같이 1년의 데이터를 분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원욱 의원은 "청년층의 월세 부담이 만만치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60대 이상 인구도 열악한 주거 환경에 거주하는 것으로 파악됐다"며 "정부는 주거복지 로드맵 등을 마련할 때 연령층, 지역별 각기 다른 환경을 반영할 수 있는 세심한 정책을 펼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원욱 의원은 25일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월세계약조사 분석 자료를 공개했다.
이는 서울시가 작년 8월부터 1년간 서울에서 고시원이나 다가구 주택 등에 월세로 들어가 전입신고는 했지만 확정일자를 받지 않은 9천506명을 대상으로 월세계약 현황을 조사한 결과다.
이들은 집의 보증금이 높지 않아 확정일자를 받을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거나 임대 수입이 드러날 것을 우려한 집 주인의 반대 등의 이유로 전입신고는 하되 확정일자는 받지 않은 서민층으로 추정된다.
이 때문에 고가 아파트 월세 세입자는 이번 조사에서 제외됐다.
◇ 강남 2030은 고가 오피스텔…도심 60대는 저가 주택
서울시는 서울 25개구를 도심·동남·동북·서남·서북 등 5개 권역으로 나누고 연령대는 20~30대(2030)와 40~50대(4050), 60대 이상 등 3개 그룹으로 묶어 분석했다.
지역 권역과 연령대에 따라 거주 형태가 확연히 구별되기 때문이다.
도심은 종로·중구·용산, 동남은 강남·서초·송파·강동 등 강남 4구, 서북은 은평·서대문·마포, 서남은 양천·강서·구로·금천·영등포·동작·관악, 동북은 그외 한강 이북 지역이다. 집 보증금은 보통 200만~300만원대로 비슷했으나 월세는 지역과 연령대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가장 많은 월세를 내는 계층과 지역은 동남권의 2030으로 평균 보증금 200만원에 월세는 47만원을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일 적은 보증금 200만원에 월세 24만원을 내는 도심 60대 이상과 비교하면 2배 수준이다.
서울시는 "월세만으로 평가하면 동남권 2030은 비교적 고가인 오피스텔에 많이 거주하고 있으며 주로 단독가구에 있는 도심권 60대 이상에 비해 주거비 부담 능력이 우월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9천506명 중에서 2030은 전 지역에서 40~60%대의 분포를 보였다.
2030의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은평·서대문·마포 등 서북권으로 60.59%에 달했다.
4050은 강남4구인 동남권에서 39.40%로 가장 높았고 60대 이상은 도심 19.89%가 가장 높았다.
연령대별 1인가구 현황을 보면 2030이 평균 26㎡의 면적에 보증금 250만원, 월세 40만원의 주택에 거주해 주거비 부담이 가장 높았다.
4050은 39㎡에 보증금 300만원, 월세는 35만원이었고, 60대 이상은 30㎡에 보증금 300만원, 월세는 25만원으로 가장 적었다. ◇ 고시원 평균 월세 30만원…오피스텔은 50만원
서울시는 주택 유형별로 평균 월세와 면적 등 거주 현황을 조사했다.
고시원은 평균 5㎡에 보증금 200만원, 월세는 관리비를 포함해 30만원인 것으로 파악됐다.
고시원의 월세는 2030은 40만원인 반면 4050과 60대 이상은 각 25만원으로 큰 차이를 보였다. 오피스텔의 경우 평균 25㎡에 보증금 250만원, 월세는 50만원이었다.
관리비는 별도다.
2030의 월세는 48만원으로 4050과 60대 이상의 월세 50만원보다 적었다.
상가 내 주택은 평균 20㎡에 보증금은 225만원, 월세는 관리비 포함해 37만원이었다.
2030의 월세가 40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60대 이상은 24만원으로 적었다.
단독·다가구는 평균 30㎡에 보증금 300만원, 월세는 35만원이었다. 서울 25개 구 중 거주 유형별로 연령대와 상관없이 가장 높은 월세를 내는 곳을 조사했다.
이 결과 고시원의 경우 강동구로 60만원에 달했다.
가장 저렴한 도봉구 22만원의 3배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오피스텔은 송파구가 68만원으로 가장 비쌌고 강서구·강동구·양천구가 40만원으로 제일 쌌다.
상가주택은 강남구가 52만원, 단독·다가구는 강남·마포구가 각 50만원으로 월세가 가장 높았다.
앞서 서울시는 2개월간 월세 현황을 조사한 바 있으나 이같이 1년의 데이터를 분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원욱 의원은 "청년층의 월세 부담이 만만치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60대 이상 인구도 열악한 주거 환경에 거주하는 것으로 파악됐다"며 "정부는 주거복지 로드맵 등을 마련할 때 연령층, 지역별 각기 다른 환경을 반영할 수 있는 세심한 정책을 펼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