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임금도 못주는 중소기업 많은데… 노조서 무리한 요구 말아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문성현 노사정위원장의 '쓴소리'
정규직 전환 '1차 걸림돌'은 기득권 가진 정규직 노조
중소기업 재정 상황 등 고려 않는 정부의 노동정책 말도 안돼
상황 어려운데 극한 대립만…구조조정 가능한 나라 돼야
정규직 전환 '1차 걸림돌'은 기득권 가진 정규직 노조
중소기업 재정 상황 등 고려 않는 정부의 노동정책 말도 안돼
상황 어려운데 극한 대립만…구조조정 가능한 나라 돼야
문성현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장은 8일 조찬토론회에서 “모든 노동 문제는 중소기업의 지급능력과 연관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기본적으로 정부가 추진하는 최저임금 1만원, 근로시간 단축,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등 노동정책 방향은 틀림없이 맞다고 생각한다”며 “하지만 중소기업의 지급능력을 고려하지 않은 노동정책은 성립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중소기업 지급능력 키워야”
대표적으로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정책을 들었다. 문 위원장은 “우리나라 비정규직이 500만 명이고,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격차가 연 2000만원 수준”이라며 “(비정규직 임금을 정규직 수준으로) 상향 평준화하려면 연 100조원(500만 명×연 2000만원)이 들고, 1000만원만 올려줘도 50조원”이라고 했다. 그는 “정규직화 정책은 결국 중소기업이 50조원을 만들 수 있느냐의 문제”라고 했다.
최저임금도 마찬가지라고 했다. 그는 “최저임금을 내년 시간당 7530원에서 1만원으로 올리려면 2500원을 더 올려줘야 하는데 이것도 계산해 보면 10조원 정도 필요하다”며 “이번엔 정부가 재정을 지원하지만 내년 이후에는 어디에서 돈을 가져올 것이냐”고 물었다. 그는 “국가 재정으로 하는 건 5조원 이상 힘들 것 같고 남은 부분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하청관계를 개선하고 전기료와 카드 수수료 등을 중소기업에 유리하게 바꿔서 채워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중소기업이 시급 7530원도 지급할 능력이 없는데 1만원을 주라는 건 성립이 안 되는 말”이라며 “최저임금 정책은 중소기업 정책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정규직 노조의 양보 필요”
노조의 역할을 강조하기도 했다. 그는 “그래도 재원이 마련되지 않으면 계산을 다 해봤는데 안 될 것 같으면 그 다음엔 어떻게 하나. 그땐 노조가 채워줘야 한다”고 말했다.
문 위원장은 “대한민국 주류 사회엔 노동이 이미 자리 잡았다”며 “전체 조직률은 10%밖에 안 되지만 300인 이상 사업장의 60%, 500인 이상 사업장의 80%에 노조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공무원 노조에 속한 분들은 다 시험을 치고 와서 신분적으로 확고한데 이분들이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한다고 할 때 흔쾌히 동의하겠는가”라며 “그렇지 않다. 이 문제를 풀어나가는 데 있어서 1차적 걸림돌은 정규직 노동조합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기간제 교사도 마찬가지”라며 “이런 문제에서 사회적 대화를 통해 같이 가야 하고, 친해져야 한다”고 말했다.
문 위원장은 “11월13일이 전태일 기일인데 전태일은 전도유망한 재단사이자 정규직이었다”며 “전태일은 밑에 일하는 시다(보조원) 여공들을 위해 노동운동을 한 것”이라고 했다. 그는 “영국 버밍엄 석탄 노동자들에게 손을 내민 사람들도 같은 지역 노동자였다”며 “동료들끼리 손을 내밀어야 한다”고 말했다.
“구조조정 가능한 나라 돼야”
노동의 유연 안정성(유연성+안정성)도 비중 있게 언급했다. 그는 “1997년 현대자동차 정리해고 투쟁 현장에 내가 있었는데 누가 보더라도 자동차산업의 구조조정이 불가피했다”며 “그런데 노와 사는 왜 이렇게 극한으로 부딪쳐야 했는가 고민했다”고 했다. 그는 “우리나라가 나중에 이런 상황이 또 온다면 구조조정이 가능한 나라가 돼야 한다”며 “합리적인 방식으로 이 문제를 흡수할 수 있는 ‘유연 안정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문 위원장은 “사용자 입장에선 노조의 자주적 입장을 이해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개입하려고 해도 개입이 안 되고 비용도 많이 든다”며 “조금 불편한 노조도 세월이 가면 같이 갈 수 있고 합리적 노사관계로 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노조는 기업의 지급능력을 인정해주고, 사용자는 노조의 자주성을 인정하는 관계가 되면 노사 문제는 해결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위원장은 토론회를 주관한 ‘노사관계 최고지도자 과정(노고지) 총동문회(회장 백헌기)’와의 인연도 소개했다. 그는 “노고지에 대해 노무현 전 대통령으로부터 처음 들었다”며 “굴곡진 노사관계의 역사에서 한국노동연구원이 축적해온 역량이 있기 때문에 우리 노동의 미래가 있는 게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과정은 1989년 처음 개설됐다. 노 전 대통령도 이 과정을 수료했다.
■ 문성현은
△1952년 경남 함양 출생
△진주고, 서울대 경영학과 졸업
△동양기계 노조 사무국장
△전국노동운동단체협의회 공동의장
△민주노총 금속연맹 위원장
△민주노동당 대표
△더불어민주당 선대위 노동위원회 상임공동위원장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장
심은지 기자 summit@hankyung.com
"중소기업 지급능력 키워야”
대표적으로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정책을 들었다. 문 위원장은 “우리나라 비정규직이 500만 명이고,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격차가 연 2000만원 수준”이라며 “(비정규직 임금을 정규직 수준으로) 상향 평준화하려면 연 100조원(500만 명×연 2000만원)이 들고, 1000만원만 올려줘도 50조원”이라고 했다. 그는 “정규직화 정책은 결국 중소기업이 50조원을 만들 수 있느냐의 문제”라고 했다.
최저임금도 마찬가지라고 했다. 그는 “최저임금을 내년 시간당 7530원에서 1만원으로 올리려면 2500원을 더 올려줘야 하는데 이것도 계산해 보면 10조원 정도 필요하다”며 “이번엔 정부가 재정을 지원하지만 내년 이후에는 어디에서 돈을 가져올 것이냐”고 물었다. 그는 “국가 재정으로 하는 건 5조원 이상 힘들 것 같고 남은 부분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하청관계를 개선하고 전기료와 카드 수수료 등을 중소기업에 유리하게 바꿔서 채워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중소기업이 시급 7530원도 지급할 능력이 없는데 1만원을 주라는 건 성립이 안 되는 말”이라며 “최저임금 정책은 중소기업 정책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정규직 노조의 양보 필요”
노조의 역할을 강조하기도 했다. 그는 “그래도 재원이 마련되지 않으면 계산을 다 해봤는데 안 될 것 같으면 그 다음엔 어떻게 하나. 그땐 노조가 채워줘야 한다”고 말했다.
문 위원장은 “대한민국 주류 사회엔 노동이 이미 자리 잡았다”며 “전체 조직률은 10%밖에 안 되지만 300인 이상 사업장의 60%, 500인 이상 사업장의 80%에 노조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공무원 노조에 속한 분들은 다 시험을 치고 와서 신분적으로 확고한데 이분들이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한다고 할 때 흔쾌히 동의하겠는가”라며 “그렇지 않다. 이 문제를 풀어나가는 데 있어서 1차적 걸림돌은 정규직 노동조합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기간제 교사도 마찬가지”라며 “이런 문제에서 사회적 대화를 통해 같이 가야 하고, 친해져야 한다”고 말했다.
문 위원장은 “11월13일이 전태일 기일인데 전태일은 전도유망한 재단사이자 정규직이었다”며 “전태일은 밑에 일하는 시다(보조원) 여공들을 위해 노동운동을 한 것”이라고 했다. 그는 “영국 버밍엄 석탄 노동자들에게 손을 내민 사람들도 같은 지역 노동자였다”며 “동료들끼리 손을 내밀어야 한다”고 말했다.
“구조조정 가능한 나라 돼야”
노동의 유연 안정성(유연성+안정성)도 비중 있게 언급했다. 그는 “1997년 현대자동차 정리해고 투쟁 현장에 내가 있었는데 누가 보더라도 자동차산업의 구조조정이 불가피했다”며 “그런데 노와 사는 왜 이렇게 극한으로 부딪쳐야 했는가 고민했다”고 했다. 그는 “우리나라가 나중에 이런 상황이 또 온다면 구조조정이 가능한 나라가 돼야 한다”며 “합리적인 방식으로 이 문제를 흡수할 수 있는 ‘유연 안정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문 위원장은 “사용자 입장에선 노조의 자주적 입장을 이해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개입하려고 해도 개입이 안 되고 비용도 많이 든다”며 “조금 불편한 노조도 세월이 가면 같이 갈 수 있고 합리적 노사관계로 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노조는 기업의 지급능력을 인정해주고, 사용자는 노조의 자주성을 인정하는 관계가 되면 노사 문제는 해결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위원장은 토론회를 주관한 ‘노사관계 최고지도자 과정(노고지) 총동문회(회장 백헌기)’와의 인연도 소개했다. 그는 “노고지에 대해 노무현 전 대통령으로부터 처음 들었다”며 “굴곡진 노사관계의 역사에서 한국노동연구원이 축적해온 역량이 있기 때문에 우리 노동의 미래가 있는 게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과정은 1989년 처음 개설됐다. 노 전 대통령도 이 과정을 수료했다.
■ 문성현은
△1952년 경남 함양 출생
△진주고, 서울대 경영학과 졸업
△동양기계 노조 사무국장
△전국노동운동단체협의회 공동의장
△민주노총 금속연맹 위원장
△민주노동당 대표
△더불어민주당 선대위 노동위원회 상임공동위원장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장
심은지 기자 summi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