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금리 내리고 기준금리 오르면 "카드사·저축은행 경영 위기 올 수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내년 최고금리 27.9%→24%
한국은행은 금리 인상 가능성
조달비용 부담 커져 '직격탄'
상환능력 부족한 취약차주
불법 사금융 내몰릴 수도
한국은행은 금리 인상 가능성
조달비용 부담 커져 '직격탄'
상환능력 부족한 취약차주
불법 사금융 내몰릴 수도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리면 카드사와 캐피털사, 저축은행 등이 심각한 경영위기에 봉착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현재 연 27.9%인 최고금리가 내년부터 연 24%로 낮춰져 운용처는 줄고 대출금리가 떨어지는데, 2금융 업체들의 조달금리는 크게 오르기 때문이다.
◆“금리 인상은 은행엔 호재”
산업은행 미래전략개발부는 10일 ‘비은행 금융회사의 성장과 건전성 관리’라는 보고서에서 “금리가 인상되면 취약차주 비중이 높은 카드사, 저축은행 등 일부 비(非)은행 금융산업은 건전성이 약화되고 수익성이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금리가 오르면 소득이 작거나 신용등급이 낮은 취약차주는 빚 상환 부담이 커진다. 문제는 이런 취약차주가 카드사나 저축은행에 몰려있다는 점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가계 신용대출금액 중 연소득 3000만원 미만이면서 신용도가 7~10등급인 취약차주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저축은행(22.6%)이다. 카드사 등 여신전문금융회사는 취약차주 비중이 11.4%로 두 번째로 높았다. 반면 은행과 보험사의 취약차주 비중은 2.6%, 7%에 그쳤다.
이시은 산은 선임연구원은 “취약차주의 이자 상환능력이 떨어지면 카드사나 저축은행의 건전성은 덩달아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며 “더구나 내년 1월 법정 최고금리가 연 27.9%에서 연 24%로 인하되는 데 따른 수익성 하락도 예상돼 적극적인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현재 주요 저축은행의 가계 신용대출 평균 금리는 연 27% 수준이다. 최고금리가 연 24%로 내려가면 수익성 하락은 불가피하다.
반면 은행과 보험사는 금리 인상이 기회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됐다. 은행권은 상대적으로 높은 신용등급 차주가 많기 때문에 금리 인상으로 예대금리차가 높아지고 이자 이익도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보험사 역시 금리가 오르면 1990년대에 판매한 금리 확정형 상품의 역마진 부담이 줄어서 영업 측면에서 유리하다. 대출자산의 이자마진도 오르는 데다 운용자산 수익률까지 개선될 여지가 많다.
◆고민 많은 저축은행
결국 직격탄을 맞아야 하는 카드사와 저축은행은 걱정이 태산이다.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취약차주에 대한 대출 승인율을 줄일 수밖에 없다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이로 인해 취약차주가 불법 사금융으로 내몰리는 사례가 급증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금리가 오르면 대출 금리도 올려야 마땅하지만 최고금리가 내려가는 마당에 말도 못 꺼낸다”며 “신용도 7등급 미만에게 나가는 대출을 줄여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주요 카드사들은 태스크포스(TF)를 꾸려 금리 인상 대응방안을 고민 중이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금리 인상으로 취약차주 부실 우려는 커지는데 카드론 금리는 못 올리는 상황이어서 난감하다”고 토로했다.
일각에선 이러다 ‘2011년 저축은행 사태’처럼 갑자기 부실이 터질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한다. 문 닫는 저축은행이 나올 거란 얘기마저 나온다. 한 저축은행 대표는 “금리를 마음대로 적용하지 못하면 망하거나 스스로 문을 닫는 업체가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금융당국에선 우려 수준이 심각하지 않다고 진단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금리 인상으로 2금융 업체들의 건전성이 다소 떨어질 수는 있지만 ‘제2의 저축은행 사태’까지 걱정할 만큼 심각한 상황은 아닌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정지은/김순신 기자 jeong@hankyung.com
산업은행 미래전략개발부는 10일 ‘비은행 금융회사의 성장과 건전성 관리’라는 보고서에서 “금리가 인상되면 취약차주 비중이 높은 카드사, 저축은행 등 일부 비(非)은행 금융산업은 건전성이 약화되고 수익성이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금리가 오르면 소득이 작거나 신용등급이 낮은 취약차주는 빚 상환 부담이 커진다. 문제는 이런 취약차주가 카드사나 저축은행에 몰려있다는 점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가계 신용대출금액 중 연소득 3000만원 미만이면서 신용도가 7~10등급인 취약차주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저축은행(22.6%)이다. 카드사 등 여신전문금융회사는 취약차주 비중이 11.4%로 두 번째로 높았다. 반면 은행과 보험사의 취약차주 비중은 2.6%, 7%에 그쳤다.
이시은 산은 선임연구원은 “취약차주의 이자 상환능력이 떨어지면 카드사나 저축은행의 건전성은 덩달아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며 “더구나 내년 1월 법정 최고금리가 연 27.9%에서 연 24%로 인하되는 데 따른 수익성 하락도 예상돼 적극적인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현재 주요 저축은행의 가계 신용대출 평균 금리는 연 27% 수준이다. 최고금리가 연 24%로 내려가면 수익성 하락은 불가피하다.
반면 은행과 보험사는 금리 인상이 기회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됐다. 은행권은 상대적으로 높은 신용등급 차주가 많기 때문에 금리 인상으로 예대금리차가 높아지고 이자 이익도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보험사 역시 금리가 오르면 1990년대에 판매한 금리 확정형 상품의 역마진 부담이 줄어서 영업 측면에서 유리하다. 대출자산의 이자마진도 오르는 데다 운용자산 수익률까지 개선될 여지가 많다.
◆고민 많은 저축은행
결국 직격탄을 맞아야 하는 카드사와 저축은행은 걱정이 태산이다.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취약차주에 대한 대출 승인율을 줄일 수밖에 없다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이로 인해 취약차주가 불법 사금융으로 내몰리는 사례가 급증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금리가 오르면 대출 금리도 올려야 마땅하지만 최고금리가 내려가는 마당에 말도 못 꺼낸다”며 “신용도 7등급 미만에게 나가는 대출을 줄여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주요 카드사들은 태스크포스(TF)를 꾸려 금리 인상 대응방안을 고민 중이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금리 인상으로 취약차주 부실 우려는 커지는데 카드론 금리는 못 올리는 상황이어서 난감하다”고 토로했다.
일각에선 이러다 ‘2011년 저축은행 사태’처럼 갑자기 부실이 터질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한다. 문 닫는 저축은행이 나올 거란 얘기마저 나온다. 한 저축은행 대표는 “금리를 마음대로 적용하지 못하면 망하거나 스스로 문을 닫는 업체가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금융당국에선 우려 수준이 심각하지 않다고 진단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금리 인상으로 2금융 업체들의 건전성이 다소 떨어질 수는 있지만 ‘제2의 저축은행 사태’까지 걱정할 만큼 심각한 상황은 아닌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정지은/김순신 기자 je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