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대용량 데이터도 IoT 네트워크로 전송"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진화된 IoT 전용망 ‘LTE Cat.M1’ 개발
에릭슨·퀄컴과 상용 LTE 기지국에서 기술 고도화
에릭슨·퀄컴과 상용 LTE 기지국에서 기술 고도화
![SK텔레콤 "대용량 데이터도 IoT 네트워크로 전송"](https://img.hankyung.com/photo/201711/01.15186637.1.jpg)
‘LTE Cat.M1’은 지난해 3월 국제 표준화단체 3GPP에서 표준화한 기술로 최고 1Mbps의 속도를 제공한다. 기존 대용량 IoT 망 기술인 LTE-M보다 배터리 수명·데이터 전송 효율 등에서 한층 발전한 기술이다. 이를 활용하면 음성·사진 등 중·대용량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서비스도 가능해져 고객의 IoT 네트워크 활용폭이 대폭 확대될 전망이다.
SK텔레콤은 지난해 12월 ‘LTE Cat.M1’ 기술을 개발해 올해 초 분당 종합기술원 시험망에서 기술 검증을 마쳤다. 지난 8월부터는 에릭슨·퀄컴과 국내 최초로 상용 LTE 기지국에서 기술 적용 및 필드 테스트를 통해 기술을 고도화했다.
‘LTE Cat.M1’은 기존 LTE-M 대비 통신 모듈 가격이 저렴해 IoT 기기 제작 비용을 크게 낮출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업체들이 IoT 생태계에 동참할 수 있을 전망이다. 낮아지는 제작 비용만큼 제품 구매 고객들의 이용료 부담도 줄어들어 IoT생태계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SK텔레콤은 저전력·저용량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서비스에는 로라(LoRa) 네트워크로, 대용량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서비스에는 LTE-M 네트워크로 IoT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번에 ‘LTE Cat.M1’ 기술을 확보함에 따라 LTE-M의 진화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
SK텔레콤은 ‘LTE Cat.M1’과 로라 상용 네트워크 연동에도 성공했다. IoT 기기에서 수집된 음성 등과 같은 상대적으로 큰 데이터는 ‘LTE Cat.M1’으로, 기기의 위치나 수치 정보 같은 저용량 데이터는 로라 네트워크로 전송해 하나의 서버에서 분석하고 관리할 수 있다.
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hana@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