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북한, 비교적 절제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 11일 北 외무성 대변인 담화 관련
“2014년 오바마 방한 당시엔 즉각적으로 고강도 비난 공세” 통일부는 13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국빈 방한과 아시아 순방에 대한 북한의 반응에 대해 “이전과 비교해 형식과 내용 면에서 비교적 절제됐다”고 평가했다.
백태현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북한이 지난 11일 트럼프 대통령의 아시아 순방 관련 외무성 대변인 담화를 발표한 것에 대해 이 같이 말했다.
백 대변인은 “단순 비교하긴 어렵지만 (북한은) 2014년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방한 당시엔 출국 다음날 부터 조평통(조국평화통일위원회) 대변인 성명, 외무성 대변인 담화 등을 통해 즉각적이고 강도 높은 비난 공세를 했으나 이번엔 출국 3일 후 외무성 대변인 담화를 통해 입장을 표명했다”고 설명했다. 또 “내용 면에 있어서도 지난 9월 북한의 김정은 국무위원장 성명 등과 비교할 때 군사적 대응 조치 위협이 없고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인신 비방도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백 대변인은 “우리 정부는 북핵 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고 한반도의 항구적인 평화 체제를 정착시키겠다고 밝혀온 바 있다”며 “북한이 무모한 도발과 위협을 중단하고 대화의 장으로 나와 올바른 선택 시 밝은 미래가 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밝힌다”고 강조했다. 북·미 대화 가능성에 대해선 “관련 동향들을 좀 더 예의 주시하겠다”고 전했다.
북한은 지난 11일 외무성 대변인 담화를 내고 트럼프 대통령의 아시아 순방에 대해 ‘호전광의 대결 행각’이라고 비난했다. 하지만 군사적 대응에 대해 거론하지 않아 비교적 수위가 낮았다는 평가가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2일 자신의 트위터에 “나는 김정은을 ‘키 작은 뚱보’라고 하지 않는데, 왜 그는 내게 ‘늙다리’라고 비난하냐”며 “난 김정은과 친구가 되기 위해 애쓰고 있고, 그럴 일이 일어날지도 모른다”고 밝혔다.
이미아 기자 mia@hankyung.com
“2014년 오바마 방한 당시엔 즉각적으로 고강도 비난 공세” 통일부는 13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국빈 방한과 아시아 순방에 대한 북한의 반응에 대해 “이전과 비교해 형식과 내용 면에서 비교적 절제됐다”고 평가했다.
백태현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북한이 지난 11일 트럼프 대통령의 아시아 순방 관련 외무성 대변인 담화를 발표한 것에 대해 이 같이 말했다.
백 대변인은 “단순 비교하긴 어렵지만 (북한은) 2014년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방한 당시엔 출국 다음날 부터 조평통(조국평화통일위원회) 대변인 성명, 외무성 대변인 담화 등을 통해 즉각적이고 강도 높은 비난 공세를 했으나 이번엔 출국 3일 후 외무성 대변인 담화를 통해 입장을 표명했다”고 설명했다. 또 “내용 면에 있어서도 지난 9월 북한의 김정은 국무위원장 성명 등과 비교할 때 군사적 대응 조치 위협이 없고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인신 비방도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백 대변인은 “우리 정부는 북핵 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고 한반도의 항구적인 평화 체제를 정착시키겠다고 밝혀온 바 있다”며 “북한이 무모한 도발과 위협을 중단하고 대화의 장으로 나와 올바른 선택 시 밝은 미래가 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밝힌다”고 강조했다. 북·미 대화 가능성에 대해선 “관련 동향들을 좀 더 예의 주시하겠다”고 전했다.
북한은 지난 11일 외무성 대변인 담화를 내고 트럼프 대통령의 아시아 순방에 대해 ‘호전광의 대결 행각’이라고 비난했다. 하지만 군사적 대응에 대해 거론하지 않아 비교적 수위가 낮았다는 평가가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2일 자신의 트위터에 “나는 김정은을 ‘키 작은 뚱보’라고 하지 않는데, 왜 그는 내게 ‘늙다리’라고 비난하냐”며 “난 김정은과 친구가 되기 위해 애쓰고 있고, 그럴 일이 일어날지도 모른다”고 밝혔다.
이미아 기자 mi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