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 두둑히 쌓아둔 일본 기업들 "임금 인상보다 M&A에 쓰겠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작년 유보금 211조엔 '사상 최대'
일본 주요 기업이 현금 등 유동 자산을 대규모로 보유하고 있지만 이들 자금을 임금 인상보다는 기업 인수합병(M&A) 등에 사용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닛케이리서치가 대기업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사내유보금 항목에 응답한 245개사 중 23%가 보유 자금을 M&A에 사용할 것이라고 답했다. 임금 인상에 사용하겠다는 응답은 4%에 불과했다.
M&A에 자금을 썼다는 응답은 5%, 임금을 인상했다는 답변은 4%로 실제 행동에 나선 비율은 상대적으로 미미했다. 대다수 기업이 자금을 쌓아둔 채 ‘눈치 보기’만 하고 있는 것이다. 로이터통신은 일본 정부의 적극적인 임금 인상 지원정책에도 불구하고 일본 기업들이 임금 인상에 소극적인 이유로 인구 감소 등 향후 불안 요인이 많은 점을 꼽았다.
앞서 아사히신문은 일본 재무성 법인기업통계조사 데이터를 인용해 2016년 말 기준 일본 기업이 보유한 현금과 예금이 211조엔 규모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아베노믹스(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경제정책)가 시행되기 전인 2011년 말에 비해 30%(48조엔)가량 늘어난 것이다. 기업들의 순이익이 2016년 50조엔대로 ‘거품경제’ 전성기인 1989년 수준(18조엔)을 크게 뛰어넘었지만 인건비 등은 늘지 않아 기업의 현금성 자산 보유 규모가 늘어났다는 분석이다.
아사히신문은 “1990년대 아시아 금융위기와 2008년 리먼 사태 등을 거치면서 안전 위주 경영문화가 자리잡았다”며 “일본 주요 기업이 정규직을 늘리거나 투자를 확대하는 것을 주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도쿄=김동욱 특파원 kimdw@hankyung.com
13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닛케이리서치가 대기업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사내유보금 항목에 응답한 245개사 중 23%가 보유 자금을 M&A에 사용할 것이라고 답했다. 임금 인상에 사용하겠다는 응답은 4%에 불과했다.
M&A에 자금을 썼다는 응답은 5%, 임금을 인상했다는 답변은 4%로 실제 행동에 나선 비율은 상대적으로 미미했다. 대다수 기업이 자금을 쌓아둔 채 ‘눈치 보기’만 하고 있는 것이다. 로이터통신은 일본 정부의 적극적인 임금 인상 지원정책에도 불구하고 일본 기업들이 임금 인상에 소극적인 이유로 인구 감소 등 향후 불안 요인이 많은 점을 꼽았다.
앞서 아사히신문은 일본 재무성 법인기업통계조사 데이터를 인용해 2016년 말 기준 일본 기업이 보유한 현금과 예금이 211조엔 규모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아베노믹스(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경제정책)가 시행되기 전인 2011년 말에 비해 30%(48조엔)가량 늘어난 것이다. 기업들의 순이익이 2016년 50조엔대로 ‘거품경제’ 전성기인 1989년 수준(18조엔)을 크게 뛰어넘었지만 인건비 등은 늘지 않아 기업의 현금성 자산 보유 규모가 늘어났다는 분석이다.
아사히신문은 “1990년대 아시아 금융위기와 2008년 리먼 사태 등을 거치면서 안전 위주 경영문화가 자리잡았다”며 “일본 주요 기업이 정규직을 늘리거나 투자를 확대하는 것을 주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도쿄=김동욱 특파원 kimd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