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곤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15일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포항 지진과 관련해 긴급 브리핑을 하고 16일로 예정된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한 주 뒤인 23일로 연기한다고 발표했다. 수능 예비소집일인 이날 오후 경북 포항에서 일어난 규모 5.4의 지진 여파다. 교육부는 상황 점검 결과 안전상 문제를 우려해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 재난으로 수능이 연기되는 것은 1994학년도 수능 시행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2006학년도와 2011학년도에도 수능이 연기됐지만 각각 아시아태평양경제공동체(APEC),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의 한국 개최로 수개월 전 일정이 변경됐다.

< 참고서 다 버렸는데 > 수능 예정일을 하루 앞둔 15일 서울의 한 학원에 수험생들이 버린 참고서와 문제지가 산더미처럼 쌓여 있다.  /독자 제공
< 참고서 다 버렸는데 > 수능 예정일을 하루 앞둔 15일 서울의 한 학원에 수험생들이 버린 참고서와 문제지가 산더미처럼 쌓여 있다. /독자 제공
◆안전·형평성 고려해 전격 연기

김 부총리는 “포항 지역 수능 시험장 점검 결과 균열 발생 등 피해가 있었고 행정안전부가 수능 연기를 요청했다”며 “학생 안전과 시험 시행 및 형평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수능을 1주일 연기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지진과 같은 재난재해로 대입 시험이 연기되는 것은 초유의 사태다. 1992학년도 후기 대입 학력고사를 앞두고 문제지 유출로 시험을 연기한 적이 있으나 수능 도입 후에는 처음 있는 일이다. 교육부는 지난해 9월 경북 경주에서 강진이 발생한 뒤 여진이 이어지자 ‘재난 대처 시나리오’를 마련하는 등 준비를 갖췄으나 수능은 정상적으로 치렀다.

일선 학교와 수험생, 학부모는 일대 혼란에 빠졌다. 고3 수험생 자녀를 둔 서울의 한 학부모는 “오늘 예비소집일에 고사장 확인까지 하고 수면시간 등 최종 컨디션을 수능에 맞춰놓은 상황에서 갑자기 연기돼 당황스럽다”고 말했다. 영남권 고교 교사도 “학생들로부터 전화가 빗발쳤다”고 전했다. 다만 수험생 안전과 형평을 위해서는 연기가 불가피하다는 반응도 뒤따랐다.
< 시험지 봉인 확인하는 경찰관 > 광주지역 대학수학능력시험장에 16일 새벽 배포될 예정이던 수능 문답지 보관소의 봉인 상태를 경찰이 확인하고 있다.  /연합뉴스
< 시험지 봉인 확인하는 경찰관 > 광주지역 대학수학능력시험장에 16일 새벽 배포될 예정이던 수능 문답지 보관소의 봉인 상태를 경찰이 확인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 큰 문제는 보안이다. 수능이 16일로 예정된 만큼 시험지와 답안지가 이미 각 시·도교육청에 배부됐다. 수능 일정이 한 주 뒤로 미뤄지면서 시험지 유출 우려 등이 커지게 됐다. 수도권 소재 한 고교 교사는 “지역 교육청에 시험지가 들어가 있다. 한 주 동안 보안을 계속 유지해야 하는 게 큰 문제”라고 귀띔했다.

◆“수험생, 1~2학년 기준에 맞춰 휴업 또는 등교”

학원가도 일정을 전면 조정했다. 입시학원들은 수능 직후 열 예정이던 입학설명회를 모두 취소하고 자습실 운영 등 수험생들이 정상적으로 수능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임성호 종로학원하늘교육 대표는 “수능 이후로 잡혀 있던 모든 일정을 취소하고 당장 내일부터 수험생들이 학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고 말했다.

수험생은 평정심 유지가 가장 중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았다. 이만기 유웨이중앙교육 교육평가연구소장은 “어렵겠지만 수능이 연기된 게 아니라 원래 다음주에 수능을 치르는 것으로 생각하고 흔들림 없이 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수능 연기가 급히 결정됨에 따라 당초 16일 수능에 휴업할 예정이던 학교는 그대로 휴업하기로 했다. 10시 등교 예정이던 학교도 그대로 진행한다. 학교장 재량으로 고교 1~2학년은 휴업 또는 등교하려던 학교의 계획에도 변동이 없다. 수능을 치를 예정이던 3학년 학생은 1~2학년 기준에 맞춰 휴업 또는 등교하면 된다. 서울교육청은 15일 밤 이 같은 방침을 서울지역 교원과 학생, 학부모에게 문자메시지로 긴급 통보했다.

교육당국은 기존에 차관을 반장으로 운영하던 수능 비상대책위원회를 부총리로 격상해 수능 연기에 따른 종합 대책을 조속히 수립 시행하기로 했다. 김 부총리는 “시험장 학교의 안전을 집중 점검하고 대체 시험장을 확보할 것”이라며 “대학들과도 협의를 통해 대입 전형 일정이 차질 없이 진행되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덧붙였다.

김봉구 기자 kbk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