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일보 제공
◎경상일보 제공
이낙연 국무총리가 포항 지진과 관련해 "당면 대처에 관해서는 지시를 남발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며 "큰 원칙만 말하자면 당면 대처는 매뉴얼대로 하라. 두 번째는 현장을 중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총리는 16일 오전 8시 정부서울청사 대회의실에서 포항 지진과 관련한 긴급관계장관회의를 열어 이같이 밝혔다.

회의에는 행안부, 기상청, 교육부, 산업부, 국방부, 원자력안전위원회 등 10여개 부처 장관이 참석했다.

이 총리는 "전날 사상 초유의 수능시험 연기가 발표됐지만, 우리가 가장 중요하게 판단했던 것이 현장의 사정과 포항의 판단이었다"며 "피해복구나 포항 시민의 생활을 도와드리는 문제 등 현장을 중시하는 쪽으로 대처가 이루어지는 것이 옳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피해복구건 시민들 지원이건 간에 포항시가 앞장서고 경북도, 행정안전부 중대본, 중앙재해대책본부, 한수원, 산업부 등 현장이 앞서 가는 대응태세를 갖추는 게 좋겠다"고 덧붙였다.

이 총리는 "포항 지진은 전국을 뒤흔든 첫 번째 지진이고, 아마 피해규모도 첫 번째가 될 거 같다"며 "우선, 불편하고 불안한 시간을 보내고 계신 포항 시민들께 위로의 마음을 전하고 싶다"고 말했다.

특히 "많은 학부모, 학생들이 염려해 마지않는 시험지 보관 문제, 이건 100% 완벽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그는 "기상청이 여진 예측, 분석, 관리, 이게 우선 급하지만 활성단층 조사를 포함해서 한반도, 특히 동남부 지하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까지 조사 범위를 더 깊게 가져가서 국민이 알 수 있게 해드려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 총리는 "이런 점과 관련해 내년도에 예산반영이 기대만큼 돼 있지 않을 것"이라며 "이걸 어떻게 할 것인가 하는 것도 국회와 협의해서라도 보완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