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밥상물가 올해 내내 OECD 최상위권… 3분기에도 5.4% 올라 6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AI·구제역·기상이변에 줄곧 농·축·수산물 물가 '들썩'
4분기는 다소 안정 전망…10월 채소류 9.7%나 하락
올해 들어 세 분기 연속으로 한국의 식품 물가 상승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최상위권에 머물렀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연초부터 조류 인플루엔자(AI), 구제역이 잇따라 터졌고, 폭염과 폭우 등 기상 이변으로 농·축·수산물 물가가 고공행진을 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다만 4분기 들어서는 기저효과 해소와 농·축·수산물 물가 안정세로 높은 상승률은 다소 꺾일 가능성도 있다.
18일 OECD에 따르면 3분기 한국의 식품 물가는 전년 같은 분기보다 5.4% 올라 터키(11.5%), 멕시코(9.7%), 라트비아(6.3%), 에스토니아(5.8%), 체코(5.7%)에 이어 OECD 6위를 기록했다. 이같은 고순위는 올해 들어 계속되고 있다.
1분기 한국의 식품 물가 상승률은 3.9% 올라 터키(9.7%), 라트비아(5.9%), 체코(4.1%), 에스토니아(4.0%)에 이어 OECD 5위를 기록했다.
2분기도 마찬가지다.
식품 물가 상승률은 3.6%를 기록했다.
터키(15.6%), 멕시코(7.0%), 에스토니아(5.8%), 라트비아(5.6%), 체코(4.5%)에 이어 6위를 기록했다.
이렇게 식품 물가 고공행진은 농·축·수산물 물가가 춤을 추면서 이끌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식품 물가는 농·축·수산물과 공장에서 제조하는 가공식품 두 가지로 분류된다"며 "상대적으로 상승률이 안정적인 가공식품보다는 등락이 큰 농·축·수산물에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설명했다.
올해 초에는 AI와 구제역 창궐의 영향으로 달걀 가격이 크게 올랐다.
1월 달걀 가격은 1년 전보다 61.9% 올랐다.
전체 농·축·수산물 가격은 1년 전보다 8.5% 올라 1월 전체 물가를 0.67%포인트(p) 끌어올리는 효과를 낼 정도였다.
2분기 들어서는 AI와 구제역의 진정세로 다소 안정될 것으로 보였으나 AI가 다시 창궐해 상황이 악화했다.
올해 6월 농·축·수산물은 7.6% 올라 전체 물가를 0.59%p 올렸다.
1월 이후 최대 상승 폭이었다.
3분기가 되자 AI로 치솟던 계란값이 살충제 파문으로 잠잠해졌다.
하지만 무더위와 집중호우로 채솟값이 크게 뛰면서 밥상물가는 진정되지 못했다.
8월 채소 가격은 22.5% 상승해 전체 물가를 0.37%p 끌어올렸다.
그 결과 전체 물가는 5년 4개월 만에 최대 폭인 2.6%로 상승했다.
채소 가격 상승 영향으로 전체 농·축·수산물 가격은 12.2% 상승해 전체 물가를 0.96%p 견인했다.
그나마 다행인 점은 4분기 들어 밥상물가가 다소 안정을 찾고 있다는 점이다.
10월 물가를 보면 채소류는 9.7% 하락해 전체 물가를 0.18%p 끌어내렸다.
재배면적 증가로 무·배추가격이 하락하면서 채소류 가격을 끌어내렸다.
이러한 하락 폭은 2014년 10월 12.1% 하락 후 3년 만에 가장 컸다.
축산물은 1.9% 상승, 2015년 7월 1.4% 오른 이래 상승 폭이 가장 적었다.
이런 영향으로 농·축·수산물은 3.0% 상승, 전달(4.8%)보다 상승 폭이 축소됐다.
통계청은 이러한 안정세와 더불어 1∼3분기에 작용했던 기저효과가 사라진다는 점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다.
통계청 관계자는 "식품 물가 상승은 작년 1∼3분기에 높지 않았다가 4분기부터 높아지면서 상대적으로 상승률이 더 높아 보이는 효과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4분기는 다소 안정 전망…10월 채소류 9.7%나 하락
올해 들어 세 분기 연속으로 한국의 식품 물가 상승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최상위권에 머물렀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연초부터 조류 인플루엔자(AI), 구제역이 잇따라 터졌고, 폭염과 폭우 등 기상 이변으로 농·축·수산물 물가가 고공행진을 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다만 4분기 들어서는 기저효과 해소와 농·축·수산물 물가 안정세로 높은 상승률은 다소 꺾일 가능성도 있다.
18일 OECD에 따르면 3분기 한국의 식품 물가는 전년 같은 분기보다 5.4% 올라 터키(11.5%), 멕시코(9.7%), 라트비아(6.3%), 에스토니아(5.8%), 체코(5.7%)에 이어 OECD 6위를 기록했다. 이같은 고순위는 올해 들어 계속되고 있다.
1분기 한국의 식품 물가 상승률은 3.9% 올라 터키(9.7%), 라트비아(5.9%), 체코(4.1%), 에스토니아(4.0%)에 이어 OECD 5위를 기록했다.
2분기도 마찬가지다.
식품 물가 상승률은 3.6%를 기록했다.
터키(15.6%), 멕시코(7.0%), 에스토니아(5.8%), 라트비아(5.6%), 체코(4.5%)에 이어 6위를 기록했다.
이렇게 식품 물가 고공행진은 농·축·수산물 물가가 춤을 추면서 이끌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식품 물가는 농·축·수산물과 공장에서 제조하는 가공식품 두 가지로 분류된다"며 "상대적으로 상승률이 안정적인 가공식품보다는 등락이 큰 농·축·수산물에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설명했다.
올해 초에는 AI와 구제역 창궐의 영향으로 달걀 가격이 크게 올랐다.
1월 달걀 가격은 1년 전보다 61.9% 올랐다.
전체 농·축·수산물 가격은 1년 전보다 8.5% 올라 1월 전체 물가를 0.67%포인트(p) 끌어올리는 효과를 낼 정도였다.
2분기 들어서는 AI와 구제역의 진정세로 다소 안정될 것으로 보였으나 AI가 다시 창궐해 상황이 악화했다.
올해 6월 농·축·수산물은 7.6% 올라 전체 물가를 0.59%p 올렸다.
1월 이후 최대 상승 폭이었다.
3분기가 되자 AI로 치솟던 계란값이 살충제 파문으로 잠잠해졌다.
하지만 무더위와 집중호우로 채솟값이 크게 뛰면서 밥상물가는 진정되지 못했다.
8월 채소 가격은 22.5% 상승해 전체 물가를 0.37%p 끌어올렸다.
그 결과 전체 물가는 5년 4개월 만에 최대 폭인 2.6%로 상승했다.
채소 가격 상승 영향으로 전체 농·축·수산물 가격은 12.2% 상승해 전체 물가를 0.96%p 견인했다.
그나마 다행인 점은 4분기 들어 밥상물가가 다소 안정을 찾고 있다는 점이다.
10월 물가를 보면 채소류는 9.7% 하락해 전체 물가를 0.18%p 끌어내렸다.
재배면적 증가로 무·배추가격이 하락하면서 채소류 가격을 끌어내렸다.
이러한 하락 폭은 2014년 10월 12.1% 하락 후 3년 만에 가장 컸다.
축산물은 1.9% 상승, 2015년 7월 1.4% 오른 이래 상승 폭이 가장 적었다.
이런 영향으로 농·축·수산물은 3.0% 상승, 전달(4.8%)보다 상승 폭이 축소됐다.
통계청은 이러한 안정세와 더불어 1∼3분기에 작용했던 기저효과가 사라진다는 점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다.
통계청 관계자는 "식품 물가 상승은 작년 1∼3분기에 높지 않았다가 4분기부터 높아지면서 상대적으로 상승률이 더 높아 보이는 효과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