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를 두고 액상화 현상, 지하수 분출, 인근 지열발전소 영향 등 다양한 해석이 나온다.
18일 찾아가 본 포항시 북구 흥해읍 망천리 논은 곳곳이 물에 젖은 상태였다.
15일 발생한 지진 진앙과 불과 100m 정도 떨어진 곳이다.
여기서 약 1㎞ 떨어진 곳까지 흥건하게 물이 고인 논을 쉽게 볼 수 있었다.
젖은 탓에 바짝 마른 바로 옆 논과 구분하기는 어렵지 않았다.
기존 논 흙과 다른 모래가 바닥에 쌓인 모습도 드러났다.
물이 솟아 나오면서 만든 작은 분화구도 있었다.
주민은 이번 지진이 발생한 직후 논에서 물과 모래가 섞여 솟구쳐 올랐다고 전했다.
논 바로 옆에 사는 배용자(55·여)씨는 "한 달 이상 비가 안 와서 논에 들어가 차를 돌릴 수 있을 정도로 바짝 마른 상태였다"며 "지진이 일어나고 집 밖으로 나와 보니 흙탕물이 여러 곳에서 사람 허리 높이 만큼 올라왔다"고 설명했다.
이런 현상을 두고 일부 전문가는 액상화 현상 때문이라고 밝혔다.
액상화현상은 일본 학계에서 나온 용어로 지진으로 지반이 액체 상태로 변하는 것을 가리킨다.
퇴적층에 토양과 물은 평소 섞여 있다가 지진 같은 충격으로 땅이 흔들리면 분리된다는 것이다.
이럴 때 물이 쏠린 지역은 땅이 물렁물렁해지거나 흙탕물이 밖으로 솟아오른다.
손문 부산대 지질환경과학과 교수는 "외국에서는 이런 액상화현상 사례가 많은데 한국에서는 지진 때문에 액상화현상이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고 말했다.
특히 포항은 전체적으로 퇴적암이 많은 연약지반인 데다가 북구 양덕동 일부가 쓰레기매립지로 지반이 약해 피해가 컸다는 주장도 나온다.
그러나 액상화현상으로 단정하기엔 무리란 의견도 있다.
기상청은 지진이 발생한 뒤 논밭에서 물이 땅 위로 올라온 일이 많았다고 밝혔다.
기상청 관계자는 "물이 올라온 것을 학계에서 아직 액상화라고 확정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인근 지열발전소 건설이 지진 발생이나 액상화현상에 영향을 미쳤다는 견해도 나온다.
이진한 고려대 교수는 그동안 "지열발전소 건설이 지층을 약화해 지진을 유발했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지열을 얻고자 4.3㎞ 깊이로 구멍을 2개 뚫는 과정에서 단층에 영향을 줬을 수 있다는 것이다.
포항에 건설 중인 지열발전소는 이번 지진 진앙과 약 2㎞ 떨어져 있다.
그러나 포항지열발전소를 건설 중인 넥스지오 측은 보도자료를 내고 "시추공은 지진과 관련한 것으로 예상하는 단층과 무관한 위치에 설치됐고 이 때문에 지진이 발생한 사례는 보고된 바 없어 발전소와 지진은 무관하다"고 밝혔다.
이 회사는 "다만 비화산지대 지열발전 특성에 따라 지하에 물을 주입해 인공저류층을 형성하는 '수리자극' 과정에서 유발 지진이 발생하는 일부 사례는 있지만 모두 1주일 이내 발생했다"며 "생산 설비 설치를 위해 9월 18일부터 약 2달간 작업을 중단한 만큼 관련이 없다"고 강조했다.
기상청은 액상화 현상 논란과 관련해 19일부터 땅을 파고서 조사할 예정이다.
기상청 지진화산센터 관계자는 18일 "액상화는 눈에 보이는 현상만으로는 판단할 수 없다"며 "직접 땅을 시추해 조사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일반적으로 퇴적층은 굵기가 다른 돌이나 흙이 무질서하게 쌓여 있지만, 지진으로 인한 액상화가 일어날 경우 무거운 것부터 아래에 쌓인다는 게 기상청의 설명이다.
물병에 흙을 집어넣고 세게 흔들면 시간이 지나면서 무거운 흙부터 가라앉는 것과 같은 이치다.
기상청 관계자는 "액상화가 맞는다면 국내 최초의 사례가 되겠지만, 이번 현상이 액상화가 맞는지를 두고 아직 학계에서도 의견이 분분하다"며 "기상청에서도 이를 액상화로 판정하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아울러 "현재 물이 차오른 현상이 나타난 곳, 그리고 이런 현상이 없는 곳까지 시추해서 과거 자료와 비교를 해보면 액상화를 판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포항 지진에 따른 지반 액상화 결과 여부는 적어도 한두 달 뒤에나 나올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