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과 시각] 중국 신지도부 구성, '관시'만은 아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9기 당대회서 약진한 '시진핑 사단'
당 고유 작동원리 따라 인선된 것
한족 일색의 배타성 극복은 과제"
정영록 <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경제학 >
당 고유 작동원리 따라 인선된 것
한족 일색의 배타성 극복은 과제"
정영록 <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경제학 >
“시진핑 주석의 핵심 오른팔인 왕치산이 결국 낙마했어!”, “왜, 7인 최고 멤버에 차기를 맡을 60년대생이 한 명도 없지?” “거봐! 중국도 결국은 공산주의 국가로 가는 거야. 별수 없이 시진핑 1인 독주체제로 될 거야!”
초미의 관심사였던 중국의 제19기 공산당 전당대회가 지난달 말 끝나자 이 같은 반응이 나왔다. 7인의 상무위원이 포함된 25인의 정치국원 면면이 관심이었다. 이들 25인이 앞으로 5년간 중국을 이끌어 갈 핵심이기 때문이었다. 경제정책도 이들이 주도할 것이다. ‘시진핑 사단’의 약진을 두고 소위 ‘관시(關係)’가 지배한 인사로 평하고 있다. 과연 그럴까. 25인의 이력서를 면밀히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을 발견했다.
우선, 예측 가능한 인사였다. 25인은 베이징시 서기를 맡은 차이치를 제외하고는 18기에서 선발된 장관급 인재풀인 200여 명의 중앙위원에서 선출됐다. 이들은 이번 19기에서 2000명이 넘는 전국대표의 투표를 거쳐 다시 중앙위원으로 선출됐다. 뒤이어 중앙위원과 50여 명의 당 원로들이 포함된 선거단의 투표를 통해 25인의 정치국원으로 최종 선출됐다. 그 나름대로 절차를 밟았다. 이들은 계급정년을 준수했다. 다소 아쉬운 점이 있다고 하더라도 능력의 최고점에서 은퇴시키는 것을 지켰다. 25인 가운데 최연장자가 1950년 3월생으로 67세였다. 소위 ‘7상8하’(67세 이하면 유임, 68세 이상이면 퇴임)가 지켜졌다. 60년대생에서도 후춘화와 천민얼 이외에 시진핑 주석의 비서실장을 맡은 딩쉐상이 가세했다. 후계자 경쟁이 더 치열해졌다고도 할 수 있다.
이번 인선으로 시진핑의 권위를 확실하게 세워주게 됐다. 시진핑은 1953년생으로 최고령자가 아닌데도 1969년 1월에 입당, 당번으로는 두 번째다. 25인을 대표할 충분한 권위를 갖게 됐다. 학력도 다양했다. 전원이 대학 이상의 학력을 지니고 있다. 박사학위 취득자도 있다. 단일 학교로는 공산당 부설 중앙당학교 출신이 6명으로 최다였다. 두 번째로 많은 칭화대 출신이 3명인 것과 대조적이다. 정규대학을 나오지 못했더라도 근무지에서 두각을 나타내면 당 학교를 통해 대학과정을 이수하게 하고 있다.
이들은 중국 전역을 충분히 담당할 수 있고 현장 경험도 풍부했다. 중국에는 31개 장관급 이상의 지방정부가 있다. 중앙정부가 이들 지방의 사정을 철저하게 파악하고 세밀하게 처리해 줘야 한다. 특히, 티베트 신장 네이멍구 등 소수민족자치구가 문제시될 수 있다. 25인의 근무지와 출생지로 봐서는 중국 전역을 소상히 파악할 개연성이 컸다. 소수민족 지역에서 잔뼈가 굵은 인사를 충분히 배치했다. 지방에서 복잡하고도 민감한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지방을 이해하고 해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 하나의 관심은 이들의 대외관계에 대한 인식이다. 미국 영국 등 해외에서 정규 수학한 경험자가 많지는 않다. 하지만 3~6개월 단기연수자가 다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외국에 대한 거부감이 크지는 않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당이념을 이론적으로 체계화하는 왕후닝과 경제 책사인 류허가 ‘미국 유학’ 출신이다. 이들을 보좌하는 국장급 이상의 인사에 정규 유학생 출신 인사가 다수 포진하고 있다.
중국 최고 지도부의 인사는 아직 일반인의 선거참여를 통해서 이뤄지는 완전한 민주주의는 아니다. 국가 운영에서 시 주석의 입김이 상당한 정도로 작용할 것이다. 하지만 절차를 통해 정상적인 국가로 가는 단계를 밟고 있다. 시 주석 1인 체제로 귀착될 것이라는 평가는 지나치다고 본다. 이번 인선은 단순히 관시가 지배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방증한다. 관시보다는 중국 공산당 고유의 내부 작동 원리에 의해 인선이 이뤄졌다. 다만 한족 일색으로 구성돼 중국색을 너무 강조하게 될 배타성을 이들이 어떻게 극복하느냐가 대국으로서의 과제가 될 것이다.
정영록 <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경제학 >
초미의 관심사였던 중국의 제19기 공산당 전당대회가 지난달 말 끝나자 이 같은 반응이 나왔다. 7인의 상무위원이 포함된 25인의 정치국원 면면이 관심이었다. 이들 25인이 앞으로 5년간 중국을 이끌어 갈 핵심이기 때문이었다. 경제정책도 이들이 주도할 것이다. ‘시진핑 사단’의 약진을 두고 소위 ‘관시(關係)’가 지배한 인사로 평하고 있다. 과연 그럴까. 25인의 이력서를 면밀히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을 발견했다.
우선, 예측 가능한 인사였다. 25인은 베이징시 서기를 맡은 차이치를 제외하고는 18기에서 선발된 장관급 인재풀인 200여 명의 중앙위원에서 선출됐다. 이들은 이번 19기에서 2000명이 넘는 전국대표의 투표를 거쳐 다시 중앙위원으로 선출됐다. 뒤이어 중앙위원과 50여 명의 당 원로들이 포함된 선거단의 투표를 통해 25인의 정치국원으로 최종 선출됐다. 그 나름대로 절차를 밟았다. 이들은 계급정년을 준수했다. 다소 아쉬운 점이 있다고 하더라도 능력의 최고점에서 은퇴시키는 것을 지켰다. 25인 가운데 최연장자가 1950년 3월생으로 67세였다. 소위 ‘7상8하’(67세 이하면 유임, 68세 이상이면 퇴임)가 지켜졌다. 60년대생에서도 후춘화와 천민얼 이외에 시진핑 주석의 비서실장을 맡은 딩쉐상이 가세했다. 후계자 경쟁이 더 치열해졌다고도 할 수 있다.
이번 인선으로 시진핑의 권위를 확실하게 세워주게 됐다. 시진핑은 1953년생으로 최고령자가 아닌데도 1969년 1월에 입당, 당번으로는 두 번째다. 25인을 대표할 충분한 권위를 갖게 됐다. 학력도 다양했다. 전원이 대학 이상의 학력을 지니고 있다. 박사학위 취득자도 있다. 단일 학교로는 공산당 부설 중앙당학교 출신이 6명으로 최다였다. 두 번째로 많은 칭화대 출신이 3명인 것과 대조적이다. 정규대학을 나오지 못했더라도 근무지에서 두각을 나타내면 당 학교를 통해 대학과정을 이수하게 하고 있다.
이들은 중국 전역을 충분히 담당할 수 있고 현장 경험도 풍부했다. 중국에는 31개 장관급 이상의 지방정부가 있다. 중앙정부가 이들 지방의 사정을 철저하게 파악하고 세밀하게 처리해 줘야 한다. 특히, 티베트 신장 네이멍구 등 소수민족자치구가 문제시될 수 있다. 25인의 근무지와 출생지로 봐서는 중국 전역을 소상히 파악할 개연성이 컸다. 소수민족 지역에서 잔뼈가 굵은 인사를 충분히 배치했다. 지방에서 복잡하고도 민감한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지방을 이해하고 해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 하나의 관심은 이들의 대외관계에 대한 인식이다. 미국 영국 등 해외에서 정규 수학한 경험자가 많지는 않다. 하지만 3~6개월 단기연수자가 다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외국에 대한 거부감이 크지는 않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당이념을 이론적으로 체계화하는 왕후닝과 경제 책사인 류허가 ‘미국 유학’ 출신이다. 이들을 보좌하는 국장급 이상의 인사에 정규 유학생 출신 인사가 다수 포진하고 있다.
중국 최고 지도부의 인사는 아직 일반인의 선거참여를 통해서 이뤄지는 완전한 민주주의는 아니다. 국가 운영에서 시 주석의 입김이 상당한 정도로 작용할 것이다. 하지만 절차를 통해 정상적인 국가로 가는 단계를 밟고 있다. 시 주석 1인 체제로 귀착될 것이라는 평가는 지나치다고 본다. 이번 인선은 단순히 관시가 지배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방증한다. 관시보다는 중국 공산당 고유의 내부 작동 원리에 의해 인선이 이뤄졌다. 다만 한족 일색으로 구성돼 중국색을 너무 강조하게 될 배타성을 이들이 어떻게 극복하느냐가 대국으로서의 과제가 될 것이다.
정영록 <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경제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