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네이버 FARM] 국책연구원 그만두고 으뜸 복어 '황복' 국내 첫 대량양식 성공…나는 '복' 많은~어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형선 아쿠아토피아인터내셔널 대표
한국해양연구원서 양식기술 내놨지만
하겠다는 사람 없어 직접 도전
한국해양연구원서 양식기술 내놨지만
하겠다는 사람 없어 직접 도전
김형선 아쿠아토피아인터내셔널 대표는 경남 통영 한산도 앞바다에서 복어를 키운다. 1만5000평 가두리 양식장에 황복을 비롯해 자주복(참복) 졸복 민어 등을 양식한다. 황복은 1㎏에 7만원을 넘을 정도로 복어 중에서도 귀한 어종이다. 김 대표는 국내 처음으로 황복의 대량 양식에 성공한 주인공이다. 김 대표는 한국해양연구원(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소속 연구원이었다. 대학에서 수산 양식을 전공한 뒤 20년간 해양연구원에서 일했다. 그가 안정적인 연구원직을 박차고 나와 양식업에 뛰어든 건 16년 전. 거제 어구마을에서 뱃길로 10여 분을 달려 도착한 황복 양식장에서 김 대표를 만났다.
▷양식장이 생각보다 큽니다.
“이 근처에선 평균 정도 됩니다. 한산도 앞바다가 수온이나 파도가 가장 좋았어요. 섬들로 둘러싸여 있는 곳이라 바람이 적어 황복 양식에 최적입니다. 황복뿐만 아니라 참복과 졸복도 있죠. 다 합쳐서 한 20만 마리쯤 되려나. 황복은 몸집도 작고 크는 데 오래 걸려요. 2~3년은 키워야 500g 정도 됩니다. 참복은 1년만 키워도 1㎏ 넘게 자랍니다.”
황복이라는 이름은 이 물고기의 몸 색깔이 노란 데서 붙여졌다. 미식가들은 황복을 ‘복어 중의 복어’로 치는 경우가 많다. 살이 쫀득쫀득해 씹을수록 담백한 단맛을 쏟아낸다. 참복이 ㎏당 2만5000~3만원에 팔린다면 황복 값은 두 배가 넘는 7만~8만원이다.
김 대표는 해양연구원에 근무했던 1990년대 초 황복 양식 연구를 시작했다. 참게 연구를 위해 임진강을 자주 드나든 것이 황복과의 첫 만남이었다. 황복은 원래 서해의 연안과 하구를 왔다 갔다 하면서 사는 어종이다. 바다에서 자란 뒤 강으로 올라와 산란한다. 김 대표는 어민들이 알을 낳으러 강으로 올라오는 황복을 잡아 비싼 값에 파는 걸 보고 연구 가치가 있겠다고 생각했다. 황복 양식을 주제로 한 정부 과제를 1995년부터 3년 동안 맡았다.
▷황복에 관심을 두게 된 계기가 뭔가요.
“그 당시 우리 (연구원) 팀이 황복 말고도 여러 물고기 양식법을 연구했어요. 우럭도 양식이 잘 안 됐을 때부터 연구했고요. 그때 황복 개체 수가 많이 줄었어요. 보호하자는 운동도 있었고 가격도 아주 비쌌죠.”
▷다른 복어 어종과 많이 다릅니까.
“복어를 일본 생선이라고 많이들 생각해요. 일본이 복어 세계화에 성공한 건 맞지만 사실은 중국에서 전통적으로 복어를 많이 먹었습니다. 이 중국의 복어가 황복입니다. 참복은 한국과 일본 중국에 다 있지만 황복은 한국과 중국에서만 살아요.”
▷그렇게 맛있습니까.
“흔히 ‘황복은 봄에 먹는 것’으로 아는데 맛으로 치면 틀린 말입니다. 봄에 알 낳으러 강으로 올라오니 그때만 잡을 수 있고 그래서 제철이 봄이라고 하는 거예요.”
3년간의 노력 끝에 1997년 황복 양식에 대한 기초 연구가 끝났다. 하지만 전례가 없어 양식하겠다고 나서는 어민이 없었다. 김 대표는 고민했다. 김대중 정부 시절, 한창 벤처창업을 유도하는 정책이 나올 때였다.
▷비전이 있어 보였나요.
“중국에서 원래 복어를 많이 먹었는데 1945년 군인들이 복어를 먹고 자꾸 죽으니까 마오쩌둥이 60년간 금식령을 내렸어요. 그게 풀리는 게 2005년이었거든요. 유망할 것이라 본 거죠.”
10년간의 연구를 바탕으로 2001년 연구원을 나와 회사를 차렸다. 한산도 앞바다 에서 황복을 양식했다.
▷결과는 어떻게 됐습니까.
“해제가 안 됐어요. 중국 양식업자들도 복어를 미리 키우고 있었어요. 그 사람들이 키우던 복어가 2005년 이후 한국에 싸게 들어왔죠.”(중국의 복어 금식령은 2013년부터 차츰 풀려 2015년 해제됐다.)
▷그럼 키운 황복은 주로 식당에서 씁니까.
“대부분 서울지역에 납품합니다. 올해는 황복 가공상품을 기획해서 대형마트에 내볼까 해요. 지난 복날에 복어탕 상품을 팔았는데 반응이 괜찮았어요.”
거제·통영=FARM 고은이 기자
전문은 ☞ blog.naver.com/nong-up/221126486349
▷양식장이 생각보다 큽니다.
“이 근처에선 평균 정도 됩니다. 한산도 앞바다가 수온이나 파도가 가장 좋았어요. 섬들로 둘러싸여 있는 곳이라 바람이 적어 황복 양식에 최적입니다. 황복뿐만 아니라 참복과 졸복도 있죠. 다 합쳐서 한 20만 마리쯤 되려나. 황복은 몸집도 작고 크는 데 오래 걸려요. 2~3년은 키워야 500g 정도 됩니다. 참복은 1년만 키워도 1㎏ 넘게 자랍니다.”
황복이라는 이름은 이 물고기의 몸 색깔이 노란 데서 붙여졌다. 미식가들은 황복을 ‘복어 중의 복어’로 치는 경우가 많다. 살이 쫀득쫀득해 씹을수록 담백한 단맛을 쏟아낸다. 참복이 ㎏당 2만5000~3만원에 팔린다면 황복 값은 두 배가 넘는 7만~8만원이다.
김 대표는 해양연구원에 근무했던 1990년대 초 황복 양식 연구를 시작했다. 참게 연구를 위해 임진강을 자주 드나든 것이 황복과의 첫 만남이었다. 황복은 원래 서해의 연안과 하구를 왔다 갔다 하면서 사는 어종이다. 바다에서 자란 뒤 강으로 올라와 산란한다. 김 대표는 어민들이 알을 낳으러 강으로 올라오는 황복을 잡아 비싼 값에 파는 걸 보고 연구 가치가 있겠다고 생각했다. 황복 양식을 주제로 한 정부 과제를 1995년부터 3년 동안 맡았다.
▷황복에 관심을 두게 된 계기가 뭔가요.
“그 당시 우리 (연구원) 팀이 황복 말고도 여러 물고기 양식법을 연구했어요. 우럭도 양식이 잘 안 됐을 때부터 연구했고요. 그때 황복 개체 수가 많이 줄었어요. 보호하자는 운동도 있었고 가격도 아주 비쌌죠.”
▷다른 복어 어종과 많이 다릅니까.
“복어를 일본 생선이라고 많이들 생각해요. 일본이 복어 세계화에 성공한 건 맞지만 사실은 중국에서 전통적으로 복어를 많이 먹었습니다. 이 중국의 복어가 황복입니다. 참복은 한국과 일본 중국에 다 있지만 황복은 한국과 중국에서만 살아요.”
▷그렇게 맛있습니까.
“흔히 ‘황복은 봄에 먹는 것’으로 아는데 맛으로 치면 틀린 말입니다. 봄에 알 낳으러 강으로 올라오니 그때만 잡을 수 있고 그래서 제철이 봄이라고 하는 거예요.”
3년간의 노력 끝에 1997년 황복 양식에 대한 기초 연구가 끝났다. 하지만 전례가 없어 양식하겠다고 나서는 어민이 없었다. 김 대표는 고민했다. 김대중 정부 시절, 한창 벤처창업을 유도하는 정책이 나올 때였다.
▷비전이 있어 보였나요.
“중국에서 원래 복어를 많이 먹었는데 1945년 군인들이 복어를 먹고 자꾸 죽으니까 마오쩌둥이 60년간 금식령을 내렸어요. 그게 풀리는 게 2005년이었거든요. 유망할 것이라 본 거죠.”
10년간의 연구를 바탕으로 2001년 연구원을 나와 회사를 차렸다. 한산도 앞바다 에서 황복을 양식했다.
▷결과는 어떻게 됐습니까.
“해제가 안 됐어요. 중국 양식업자들도 복어를 미리 키우고 있었어요. 그 사람들이 키우던 복어가 2005년 이후 한국에 싸게 들어왔죠.”(중국의 복어 금식령은 2013년부터 차츰 풀려 2015년 해제됐다.)
▷그럼 키운 황복은 주로 식당에서 씁니까.
“대부분 서울지역에 납품합니다. 올해는 황복 가공상품을 기획해서 대형마트에 내볼까 해요. 지난 복날에 복어탕 상품을 팔았는데 반응이 괜찮았어요.”
거제·통영=FARM 고은이 기자
전문은 ☞ blog.naver.com/nong-up/221126486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