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븐 추 전 미국 에너지부 장관 "탈원전, 더 큰 오염 낳을 수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화석연료 소비 늘어 환경파괴…한국 정부 탈원전 재고해야"
에너지 분야 세계적 권위자인 스티븐 추 전 미국 에너지부 장관은 23일 한국 정부에 탈(脫)원전 정책을 재검토할 것을 제안했다. 추 전 장관은 이날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KAIST 주최로 열린 특강에서 “한국의 탈원전 정책은 화석연료 사용 증가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며 “차세대 원전 기술이 향상된 만큼 탈원전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1997년 레이저를 이용한 원자 냉각 연구로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으며, 2009년부터 지난해 3월까지 버락 오바마 정부에서 에너지부 장관을 맡았다. 스탠퍼드대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추 전 장관은 “탈원전을 한다고 곧바로 신재생에너지로 넘어간다고 생각하는 건 잘못”이라며 “전환 속도가 느리면 화석연료 사용이 늘어나 더 큰 환경 오염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스티븐 추 전 미국 에너지부 장관(사진)은 “원전이 완벽하지 않은 기술인 것은 사실이지만 안전장치가 추가되면서 차세대 원전은 안전성이 향상될 것으로 믿는다”며 “에너지 비용이 올라가면 중공업이 가장 먼저 타격을 입는 만큼 문재인 대통령을 설득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추 전 장관은 기후변화에 맞서 신재생에너지 도입을 적극 도입한 대표적인 주창자다. 평소 원자력 발전이 핵폐기물 문제와 핵확산 문제를 낳을 가능성이 있다는 소신을 펴왔다. 하지만 탈원전으로 인해 화석연료 사용이 늘어나면 기후변화의 노력이 헛수고가 될지 모른다는 견해도 함께 밝혀왔다. 그는 23일 열린 특강에서도 현재 에너지산업이 신재생에너지로 100% 전환되지 않는 한 원자력에너지가 당분간 활용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신재생에너지 도입의 대표 사례로 자주 꼽히는 독일과 미국 캘리포니아가 처한 상황을 소개했다. 추 전 장관은 “독일이나 미국 캘리포니아만 봐도 탈원전을 한 뒤 곧바로 신재생에너지로 넘어가지 못했다”며 “에너지 효율이 갑자기 향상되지 않는 한 화석연료 소비가 늘면서 환경오염을 야기할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독일을 대표적 실패 사례로 들었다. 그는 “탈원전 정책 이후 독일 산업은 꽤 큰 피해를 입었고 이산화탄소 배출 문제도 커지고 있다”며 “한국은 원전 기술이 있고 중공업 비중이 높은데 이런 루트를 따라가길 원치 않는다”고 했다.
추 장관은 원자력 기술도 다음 세대로 넘어가는 전환점을 맞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원자력발전은 핵폐기물과 핵확산 등 해결해야 할 문제가 있지만 화석에너지보다는 온실가스를 적게 배출한다”며 “저탄소 에너지로의 전환이 이뤄지기 전까지 대규모 원전보다는 작은 소형모듈원자로(SMR)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결국 각국이 장기적 관점에서 신재생에너지 발굴에 적극적으로 나설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박근태 기자 kunta@hankyung.com
그는 1997년 레이저를 이용한 원자 냉각 연구로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으며, 2009년부터 지난해 3월까지 버락 오바마 정부에서 에너지부 장관을 맡았다. 스탠퍼드대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추 전 장관은 “탈원전을 한다고 곧바로 신재생에너지로 넘어간다고 생각하는 건 잘못”이라며 “전환 속도가 느리면 화석연료 사용이 늘어나 더 큰 환경 오염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스티븐 추 전 미국 에너지부 장관(사진)은 “원전이 완벽하지 않은 기술인 것은 사실이지만 안전장치가 추가되면서 차세대 원전은 안전성이 향상될 것으로 믿는다”며 “에너지 비용이 올라가면 중공업이 가장 먼저 타격을 입는 만큼 문재인 대통령을 설득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추 전 장관은 기후변화에 맞서 신재생에너지 도입을 적극 도입한 대표적인 주창자다. 평소 원자력 발전이 핵폐기물 문제와 핵확산 문제를 낳을 가능성이 있다는 소신을 펴왔다. 하지만 탈원전으로 인해 화석연료 사용이 늘어나면 기후변화의 노력이 헛수고가 될지 모른다는 견해도 함께 밝혀왔다. 그는 23일 열린 특강에서도 현재 에너지산업이 신재생에너지로 100% 전환되지 않는 한 원자력에너지가 당분간 활용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신재생에너지 도입의 대표 사례로 자주 꼽히는 독일과 미국 캘리포니아가 처한 상황을 소개했다. 추 전 장관은 “독일이나 미국 캘리포니아만 봐도 탈원전을 한 뒤 곧바로 신재생에너지로 넘어가지 못했다”며 “에너지 효율이 갑자기 향상되지 않는 한 화석연료 소비가 늘면서 환경오염을 야기할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독일을 대표적 실패 사례로 들었다. 그는 “탈원전 정책 이후 독일 산업은 꽤 큰 피해를 입었고 이산화탄소 배출 문제도 커지고 있다”며 “한국은 원전 기술이 있고 중공업 비중이 높은데 이런 루트를 따라가길 원치 않는다”고 했다.
추 장관은 원자력 기술도 다음 세대로 넘어가는 전환점을 맞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원자력발전은 핵폐기물과 핵확산 등 해결해야 할 문제가 있지만 화석에너지보다는 온실가스를 적게 배출한다”며 “저탄소 에너지로의 전환이 이뤄지기 전까지 대규모 원전보다는 작은 소형모듈원자로(SMR)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결국 각국이 장기적 관점에서 신재생에너지 발굴에 적극적으로 나설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박근태 기자 kunt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