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 액상화' 우려 울산 연약지반 위에 20만 명 거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울산시, 연약지반 20㎢ 조사…"지진방재 대책 정부 지원 절실"
지진에 취약한 울산시의 연약지반 20㎢에 시민 20만 명이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울산시가 지진 대책으로 정부에 요청한 국립지진방재센터 건립, 국가산업단지 지하 배관망 구축, 석유화학공단 안전진단 시행 등은 지지부진하다.
울산시는 24일 포항 지진 발생에 따른 대책회의를 열고 액상화가 예상되는 연약지반을 조사하기로 했다.
액상화 조사는 UNIST가 지난 6월 시작해 내년 말 완료 예정으로 수행 중인 지진방재 종합계획 수립 용역에 추가 반영하기로 했다. 울산시는 이날 회의에서 연약지반에 건립된 4개 도시개발지구와 7개 산업단지를 액상화 고위험군으로 분류했다.
전체 면적은 19.79㎢로 여의도 면적(2.9㎢)의 6.8배에 달했다.
이곳에 시민 20만 명이 거주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대부분 바다와 강 주변 매립지로 지반이 펄로 형성됐다.
도시개발지구는 삼산, 달동, 남외, 진장·명촌 등 4개 지구로 지표면에서 32∼43m 깊이에 암반층이 있고 그사이는 거의 펄층이다.
산업단지는 당월지구, 현대중공업, 현대미포조선, 현대자동차, 롯데정밀화학, SK에너지, 삼양사 등 7곳이다.
바다를 매립한 곳이어서 10∼50m 지하에 암반층이 형성돼 있다.
연약지반이긴 하지만 아파트나 공장 등은 기초공사를 할 때 암반층까지 파일을 박아 시공하고 내진 설계를 해 상당 규모의 지진에 견딜 것으로 울산시는 예상했다.
그러나 저층 건물은 시공비 부담으로 파일 시공을 하지 않아 지진 때 액상화 현상이 일어나면 건물 파손이 우려된다. 울산시는 용역 조사에 액상화 보강 대책도 세워달라고 주문했다.
울산시는 또 정부에 지진 대응 국비사업을 조속히 추진하고 지원해 달라고 요청했다.
지난해 9월 12일 경주 지진 이후 울산시는 정부에 여러 가지 국비 사업을 건의했으나 지지부진한 상태다.
울산 혁신도시에 이주한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이 사업을 총괄하는 국립지진방재센터 건립은 다음 달 사전조사와 설립 추진안을 마련하고, 내년에 센터 구축을 위한 상세기획 연구에 이어 2019년께 기본 및 실시설계가 이뤄진다.
울산국가산업단지 지상 배관망 구축은 지진이나 굴착공사 때 석유화학 물질을 운송하는 배관의 손상 위험을 해소하기 위해 2011년부터 추진됐으나, 산업부와 한국산업단지공단 등 기관별 입장이 달라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석유화학공단의 시설물 노후화에 따른 예방적 안전대책인 국가산업단지 지하배관 안전진단 및 안전센터 건립은 130억원의 사업비 중 이달에 23억원의 정부 예산이 반영돼 국회 예결위 심사가 진행되고 있다.
석유화학공단과 원자력이 밀집한 울산의 특성을 감안해 소방청이 추진, 대통령의 100대 국정과제로 선정된 특수재난 훈련센터 건립 사업은 전혀 진척이 없는 실정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경주와 포항 지진 이후 시민에게 지진 공포감이 확산하고 있다"며 "연약지반에 따른 액상화 대책을 세우고 정부 지원을 받아 시민안전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하지만 울산시가 지진 대책으로 정부에 요청한 국립지진방재센터 건립, 국가산업단지 지하 배관망 구축, 석유화학공단 안전진단 시행 등은 지지부진하다.
울산시는 24일 포항 지진 발생에 따른 대책회의를 열고 액상화가 예상되는 연약지반을 조사하기로 했다.
액상화 조사는 UNIST가 지난 6월 시작해 내년 말 완료 예정으로 수행 중인 지진방재 종합계획 수립 용역에 추가 반영하기로 했다. 울산시는 이날 회의에서 연약지반에 건립된 4개 도시개발지구와 7개 산업단지를 액상화 고위험군으로 분류했다.
전체 면적은 19.79㎢로 여의도 면적(2.9㎢)의 6.8배에 달했다.
이곳에 시민 20만 명이 거주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대부분 바다와 강 주변 매립지로 지반이 펄로 형성됐다.
도시개발지구는 삼산, 달동, 남외, 진장·명촌 등 4개 지구로 지표면에서 32∼43m 깊이에 암반층이 있고 그사이는 거의 펄층이다.
산업단지는 당월지구, 현대중공업, 현대미포조선, 현대자동차, 롯데정밀화학, SK에너지, 삼양사 등 7곳이다.
바다를 매립한 곳이어서 10∼50m 지하에 암반층이 형성돼 있다.
연약지반이긴 하지만 아파트나 공장 등은 기초공사를 할 때 암반층까지 파일을 박아 시공하고 내진 설계를 해 상당 규모의 지진에 견딜 것으로 울산시는 예상했다.
그러나 저층 건물은 시공비 부담으로 파일 시공을 하지 않아 지진 때 액상화 현상이 일어나면 건물 파손이 우려된다. 울산시는 용역 조사에 액상화 보강 대책도 세워달라고 주문했다.
울산시는 또 정부에 지진 대응 국비사업을 조속히 추진하고 지원해 달라고 요청했다.
지난해 9월 12일 경주 지진 이후 울산시는 정부에 여러 가지 국비 사업을 건의했으나 지지부진한 상태다.
울산 혁신도시에 이주한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이 사업을 총괄하는 국립지진방재센터 건립은 다음 달 사전조사와 설립 추진안을 마련하고, 내년에 센터 구축을 위한 상세기획 연구에 이어 2019년께 기본 및 실시설계가 이뤄진다.
울산국가산업단지 지상 배관망 구축은 지진이나 굴착공사 때 석유화학 물질을 운송하는 배관의 손상 위험을 해소하기 위해 2011년부터 추진됐으나, 산업부와 한국산업단지공단 등 기관별 입장이 달라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석유화학공단의 시설물 노후화에 따른 예방적 안전대책인 국가산업단지 지하배관 안전진단 및 안전센터 건립은 130억원의 사업비 중 이달에 23억원의 정부 예산이 반영돼 국회 예결위 심사가 진행되고 있다.
석유화학공단과 원자력이 밀집한 울산의 특성을 감안해 소방청이 추진, 대통령의 100대 국정과제로 선정된 특수재난 훈련센터 건립 사업은 전혀 진척이 없는 실정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경주와 포항 지진 이후 시민에게 지진 공포감이 확산하고 있다"며 "연약지반에 따른 액상화 대책을 세우고 정부 지원을 받아 시민안전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