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도발 대응 '정부성명'서 '대화' 표현 빠져 눈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북한의 장거리 탄도 미사일 발사를 규탄한 29일 '정부 성명'에서 현 정부 출범 이후 대북 성명에 거의 예외없이 포함됐던 '대화'라는 문구가 빠져 눈길을 모았다.
이날 노규덕 외교부 대변인이 낭독하고 배포한 '정부 성명'에는 '대화'라는 단어가 들어가지 않았다.
"한반도 평화정착과 비핵화를 향한 국제사회의 단합한 목소리에 호응할 것을 엄중히 촉구한다"는 문구가 비핵화 대화 참여 촉구를 시사하는 내용으로 볼 수 있었지만 '대화'라는 표현은 없었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이번 이전까지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에 대해 6차례 나온 '정부 성명'에는 규탄 내용과 함께 모두 '대화'가 들어갔다.
5월 14일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응한 정부 성명이 "북한이 일체의 도발을 중단하고 비핵화를 위한 대화의 길로 나올 것을 다시 한번 촉구한다"고 밝힌 것을 시작으로 직전인 9월 15일의 탄도 미사일 발사에 대한 정부 성명까지 모두 '대화'라는 단어가 포함됐다.
범위를 '외교부 대변인 성명'까지로 넓혀도 '대화'가 빠진 것은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로 치면 지난 5월 29일 탄도 미사일 발사에 대한 외교부 대변인 성명 이후 6개월만이다.
이와 관련, 문재인 대통령이 이날 청와대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주재한 자리에서 "북한은 스스로를 고립과 몰락으로 이끄는 무모한 선택을 즉각 중단하고 대화의 장으로 나와야 한다"고 강조한 데서 보듯 제재와 대화의 병행을 추구하는 현 정부의 대북 기조가 바뀐 것은 아니라고 정부 당국자는 밝혔다.
하지만 그간의 대북 규탄 성명이 대화의 문을 열어두고 있음을 언급함으로써 강온의 '균형'을 맞춰 왔던 점을 감안할 때 이례적인 대화 표현 삭제에는 이번 도발을 보는 우리 정부 인식의 심각성이 투영돼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 정부 관계자는 "우리 정부의 실망감과 규탄의 취지를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본다"고 말했고, 다른 정부 관계자는 "'정부 성명'인 만큼 관련 부처들의 협의 결과로 나온 것"이라며 "모든 상황을 감안해서 판단한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이날 노규덕 외교부 대변인이 낭독하고 배포한 '정부 성명'에는 '대화'라는 단어가 들어가지 않았다.
"한반도 평화정착과 비핵화를 향한 국제사회의 단합한 목소리에 호응할 것을 엄중히 촉구한다"는 문구가 비핵화 대화 참여 촉구를 시사하는 내용으로 볼 수 있었지만 '대화'라는 표현은 없었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이번 이전까지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에 대해 6차례 나온 '정부 성명'에는 규탄 내용과 함께 모두 '대화'가 들어갔다.
5월 14일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응한 정부 성명이 "북한이 일체의 도발을 중단하고 비핵화를 위한 대화의 길로 나올 것을 다시 한번 촉구한다"고 밝힌 것을 시작으로 직전인 9월 15일의 탄도 미사일 발사에 대한 정부 성명까지 모두 '대화'라는 단어가 포함됐다.
범위를 '외교부 대변인 성명'까지로 넓혀도 '대화'가 빠진 것은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로 치면 지난 5월 29일 탄도 미사일 발사에 대한 외교부 대변인 성명 이후 6개월만이다.
이와 관련, 문재인 대통령이 이날 청와대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주재한 자리에서 "북한은 스스로를 고립과 몰락으로 이끄는 무모한 선택을 즉각 중단하고 대화의 장으로 나와야 한다"고 강조한 데서 보듯 제재와 대화의 병행을 추구하는 현 정부의 대북 기조가 바뀐 것은 아니라고 정부 당국자는 밝혔다.
하지만 그간의 대북 규탄 성명이 대화의 문을 열어두고 있음을 언급함으로써 강온의 '균형'을 맞춰 왔던 점을 감안할 때 이례적인 대화 표현 삭제에는 이번 도발을 보는 우리 정부 인식의 심각성이 투영돼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 정부 관계자는 "우리 정부의 실망감과 규탄의 취지를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본다"고 말했고, 다른 정부 관계자는 "'정부 성명'인 만큼 관련 부처들의 협의 결과로 나온 것"이라며 "모든 상황을 감안해서 판단한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